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치라 불린 사람들 - 지능과 관념 · 법 · 문화 · 인종 담론이 미친 지적 장애의 역사
사이먼 재럿 지음, 최이현 옮김, 정은희 감수 / 생각이음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발달장애인을 돌보는 일을 한다. 일을 하기 전에는 나와 관련 없다 생각했던 사람들이었지만 이제 내 삶에 그들은 깊숙이 들어와 있다. 그들을 만나고 함께하면서 그들에 대해 더 많은 것이 알고 싶어졌다. 그러다 만난 책이 바로 <백치라 불린 사람들>이었다.


저자인 사이먼 재럿은 지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위해 오랫동안 일했고 학습 장애에 대한 연구를 하는 역사가이자 작가다. 나는 이런 책을 원했다. 온전히 발달장애인에 초점이 맞추어진 책.


요즘 내 머릿속을 복잡하게 하는 이슈는 바로 '발달장애인들의 탈시설'이다. 이들이 어쩌다 시설에서 보호를 받게 되었고 또 어쩌다 탈시설의 정책에 따라 시설을 나와야 하는지.

작가 사이먼 재럿의 연구에 따르면 18세기까지만 해도 지능이 떨어진 사람들은 자신이 태어난 곳에서 지역 주민들과 함께 살아왔다. 그들을 놀리거나 속이는 일이 있긴 했어도 대부분의 지적 장애인들은 지역인들의 돌봄을 받으며 자신의 일을 하며 살아왔다고 한다. 그러다 계몽주의적 사고와 중앙집권적인 관리 체계가 이들을 관리해야 한다는 인식을 가지게 되고, 급기야 그들을 정신 치료한다는 목적으로 시설에 가두게 되었다고 한다.



책을 읽으며 충격적인 부분은 백인들의 인종차별적인 시선이었다. 백치에 대한 혐오의 시선이 인종을 넘어서서 개척시대에 만난 원주민들조차도 백치로 여겼다는 것이다. 백치들은 스스로 판단할 능력이 없기에 그들의 소유권과 각종 권리들을 국가가 관리해야 한다고 생각했고 그 원칙을 다른 대륙에 살아가는 사람에게까지 적용했다. 그러기에 백인들은 원주민의 땅과 모든 것을 빼앗고 그들을 죽이기까지 한 것을 합당한 일로 포장한 것이었다.


백치를 유전적 실패물로 여긴 우생학 또한 지적 장애인을 감금하고 치료한다는 목적으로 학대한 원인 중 하나였다. 작년에 베스트셀러였던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책을 읽으며 우생학이 무엇인지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우생학은 인류의 퇴보를 막기 위해 인종 개량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발달 장애인들이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으면 또다시 인류적인 실패물을 만들 수 있다는 생각으로 그들로 하여금 강제 불임 수술을 받게 했다는 내용을 읽고 경악했었는데, 이 책에서도 그런 내용이 나왔다. 우생학과 나치가 연결되어 실제로 가스실로 향한 지적장애인들도 다수였다고 하니 안타까웠다.






시설에서 살아가는 지적 장애인들의 삶이 이슈가 되자 다시 이들을 지역 사회로 돌려보내야 한다는 움직임이 생겨났다. 우리나라도 이런 분위기에 편승하여 장애인들을 시설에서 내보내는 일을 시작하고 있다. 지자체가 주관하는 탈시설정책은 지역 주민과 함께 살아가는 자연스러운 삶이라기보다는 보호를 시설 아닌 외부에서 하는 개념이다. 시설에서는 여러 명을 돌보지만 탈시설하면 한 사람만 집중해서 돌보기에 그 비용이 사실 엄청나다. 이런 방법으로 과연 진정한 탈시설이 이루어질지 의문이긴 하다.


발달장애인에 대한 이토록 깊은 연구를 한 작가 사이먼재럿의 열정에 참으로 감사한 마음을 느끼며 나도 이들을 위해 좀 더 관찰하고 연구하는 삶을 살아야겠다는 결심을 해본다.


<출판사에서 제공한 책을 읽고 개인적인 주관으로 쓴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