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보는 사람들 - 버지니아 울프, 젤다 피츠제럴드 그리고 나의 아버지
샘 밀스 지음, 이승민 옮김 / 정은문고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돌보는 사람들'은 가족을 간병하는 삶을 직접 경험한 영국의 소설가가 간병인의 고통과 감정, 간병의 고통을 겪은 예술가들의 삶, 그리고 돌봄의 사회과학적 관점등을 들여다보고 기술한 책이다.


영국 작가 샘밀스는 아버지의 조현병으로 어린 시절부터 가난을 경험했다. 직장을 다닐 수 없는 아버지를 대신해 엄마가 돈을 벌며 아이들을 양육하고 남편의 간병까지 책임을 졌기에 삶은 힘들 수밖에 없었다. 가난했지만 어린 시절부터 책을 읽고 글을 쓰는 것을 좋아했던 작가는 성장하여 소설가가 되었고 독립출판사도 설립했다. 힘든 상황 속에서도 심리학 학사 학위를 따고자 했던 엄마는 자신의 꿈은 이루지 못했지만 딸을 향하여 적극적인 옹호자이자 지지자가 되어 주었다.


그런던 어느 날 엄마가 암에 걸리게 된다. 우리 주변에도 보면 장기간 가족의 간병을 하던 사람이 스트레스로 인해 암에 걸리는 경우를 자주 보게 된다. 샘 밀스는 오빠와 남동생이 있었지만 엄마와의 돈독한 관계를 생각하며 자발적으로 엄마의 간병인이 된다.


가족이 간병인이 된다는 것은 때로는 감정의 샌드백이 된다는 뜻이라고 작가는 말한다. 평생 딸을 위해 헌신하고 사랑을 보여주며 지혜로웠던 엄마는 죽음이 다가오자 완전히 다른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샘은 간병인은 아픈 당사자가 아니라 그가 앓고 있는 병이 말을 할 때가 많다는 사실을 스스로 상기해야 한다는 것을 깊이 깨달았다고 고백 했다. 엄마는 죽음 앞에서 아버지를 걱정했고 딸에게 아빠의 간병을 부탁했다.


작가는 프리랜스 직업이다. 고정적 수입이 있지 않고 자신만의 시간과 공간이 있어야 하지만 간병인 샘에게는 그럴 여유가 없었다. 부모님의 간병에 은행 잔고가 바닥이 났고, 남자 친구와도 결별을 하게 되었다. 조현병으로 자주 위급상황이 발생하는 아버지를 걱정하느라 자신의 삶도 돌아보지 못했다. 그러면서 조현병을 겪었던 버지니아 울프와 젤다 피츠제럴드를 상기하고 그들의 남편인 레너드 와 스콧을 살펴보았다. 레너드는 간병인으로서의 자신의 짐을 무겁게 여겼으나 책임감 있게 끝까지 버지니아 울프를 간병했고, 스콧은 타인을 보살필 능력이 부족한 사람이다보니 알코올 중독에 걸려 결국 아내 젤다와 스콧은 둘 다 침몰하게 된다. 두 에술가 가족의 삶을 살펴보며 샘은 간병인으로서의 자신이 어떻게 나아가야 할 지 고민했다.






누구나 어릴 적에는 돌봄을 받지만 나이가 들면 돌봄을 제공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물론 복지국가로 나아가면서 돌봄의 짐이 감소되는 경향도 있지만 가장 가까운 가족의 돌봄 책임은 절대 사라지지 않는다. 고령화 시대가 되면서 돌봄에 대한 책임은 더욱 더 우리 가까이에 다가와 있다. 그러하기에 샘밀스의 돌봄에 관한 세밀한 관찰과 조사, 그리고 깊이있는 통찰의 글은 돌봄이라는 책무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우리 모두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했다.


<출판사에서제공받은책을읽고주관적인견해로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