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는 습관이다 - 적당한 거리에서 행복한 인간관계를 만드는 태도
김진 지음 / SISO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굴이 잘생기거나 미인은 아닌데도 자꾸 보고 싶어지는 사람이 있다. 그 사람은 만나는 사람들의 기분을 좋게해주는 마법을 가진 사람이다. 미소가 아름다운 사람 또는 인상이 너무 좋다는 얘기를 자주듣게 되는 사람이 그런 마법을 가진 사람이다. 사람들은 이런 인상좋은 사람에게 끌리게 마련이다. 인상이 좋은 사람이 아닌데도 만나면 기분 좋아지고 또 보고 싶어지는 사람이 있다. 진실된 사람. 마음이 뜨거운 사람. 자신감을 드러내면서도 겸손하며 남을 존중해주는 사람. 약속을 칼같이 지키는 사람.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적당한 거리를 유지할 줄 아는 사람. 시간의 힘을 믿고 너무 밀어붙치지 않고 서서히 자연스럽게 다가설 줄 아는 사람. 이런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마음을 쉽게 얻을 수 있는 사람들이다. 끌리는 사람들의 특성이라고 볼 수 있다.


사람의 마음을 얻으려면 보이지 않는 기술이 필요합니다.운이 좋아서 좋은 관계가 만들어졌을지라도 그 관계가 오래가느냐 아니냐는 관계의 기술이 좌우합니다. 관계의 첫 단추는 나로부터 시작됩니다. 다가가는 것, 받아들이는 것, 또 밀어내는 것 역시 나의 마음니니까요. 그러므로 관계를 잘 맺으려면 우선 나부터 돌아보아야 합니다.   p20




끌리는 사람못지 않게 부러운 사람은 어딜 가나 환영받는 사람들이다. 그런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평소에 환영받을만한 일을 하고 산다. 어딜가나 환영받는 행복한 인간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사람들을 살펴보면 10가지의 규칙이 있다. 여기서는 세 가지의 규칙만 소개해보려 한다.

한식만 줄기차게 먹으면 아무리 한식을 좋아해도 먹기 싫어진다. 사람과의 관계에도 가끔씩의 싫증은 피할수 없는 일이다. 하지만, 초심이란 서로와의 관계에 있는 믿음을 지키는 것이다. 자신에 대한 믿음과 타인에 대한 믿음을.

처음과 끝이 같은 사람은 다른 사람을 대할 때 타인을 자기 자신처럼 대하는 사람이다. 상처줄 수 있는 말을 피하고 상대방을 배려하는 말을 해주는 사람이다. 말뿐인 친절만 있는 사람이 아니고 따스한 표정까지 소유한 사람이다.

자신감은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내면을 마주하고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면 습관처럼 몸에 익힐 수 있다. 노력을 함으로써 자신감을 나의 것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저는 부족함을 채우려하는 것이 자신감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신감은 인위적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마음을 먹든 행동으로 표출하든 말이죠. 자신감은 누구가 억지로 만들 수 밖에 없고, 그것이 쌓이고 쌓여 자신감이 몸에 밴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p98




사람들은 인간 관계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기도 하고, 좋은 관계를 가진 사람들로 부터 기쁨을 얻기도 한다. 좋은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시작은 바로 자기 자신이다. 자신이 매력적인 사람이 되어 다른 사람들로부터 좋은 대우를 받게되는 것이 좋은 인간관계를 만드는 기초석이 되는 것이다. 나는 이 책에서 좋은 관계를 맺기 위해서는관계의 기술이 필요하다는 말이 마음에 와 닿았다. 그리고 그 관계의 기술을 위한 모든 태도들은 나의 노력여하에 달려있다. 제목인 "관계는 습관이다."도 바로 이런 맥락에서 나온것임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의 저자인 김 진 작가의 부록에 들어있는 "매력적인 하루를 만드는 마움가짐"을 읽으며 그도 관계의 중심이 되는 "자신"을 훈련하느라 노력하는 삶을 살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저절로 눈이 떠지는 새벽을 맞이하기 위하여 절실한 목표를 가진다고 했다. 꿈이 있는 사람은 소풍가는 아이처럼 아침을 설레며 맞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새벽마다 글쓰기의 시간을 갖고 자신과의 대화를 위해 출퇴근 시간과 점심 시간을 활용하고, 몸의 건강을 위해 간헐적 단식을 실행하며 살아가는 그의 모습이 습관형성을 위한 노력이라는 책의 주제를 그대로 드러내고 있는 것 같았다. 요즈음 에세이 책을 읽을때마다 작가들의 삶을 간접적으로 느낄수가 있었다. 삶을 향해 무한히 노력하고 애쓰는 분들이 결국 책을 출판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에너지를 줄 수 있는 작가로 성공할 수 있는 것 같다. 이 책의 부록을 읽으면서 김 진 작가님뿐만 아니라 신작을 출판하는 젊은 작가님들 한 분 한 분에게 그들의 노력하는 삶에 감사하는 마음이 생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