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남자를 위한 심리학
가토 다이조 지음, 석주원 옮김 / 디이니셔티브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생 회사를 위해 일하며 진정한 휴식이 무언지 모르고 사회가 만든 사다리를 충실히 오르려 노력하는 삶을 살아온 중년의 한국 남자들. 이들도 100세 인생의 절반인 50이 되면 인생의 두 번째 산을 오를 준비를 해야 한다.


그런데... 평생 회사에서 살아온 사람은 그럴 마음의 여유도 없고 방법도 모른다. 정상이 너무도 가까운데 닿을 듯 말 듯 하니 포기할 수가 없는 것이다.


정상 도달에 성공한 자는 다음 산을 오를 준비를 할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자신이 진정 원하는 것을 모른 채 달려왔기에 인생의 다음 산을 준비할 마음이 없다. 그냥 정상에 머무르려만 한다.


정상 도달에 실패한 자도 오랜만에 자신에게 부여된 자유의 시간을 누리지 못한다. 평생 그렇게 살아본 적이 없으니까 자신이 무엇을 하고 싶은지, 무엇을 좋아하는지조차 알지 못한다.


일본의 '가토 다이조'는 <50대 남자를 위한 심리학>을 통해 50대 이후 삶을 어떤 마음으로 준비하며 살아야 하는가에 대해 알려주는 책이다.


인간의 나이에는 육체적 나이, 사회적 나이, 심리적 나이가 있다. 갑작스러운 은퇴를 하거나 새로운 준비를 하려는 중년은 자신의 심리적 나이를 알아야 한다. 이제껏 자신은 육체적 나이로 대우받고 사회적 나이로 살아왔기 때문이다.


<50대 남자를 위한 심리학>은 50대에 자신을 돌아보고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고자 하는 남성들에게 조언을 던져준다. 심리학 책이 익숙하다면 내용이 식상할 수도 있지만, 심리적 나이조차 알지 못하는 중년의 남성에게는 자신을 찾아가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책이다.





"왜 좋아하는 것이 없는 것일까"


저자의 답은 무엇일까? 좋아하는 것을 찾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좋아하는 것이 없는 것이다.

어떻게 좋아하는 것이 없을 수 있을까?

삶을 살아오는 동안 나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으려는 태도보다 사회적인 자아를 더 중요히 여기며 살아왔기 때문이다.

무의식 속에 주어진 나를 향한 과제를 무시하고 오로지 자신을 방어하기 바빴기에 자신이 진정 좋아하는 일을 찾지 못한 사람이 된 것이다.


그래서, 자주 자신에게 물어야 한다.

'정말 내가 하고 있는 이 일에 관심이 있는가?'라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찾아 나의 고유성을 만들어 자기 정체성을 확립함으로써 인생 후반기를 살아갈 '내적인 힘'을 길러야 한다.


<출판사에서 제공한 책을 읽고 개인적인 의견을 쓴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