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지 소년 닐스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지음, 일론 비클란드 그림, 김라합 옮김 / 창비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삐삐롱 스타킹》작가,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의 《엄지 소년 닐스》.

✔️스웨덴에서 1956년에 출간된 이후 66년 만에 우리에게 찾아왔다.
이 작품은 40년 동안 린드그렌과 함께 일하며 그의 책에 가장 많은 그림을 그린 화가 일론 비클란드의 초기 그림을 감상할 수 있다.

📖 누나를 잃은 뒤, 날마다 공장에 간 엄마 아빠를 기다리며 빈집을 홀로 지키는 쓸쓸한 베르틸은 어느 날 침대 밑에서 엄지만큼 작은 소년인 '닐스'를 발견한다.
닐스가 알려준 주문을 외치면 베르틸의 몸도 어느새 닐스만큼 작아진다.
둘은 빵 조각과 미트볼 한 알 만으로도 배부르게 먹을 수 있고, 타 버린 성냥개비 몇 개만 있으면 방 안을 데워 따뜻하게 지낼 수도 있다. 베르틸은 소중한 친구 닐스와 함께 하루 종일 즐거운 시간을 보내느라 어느새 외롭거나 쓸쓸하지 않다.

🔖베르틸은 자기 윗옷 주머니 속에서 무엇인가가 움직이는 것을 느꼈어요. 따스한 것, 아주아주 따스한 것이었어요.
“엄마, 슬퍼하지 마세요. 난 혼자 있어도 무지무지 재미있어요.”
베르틸은 이렇게 말하며 옷 속으로 집게손가락을 넣어, 엄지 소년 닐스 카를손을 가만히 쓰다듬어 주었어요.

💬 내 아이가 어릴 적에 곁에 앉아 읽어주었던 이야기가 재출간 되어 반가웠다.
어느 외로운 날,
구석에 박혀있는 작은 쇠못을 누르고 "꼬꼬마 휘리릭!" 을 외치면 엄지처럼 작은 소년 닐스가 곁에서 미소 짓고 있을지도 모른다고 아이의 귓가에 속삭이던 날이 있었더랬다.

삐삐롱 스타킹을 워낙 좋아하던 아이라서 삐삐로타의 모습을
따라 하곤 하던 기억이 새록새록 올라온다.
삐삐도 다시 한번 만나러 가야겠다.

💬 예전에 아이와 읽었을 때는 '마루 밑 아리에티'처럼 외로운 아이에게 찾아온 작은 사람 친구 이야기로만 생각했었다.
다시 읽어보고 해석도 찾아보니, 닐스는 외로웠던 베르틸이 만들어낸 상상 속 친구였다는 의미라는 것을 알게 되어 왠지 마음이 짠해졌다.

심리학적으로는 이러한 상상의 친구가 비록 실존하는 사람은 아니지만 정서적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므로 걱정할 현상은 아니라는 이론을 육아서에서 본 적이 있다.
하지만 아이를 키우는 엄마 입장에서는 환경에 따라 다르게 생각될 수도 있는 문제라 한동안 뒤적뒤적 찾아보기도 했었던 기억이 난다.

💬 위로와 안정을 주며 기쁘게 하루를 보낼 수 있도록 곁을 지켜주는 상상 속의 친구를 언제까지나 사랑한다.
누구나 그런 시절이 있었던 만큼 누구나 그들을 사랑할 것이다.

< 엄지 소년 닐스 > 의 창비서평단으로 책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