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어 천년을 살리라 1 - 안중근 평전
이문열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어 천년을 살리라 1> 소설은 <젊은 날의 초상>을 쓴 작가인 이문열 선생님의 작품이다. 10년 전 <불멸>이란 제목으로 안중근 의사의 삶을 소설로 펼쳤었다.


이문열 작가는 서문에서 <불멸>이라는 제목이 안중근이란 인물을 표현하는데 부족하다고 느꼈고 한동안 더 적절한 제목을 붙이기 위해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했다. 안중근 의사의 추모식에서 중국인들이 반복하여 사용한 어구에 영감을 받아 <죽어 천년을 살리라>를 인용하여 제목을 새롭게 만들어 책을 재출간하였다.


이 책의 전반부에서 나의 관심을 끈 부분은 안중근 가족이 호족처럼 살아왔던 청계동 살이를 했던 시대였다. 이때 백범 김 구 선생이 잠시 청계동 집으로 피신을 왔고 그 부모님들까지 청계동에 살게 되는 부분이 나오는데 백범 일지에서 읽었던 내용과 교차되는 역사적 사실이 상당히 흥미로웠다. 안중근 의사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김구 선생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음은 당연한 일이였다.


또 한 명 안중근에게 영향을 끼친 사람은 그의 아버지 안태훈이었다. 그는 5형제 중 3남이지만 전 가족의 리더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국가의 운명과 미래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주도적으로 그리고 적극적으로 나라를 위해 앞장서서 행동하는 사람이었다. 죽는 날까지 국가를 위해 헌신하는 그의 삶은 젊은 중근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가족뿐만 아니라 안중근을 불꽃같이 살아가게 하도록 한 사람은 천주교 신부들이였다. 국가를 위해 헌신하다가 오히려 도둑으로 몰려버린 가족의 역경 속에서 피신처로 선택한 곳이 바로 천주교였다. 세례 신자였던 안중근은 오랫동안 천주교 신부들과 함께 했고, 그들을 통해 나라 밖 세력 싸움에 대해 넓은 식견을 얻게 되었다. 상해로 모든 가족의 거처를 옮기고 자신은 국내에서 항일 운동을 하려 했을 때도 유익한 조언을 했던 자도 바로 신부님이었고, 그의 조언대로 안중근은 해외로 거처를 옮기는 대신 민중의 교육에 힘을 쏟았다.


위인전과 소설의 큰 차이는 바로 이문열이라는 작가의 필력이었다. 그의 소설은 문학적 깊이가 있는 어휘들로 구성된 글로 책을 읽는 동안 사색의 시간을 가지게 했다. 또한 그의 취재 능력은 놀라웠다. 역사적인 인물을 소설이라는 책으로 탄생시키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 동안 폭넓은 연구를 해야만 한다. 그 연구의 결과를 생동감 있게 다시 스토리로 탄생 시킨 작가의 능력으로 인해 안중근이란 인물을 영화를 보듯 재미있게 알아 갈 수 있었다.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책을 읽고 주관적인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