뼈의 학교 - 뼈를 사랑하게 된 사람들의 이야기 뼈의 학교 1
모리구치 미쓰루.야스다 마모루 지음, 박소연 옮김 / 숲의전설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유숲 중고등학교'는 일본의 대안학교다. 그 학교의 과학 선생님인 모리구치와 야스다의 취향은 독특하다. 그들은 숲에서 죽은 동물의 사체를 찾아다닌다. 더 정확히 말하면 '동물 뼈 수집가'들이다. 과학의 호기심으로 책을 들었지만 사체에서 뼈를 걸러내는 세세한 작업의 과정을 읽는 것은 위생적인 면에서 좀 불편하기도 했다. 처음에는 선생님들의 호기심으로 시작한 일이었는데 몇몇 학생들이 관심을 가지게 되어 그들은 여러 동물들의 골격 표본을 만들게 되었다. 


고등학생이 된 '미노루'는 두 선생님과 뼈 모형을 만들었다. 학교가 숲에 있어서 너구리, 토끼, 여우, 날다람쥐, 흰코사양고양이, 오소리, 흰다리넓적붉은쥐 그리고 바다에 가서 바다거북, 잉어, 복어...... 셀 수 없이 많은 동물들의 뼈를 주웠고, 해부했고, 다시 합쳐서 완벽한 골격 표본을 만들었다. 하물며 프라이드 치킨을 먹고도 닭 표본을 만들었다. 그의 뼈에 대한 집념은 강했다. 선생님과 뼈줍기에 경쟁을 할 정도였다.   



선생님이 뼈 수집을 갔다가 고래뼈를 발견했지만 너무 크고 멀어서 포기하고 돌아온 적이 있다. 미노루는 그 곳까지 달려가서 어떻게든 그 뼈를 학교로 택배를 보내게 된다. 이런 행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은 미노루가 뼈활동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능력을 길렀고, 열정의 크기를 키웠기 때문이다. 거기다가 그 큰뼈를 바닷가에서 택배사로 끌고와서 택배로 부쳐야하는건 쉬운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미노루의 배움은 차원이 달랐다. 스스로의 능력을 최대치로 끌어올리는 경험을 하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찾아 탐구하며 자신은 얼마나 많이 성장했을까? 흩어진 다양한 뼈를 보고 어느 동물의 어느 부위의 뼈인지를 알아내려면 분석력과 탐구력과 통찰력이 필요하다. 3년동안 이런 능력을 반복적으로 갈고 닦았으니 문제집이 제공하는 것과는 결이 다른 학습 능력을 습득한 것이다.  

"Problem Solving Skill"은 울타리 안에서 얻기 힘든 능력으로 여행, 직장 생활, 자녀 양육등 성인이 되어 살아가는데 없어서는 안될 능력인데, 미노루는 그 능력을 뼈에 열정을 쏟으며 자연스럽게 배웠다. 교육학에서 말하는 성장을 판단하는 모든 요건들을 미노루는 스스로의 관심으로 성취해냈다. 그는 고등학교 졸업 후 스스로 독일어를 공부하고 유학을 떠났다고 한다. 배움은 미노루처럼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