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학동네 81호 - 2014.겨울 - 창간 20주년 기념호
문학동네 편집부 엮음 / 문학동네 / 2014년 11월
평점 :
『눈먼 자들의 국가』를 사놓고도 여태껏 읽지 못했다. 도저히 책을 펼쳐볼 엄두가 안 났다. 책 표지만 봐도 먹먹함이 몰려와서 일부러 다른 책 밑에 놓기까지 했다. 그러면 책이 얇아서 잘 보이지 않았다. 책의 존재 자체를 잊어버리기 일쑤였다. 그렇지만 거의 주기적으로, 그리고 강제적으로 책의 존재들 다시금 깨닫기도 했다. 그날 이후의 상황은 갈수록 더 답답해졌다. 개선의 실마리가 나타나기는커녕 더욱 가증스러운 사화의 민낯이 계속해서 드러나는데도 그날을 이제는 잊자는 여론이 우세해졌다. 그러니 반대편에서는 소리를 드높여 그날을 호명할 수밖에 없었다. 그와 함께 『눈먼 자들의 국가』 역시 연말연시에도 호명됐다. 그때마다 나는, 예전에 내가 그 책을 샀었지... 라고 생각하며 깊은 숨을 들이마셨다.
문학동네 겨울호에 실린 단편 중에 그날의 영향을 받은 작품이 많다는 소식을 들었다. 마침 또 창간 20주년 기념호라 쟁쟁한 작가의 단편이 무려 11권이나 실렸다는 설명도 덧붙여있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이전 호에 이어 또 다시 초판이 모두 팔려 2쇄를 찍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매진이 되어서 책을 사지 못하면 어쩌나 걱정하면서도 책을 덜컥 사기는 또 망설여졌다. 『눈먼 자들의 국가』를 샀을 때와 비슷한 일이 또 벌어질 것 같았다. 그렇게 고민을 반복하며 시간을 흘려보내던 어느 날, 문학동네 겨울호가 국내 문예지 사상 최초로 4쇄에 돌입했다는 대서특필과 마주했다. 결국 살 수밖에 없었다.
다행히 문학동네 겨울호를 펼치는 데 성공했다. 아무래도 소설이라 부담이 덜 느껴졌던 모양이다. 물론 그것이 크나큰 착각이었음을, 첫 번째로 택한 김영하의 <아이를 찾습니다>를 읽는 와중에 금세 깨달을 수 있었다. 한 순간 흔적도 없이 사라진 아이를 찾는 데 매달린 부모가 11년 만에 기적처럼 아이와 재회했을 때부터 책에서 눈을 떼고 멍하니 허공을 응시하기를 몇 번이고 반복해야 했다. 다행히 중간에 읽기를 그만두지 않고 끝까지 다 읽었다. 여전히 아득함이 느껴졌다. 하지만 왠지 『눈먼 자들의 국가』를 읽을 용기가 조금은 생긴 것 같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