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를 그만두다 - 소비자본주의의 모순을 꿰뚫고 내 삶의 가치를 지켜줄 적극적 대안과 실천
히라카와 가쓰미 지음, 정문주 옮김 / 더숲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제값주기 운동을 제안하는 목소리는 금세 묻히고 만다. 정말로 제값주기 운동을 주동한 것도 아니고 그저, 이런 건 어떨까요, 라고 조심스럽게 말해본 것인데도 대역죄인마냥 힐난을 듣는다. 비싼 돈 주고 사면 소비자만 손해 아니냐며, 그런다고 해서 장기적으로 생산 단가가 내려갈 리가 없다며, 오히려 더 비싸지기만 할 거라며, 멍청한 입을 닥치라는 식의 쏘아붙임을 당하게 되는 것이다. 예의를 갖춘 지인의 말이라고 해도, 어이구 이 순진한 사람아, 라는 식의 반응이 돌아오곤 한다.


내가 먼저 제값을 치르면 나만 손해 볼 뿐이다, 라는 생각이 완전히 틀린 것은 아니다. 하지만 모두가 그 생각에 갇혀 있으면 결국 다 같이 고통스러워지는 것 또한 분명한 사실이다. 말하자면 죄수의 딜레마와 비슷하다. 서로 제값을 치르면 최상의 결과를 얻게 되는데 상대가 제값을 치르지 않는 것을 걱정해서, 모두가 제값을 치르지 않아 결국에는 최악의 결과를 얻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대형마트에서 물건을 싸게 살 수 있는 이면에는 단가 후려치기에 앓고 있는 중소업체, 최저임금을 받으며 최고 수준의 감정 노동까지 강요받는 비정규직 노동자 등 제값을 받지 못하고 일하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그런데 중소업체나 비정규직 노동자가 누구인가 하면 우리 자신이다. 그러니까 우리는 소비자의 권리를 운운하며 돈을 매개로 갑질을 하는 주체인 동시에 갑질에 고통받는 피해자인 셈이다.


물론 쉽게 바꿀 수는 없는 현실이다. 하지만 아예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변화를 막는 것은 완고한 현실의 장벽이 아니라 불가능하다는 내면의 장벽이다. 바꿔 말하면 완고한 현실의 장벽을 만들어낸 것이 우리 자신이라는 말이다. 분명 10여 년 전만 하더라도 우리는 동네 슈퍼에서 먹을거리를 사고 동네 문방구에서 학교 준비물을 샀다. 지금은 굉장히 불편한 것처럼 여겨지는 삶의 방식으로 얼마 전까지만 해도 살아왔던 것이다.


일본도 유사한 시대 변화를 겪은 모양이다. 1950년생으로 일본 경제의 부흥과 쇠락을 몸소 일선에서 겪은 히라카와 가쓰미는 『소비를 그만두다』에서 소비자 마인드가 어떻게 보편화되었는지를 개인의 경험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젊은 나이에 창업을 해서 실리콘밸리를 오가기도 하는 사장으로 성공했지만, 이후에는 사업의 쇠락을 겪은 히라카와 가쓰미는 그야말로 일본 경제의 최전선에 서있던 사람이었다. 그러한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대세인 경제구조의 민낯을 제대로 드러내는 책이 『소비를 그만두다』인 것이다.


이 책은 결코, 산 속으로 들어가 속세와 연을 끊고 자급자족하며 살아가자, 같은 주장을 하고 있지 않다. 『소비를 그만두다』라는 제목이 다소 자극적이기는 하지만, 소비를 아예 하지 말자는 이야기를 담고 있는 건 아니고, 단지 공존할 수 있는 소비를 하자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또한, 동네 상권을 살리자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서로 얼굴을 알고 정서적인 교류를 나누는 상인이 파는 물건은 더 비쌀지언정 믿을 수 없는 물건은 아니고, 불필요한 소비도 줄어드는 효과가 생긴다는 것이다.


『소비를 그만두다』를 읽고 나니 공정여행이 떠올랐다. 현지 상인에게 정당한 가격을 지불하면서 현지인들과 교류도 넓히는 공정여행이 점차 늘어나는 것을 보면, 일상생활에서도 제값을 주고받으면서 공정하게 사는 것이 결코 불가능한 일은 아닐 것이라는 희망을 가져본다.


※ 리뷰 원문은 제 블로그에 있습니다.(http://bookchany.blog.me/22024555507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