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실격 에디터스 컬렉션 12
다자이 오사무 지음, 오유리 옮김 / 문예출판사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수 '요조'는 다자이 오사무의 '인간 실격'에 나오는 주인공을 좋아해서 요조라는 이름을 지었다고 했다. 소설의 인물이 얼마나 매력적이기에 가수를 포함한 많은 젊은이들이 소설 속 '요조'에 열광하는 것일까 하는 의문으로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처음 시도에서는 요조의 매력에 전혀 빠져들지 못했었다. 나는 긍정적 성향을 가진 사람이라 어둡고 부정적인 언어를 사용하며 누구와도 가까워지지 못하는 요조를 이해하지 못했다. 요조의 칙칙함이 혹여 나에게 들러붙기라도 할까 봐 읽자마자 책을 밀어내었다.


그런데, 삶을 대하다 보니 가끔씩 머릿속에서 이해하기 힘들었던 요조라는 사람이 툭툭 떠오를 때가 있었다. "왜지?" 하는 의문이 계속 생겼고, 그래서 다시 '인간실격'을 읽어보기로 했다. 내가 발견하지 못했던 뭔가를 찾을 수도 있으니까.




문학 작품은 읽으면 읽을수록 가슴에 와닿는다고 한다. 시대를 뛰어넘고 사유하게 하는 것이 문학의 가치라고 하는데, 재독으로 다가온 '인간실격'은 내게 놀라웠다. 계속해서 책을 손에서 떼지 못하게 하는 문학의 맛을 느끼게 했다.


처음 읽었을 때는 요조를 향해 '머저리 같은 놈', '가지가지 하네'라는 생각까지 했었다. 아무래도 나이가 있다 보니 꼰대적 성향이 나왔던 것 같다. 재독에서 만난 요조는...


사람은 같을 수 없지만, 다른 사람과 닮고 싶고 공감받고 싶고 동질감을 느끼고 싶어 한다. 하지만 살다 보면 그런 사람을 만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나와 타인의 다름이 드러나는 순간 나의 치부가 드러나는 느낌이 들어 상처받아본 사람이라면 요조가 타인 앞에서 자신을 철저히 숨기고 우스꽝스러운 행동을 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요조의 행동은 여전히 공감하기 힘든 부분도 있었지만 그의 말에는 사람살이의 진리를 꿰뚫는 부분이 많았다. 어쩌면 사람들은 누구나 요조처럼 대인기피증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을 것이다. 그 정도에서는 차이가 있겠지만.




신뢰의 화신인 요시코. 그녀의 경계할 줄 모르는 성격에 요조는 순수함을 느꼈지만 그 순수함 때문에 그녀는 겁탈을 당하고 망가진다. 요조는 신뢰가 죄인지 신에게 묻는다. 자기 계발서나 도덕적 책이라면 무한 신뢰의 캐릭터를 성공자로 몰아갈 것인데 다자이 오사무는 완전히 짓밟아버렸다. 신뢰를 전혀 알지 못하던 요조가 신뢰의 가치를 알고 삶에서 조금의 전진을 이루는 듯 보였으나 요시코의 사건은 두 사람의 삶을 박살 내어버렸다. 요조를 알코올 중독자에 약쟁이로 만든 계기가 된 사건이었으니까.





인간실격의 구성 또한 특이하다. 첫 도입부에 나오는 화자와 본 소설의 주인공 요조 그리고 후기의 화자가 같은 사람인지 다른 사람인지도 헷갈린다. 아리송하면서 궁금한 마음, 그것 또한 책을 대하는 또 하나의 재미가 아닐까.


<출판사에서 제공한 책을 읽고 개인적인 감상을 쓴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