-
-
빌러비드 (무선)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16
토니 모리슨 지음, 최인자 옮김 / 문학동네 / 2014년 3월
평점 :
˝노벨상을 받은 최초의 흑인 여성 작가˝
지금 읽고 있는 <빌러비드>를 쓴 토니 모리슨에게 붙는 수식어이다. 이 말이 주는 생각이 여러가지 이지만, 가장 먼저 삶은 곧 투쟁이라는 말이 떠오르고, 이어서 이건 이상한 문장이라는 생각이 든다. `노벨상`과 `최초`는 자연스럽다. 노벨상은 누가 받아도 최초인 극소수의 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어지는 단어 `여성`, 그 앞에 있는 `흑인`, 합치면 `흑인 여성`이 `노벨 문학상`과 결합하는 건 역사적으로 볼 때 되게 이상한 일이다.
문학은 오랫동안 남성의 전유물이었다. 문명은 여성에게 글을 주지 않은 채, 남성의 눈으로 본 여성의 이미지만을 생산했다. 오랜 세월 문학은 여성이 쓰지 않은 여성을 이야기했다. 버지니아 울프가 이 사실을 잘 드러냈다. 그는 <자기만의 방>에서 여성인 자신이 역사를 새로 쓴다면, 전쟁이나 혁명이 아닌 여성이 자기 방에서 글을 쓸 수 있게 된 걸 가장 혁명적인 사건으로 기술하겠다고 했다. 이 말은 여성의 역사가 남성과는 다름을 인지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하지만 흑인 페미니스트들은 버지니아 울프의 이 말을 비판적으로 보았다. 그들은 울프가 방을 여성 담론의 상징으로 가져온 걸 부르주아적이라고 했다. 흑인 여성에겐 방은 커녕 집과 연필도 없었기 때문이다. 아니 글씨에 대한 교육 자체가 없었다. 이러한 점에서 흑인 페미니스트들은 페미니즘이 젠더 문제에 국한되지 않고 인종과 계급 문제를 포괄해야 한다고 한다. 페미니즘은 젠더인종계급자본의문제라고 말하면서, 문학과 여성의 거리가 구만리였던 만큼 백인 여성과 흑인 여성 사이의 거리도 멀다고 한다. 이러한 점에서 흑인 여성이 책을 써서 노벨상을 받았다는 사실은 곱씹을 수록 생경하다.
한림원은 토니 모리슨에게 노벨 문학상을 주면서 ˝여성적인 섬세한 언어로 소수 민족인 흑인의 한과 서러움을 묘사한 공로를 높이 평가한다˝고 했다. 이때가 1993년. 아마 지금이라면 `섬세함`을 `여성성`과 연결하진 않았을 것 같지만, 그럼에도 흑인 여성 작가 토니 모리슨에게 노벨상을 준 건 지금 봐도 파격적이다.
버지니아 울프, 시몬 드 보부아르 등의 여성 작가들처럼 토니 모리슨도 글을 쓸 자기만의 공간이 없었다.(물론 이혼한 다음의 이야기이다. 성장기의 모리슨은 부유했고, 좋은 교육을 받았다) 모리슨은 ˝식기와 빵조각이 어질러진 부엌 식탁에서 글을 썼다.˝ 모리슨의 전기를 모르지만 흑인 여성으로서, 그가 처한 상황은 여느 백인 여성 작가보다 나빴을 것이다. 물론 그녀의 학력과 프로필, 하워드 대학과 코넬 대학 졸업, 프린스턴의 교수, 미국 최대 출판사인 랜덤 하우스의 편집장을 하는 건 아무나 갖기 힘든 것이지만 그럼에도 흑인 여성으로서 그 또한 투쟁에 가깝지 않았을까.
이 책은 ˝노예라는 운명의 대물림을 끊기 위해 딸을 죽인 흑인 여성의 실화를 바탕으로 노예제의 참상을 알리고 있다.˝ 그런데 르포가 아닌 시적인 언어로 말한다. 올해 노벨 문학상을 받은 스베틀라나 알렉시예이비치의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가 극도로 사실적인 것과 달리, <빌러비드>는 환상적이고 시적이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생각해보았다. 아마 잊혀진 고통을 재현하기 위해서가 아닐까. 그동안 노예제는 영화와 문학에서 너무나도 많이 등장 했음으로, 그 익숙한 언어로 인하 무감각해진 고통을 시로서 다시 말하려고 한 건 아닐까 생각해본다.
추신.
두 구절이 맴돈다. 하나는 한 백인 소녀가 임신한 흑인 소녀에게 천진난만하게 묻는말이고 하나는 죽은 딸을 애도하는 표현이다.
˝너는 뭐할꺼니? 거기서 누워서 새끼를 낳을 거야?˝
흑인의 출생이 아기가 아닌 `새끼`를 낳는 동물 서사로 묘사되고 있다.
˝그날 이후로 그녀는 암탉처럼 색맹이 되어버렸다.. 빨간 사과나 노란 호박에 대한 기억을 떠올릴 수가 없다. 매일 동트는 새벽을 보았지만, 그 색깔을 제대로 보거나 그에 대해 언급한 적도 없었다. 뭔가 잘못되었다. 하루는 갓난아이의 붉은 피를 보고, 또 하루는 묘비에 박힌 분홍색 돌가루를 보고, 그리고 그걸로 색깔은 마지막이된 듯한 기분이었다.˝
노예제의 고통에서 본 세상은 색맹의 세상이었다는 말. 색채감이 있는 건 죽음의 기억 뿐이라는 말이 가슴의 멍자국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