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 행복론 - 97세 경제학 교수가 물질의 시대에 던지는 질문
리처드 이스털린 지음, 안세민 옮김 / 윌북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떻게 하면 행복해질까?

세계적인 경제학자 이스털린은 "일정 소득을 넘어 기본 욕구가 충족되면 소득이 증가해도 더 행복해지지 않는다"라는 '이스털린의 역설'로 유명하다. 행복이라는 감정적 만족을 경제학과 접목시켜 '행복경제학'을 탄생시켰고 그의 강의를 모아 발간한 책이 <지적 행복론>이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행복을 경제학적 관점으로 설명할 때 좀 더 구체적으로 행복해지는 방법에 다가갈 수 있다고 한다.


이스털린이 주장하는 행복해지기 위한 절대적인 세 가지 필요조건은 소득, 건강, 가정이다.

빈곤 국가에는 소득이 증가하면 당연히 행복 지수가 올라간다. 하지만 부유한 국가에서는 소득이 계속 올라가기도 힘들지만 올라간다고 해도 어느 수준에서는 만족도가 증가하지는 않는다. 돈을 더 버는데도 행복감이 늘지 않는다고?

더 재미있는 사실은 내가 받은 소득이 줄어도 다른 사람과 비교하였을 때 더 많은 소득이라면 행복감이 줄어들지 않는다는 것이다.


소득 수준이 어느 수준을 넘어서면서부터는 행복과 연결되는 데는 타인과의 비교가 상당히 중요하다. 그러므로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소득 증진만을 목표를 해서는 안 된다. 소득 수준이 평균 수준을 넘어서면 행복을 위한 필수 조건인 건강과 가정에 더 많이 집중하는 것이 좋다.




건강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칠 때는 소득과 다른 기준이 적용된다. 소득은 다른 사람의 현재 경제 상황과의 비교가 크게 작용한다면 건강은 나 자신의 과거와의 비교가 중요하다. 나이 든 어르신이 건강하지 못한 자신으로 불행해한다면 대부분 건강했던 자신의 과거와 비교할 때이다. '예전에는..... 이랬는데, 이제는 꿈도 못 꾼다'라며 슬퍼하는 얘기를 들을 수 있다.


나이를 먹는다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일이다. 그런데 가끔씩 젊을 때보다 더 건강하게 살아가는 액티브 시니어를 만난다. 그들의 활기차고 만족해하는 표정은 건강 관리가 행복감을 증진시켜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건강과 행복의 관계는 '과거의 건강한 나'라는 비교 기준은 바뀌지 않으므로 열심히 건강을 위해 노력하면 행복해지고, 건강을 소홀히 하면 덜 행복해지는 것이다.



행복의 필수 조건 중 하나가 배우자와 자녀다. 여러 종류의 설문과 연구 데이터를 통해 사람은 결혼 후 더 행복해했고 자녀가 있으면 더 행복해한다. 이혼이나 사별 후 행복감은 떨어졌고, 가장 불행한 사람은 별거 중인 사람이었다.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사회적 비교를 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버는 돈이 많은 사람은 점점 더 많은 것을 갖고 싶어 한다. 주변 사람들을 따라가려 하기보다는 자기가 정말 갖고 싶은 것에 집중하며 살려고 노력해야 한다.


행복해지기 위한 또 하나의 방법은 이전보다 시간을 더 잘 활용하는 것이다. 시간을 돈을 버는데 더 많이 쓰는 것보다 건강과 가정에 더 많이 배분하는 것이 지속적으로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는 방법임을 명심해야 한다.


책의 주제가 행복이기에 책을 읽는 동안 나의 삶도 돌아보는 시간이 되었다. 나의 지속적인 행복을 위해 세계적 학자의 조언대로 남과의 비교보다는 내가 진정 원하는 것에 집중하는 연습을 하며 행복 혁명 시대를 살아가야겠다고 다짐했다.


<출판사에서 제공한 책을 읽고, 주관적인 견해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