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브 (양장) 소설Y
단요 지음 / 창비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57년

한반도의 많은 곳이 물에 잠긴다.

지구 온난화가 빙하를 녹였고, 서울의 아파트와 빌딩이 잠기고 사람들은 높은 산에서 살아가게 된다.

디스토피아가 무대가 된 소설 '다이브'.

창비 소설 Y 클럽의 서평단으로 선정되어 가제본 소설 대본과 이름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설렘 가득찬 작가의 편지도 받았다.


구병모 작가일 수도 있다고 생각했지만 글의 전개 방식이나 캐릭터에 대한 설정이 달랐다. 도대체 작가가 누구일까 궁금해하며 소설을 읽었고, 마침내 책이 출간되었다. '단요'라는 신예 작가의 작품이었다. 창의성이 뛰어난 작가의 다음 소설도 벌써 기대된다.




서울이 물에 잠겨서 노고산에서 살아가는 물꾼인 '선율'은 남산 물꾼 '우찬'과의 내기를 위해 물 속에서 진기한 물건을 찾던 중 큐브에 갇힌 '수호'를 발견한다. 사람이 물 속에서 살아남을 수는 없고, 당연히 수호는 기계 인간이었다. 2038년에 데이터가 입력되어 인간 수호와 똑같은 모습으로 만들어진 기계인간이 '선율'에 의해 2057년 다시 태어나게 된 것이다.


서울이 물에 잠긴 것은 15년 전. 수호의 기억이 끝난 2038년과 4년의 갭이 있다. 수호는 물꾼들의 내기에 전리품으로 나가는 대신 선율에게 잃어버린 시간의 기억을 찾아달라고 한다. 그렇게 둘은 잠든 과거의 기억을 찾아 물로 들어가게 된다.


소설 속에서 흔한 주인공의 남녀간의 사랑 이야기보다는 가족을 잃었지만 함께 살아가는 아이들의 우정과 연대가 부각되는 소설이라 재미와 울림이 있었다. 부모의 자녀에 대한 포기할 줄 모르는 사랑이 만들어낸 기계 인간 수호는 오히려 죽을 수 있는 자유마저 빼앗겨버리고 고통을 받았다. 수호는 선율을 포함한 노고산의 물꾼들을 만나 자유와 선택, 그리고 우정이 가져오는 따뜻함을 비로소 체험하게 된다. 아무리 세상이 힘들어져도 함께 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그래도 살아갈 힘이 생긴다는 것, 결국 우리는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야 함을 소설을 통해 다시 한 번 느꼈다.




물에 잠긴 서울의 대형 빌딩들 사이를 잠수하고 헤엄치는 아이들을 상상하며 글을 읽으면서 정말 그런 세상이 온다면 어떻게 살아갈까 두렵기도 했다. 지구 온난화가 물 아니면 불로 세상을 황폐화 시킬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생각하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