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작하지 않은 세상, 자유롭거나 불편하거나 - 다른 세대, 공감과 소통의 책·책·책
옥영경.류옥하다 지음 / 한울림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제목이 길면서 특이하다. 제목만으로는 무엇을 말하려는지 감이 안 잡힌다. 저자는 두 명인데 그들의 이름은 더 특이하다. 독특함은 항상 내 시선을 끈다. 이 저자들이 누굴까 검색해 보며 책을 읽기 시작한다.


'옥영경'씨는 '자유학교 물꼬'를 설립하고 운영한다. 나이 스물둘부터 길 위에서 공교육에 맞서기도 하면서 공교육이 다루지 못하는 것을 경험하게 하는 교육을 하며 살아왔다. 남들이 살아가는 방식을 따르지 않고 자신만의 독특함을 고집한 삶을 살아온 자의 시선을 만나고 싶었다. 그에게는 아들이 있고 그의 이름이 '류옥하다'이다. 아마 양쪽 부모의 성을 따른 것 같은데 이름은 한 번 들으면 잊을 수 없다.


류옥하다는 16세까지 공교육을 받지 않고 자유학교에서 살림을 도우며 성장했다. 그는 보통의 아이들이 PC방을 다니고 게임을 할 때 산과 들을 뛰어다녔고 학원을 갈 때 도서관에 박혀서 책을 읽었다. 그의 어머니 옥영경씨는 그가 어릴 때 엄마의 일정이 있을 때면 아들을 도서관에 보내었고 그러기에 도서관이 곧 보육 시설이었다고 말했을 정도였다. 류옥하다는 17세가 되면서 제도권 교육에 참여했고 지금은 글 쓰는 의사를 꿈꾸며 의대에서 공부를 하고 있다.


범상치 않은 엄마와 아들이 책을 읽은 경험으로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생각들을 글로 주고받았다. 엄마 세대와 청년 세대가 바라보는 다른 관점도 존재했지만 더 나은 미래를 향한 생각들도 책을 통하면 접점이 존재했다. 그들의 삶의 중심에는 책이 있었다. 남들과 다른 삶을 살았기에 더욱더 책을 붙들고 살았는지도 모른다.




류옥하다는 책이 책을 부른다고 했다. 좋은 책은 삶에 역동성을 주고, 그것이 쌓여 가며 삶을 풍요롭고 즐겁게 만든다고. 그래서 책은 세상의 해상도를 높여 삶의 많은 영역에서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게 도움을 준다고 했다. 삶의 해상도를 높이는 책이란 표현이 마음에 들었다.

그의 어머니 옥영경은 책에 관해 이렇게 말했다.


"삶이 책을 일으키고 책이 삶을 세웠다. 수행하고 밥 짓고 차를 달이고 청소하고 들에 나가 풀을 뽑고 아이들을 만났고, 그리고 책을 읽었고, 그것이 다시 날마다의 삶을 안내했다."


저자는 세상이 납작하지 않고 울퉁불퉁하며 그 속에 사는 사람들도 다 개성 있다고 여긴다.

"어떤 생명도 납작한 것은 없다. 입체적이고 다차원적이기로야 사람인들 모자랄까. 삶에서 죽음으로 가는 것은 그저 단선적인 '시간'인데, 삶은 울룩불룩한 '공간'이다. 하여 사는 일이 자주 멀고 길고 깊다. 삶 앞에서 무슨 나이가 있고 성별이 있겠는가. 우리 모두 산다. 모두 수고롭다. 저마다 애닮고 처처마다 사연이라. 뭐가 이렇게 쉼 없이 뛰어다녀야 하나. 삶은 자꾸 우리에게 힘을 내기를 요구한다. 사는 일이 어째 자꾸 힘을 내야 살아진다. 그게 삶이다. 삶의 속성이 그러하다."(p193)



스마트폰을 쓰고 새벽 배송을 받으며 살아가는 이십 대 아들과 산과 들을 오가며 진정한 교육을 꿈꾸고 실천하는 오십 대 엄마의 <납작하지 않은 세상, 자유롭거나 불편하거나>는 책을 중심으로 미래를 꿈꾸고 삶을 껴안는 깊이 있는 시선이 담겨있는 공감과 소통의 책이다.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책을 읽고 개인적인 의견으로 쓴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