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수용소에서 (양장) - 빅터 프랭클의
빅터 프랭클 지음, 이시형 옮김 / 청아출판사 / 200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프랭클 박사의 강제수용소에서 겪은 자전적인 이야기다.그 체험담과 함께 그의 경험으로 나온 메세지가 책에 담겨있다.

 

이 책은 제목도 그렇고 아이슈비츠 수용소라는 단어에서 오는 무게감 때문에 굉장히 어두운 과거이고 무거운 책일것이라고 추측했었다.그런 무게감을 안고서 책장을 넘기기 시작했는데..이 책은 완전 몰입할 수 있는 재밌는 책이면서도 희망을 이야기하는 희망적이고 밝은 책이었다.

 

이 책은 보통 사람들이 갖고 있는 이야기와는 좀 반대되는 책일지도 모른다.

 

실제로 아이슈비츠에서는 사람들이 죽음과 삶의 두갈래 길을 걸어갔다.

그 차이가 무엇이었을까?

흔히 말하듯 내일에 대한 낙관적인 희망을 품으면 살아남았을까?

그것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주는 책이다.

그리고 이 책은 절망의 순간에 처했을 때의 태도를 말할 때 자주 인용되는 책이다.

나도 그래서 이 책의 제목을 적어놓는 계기도 되었다.

내일에 대한 희망이 아니었다면 그럼 뭐지?

그것은 의미다.삶의 의미.그리고 죽음이 갖는 의미..

그 의미를 갖은자가 살고..또 죽더라도 가치있게 살다가 갔다는 증거이다.

 

일례로 대표적인 심리학자인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이렇게 말했다.

 

다양한 종류의 사람들을 똑같이 굶주림에 시달리도록 해보자.배고픔이라는 절박한 압박이 점점 커짐에 따라 각 개인의 차이는 모호해지고,그 대신 채워지지 않는 욕구를 표현하는 단 하나의 목소리만 나타나게 된다.”






 

그는 강제수용소에서의 일을 몰랐다.우리의 평화로운 일상과 풍요로운 환경에서는 어쩌면 평생 모르고 지나갈 수 있는 이야기다.

 

하지만 프로이트의 말과는 전혀 다르게 수용소에서는 '개인적 차이가'가 모호하지 않았다고 한다.오히려 그 차이점은 분명하게 드러났으며 사람들은 가면을 벗고 돼지와 성자의 두 부류로 나뉘어졌다고 한다.

 


 

인간의 존엄성이란 인간의 유용성에 있지 않다.사람이 사회에 이로운 존재인가 아닌가 하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초점을 맞추어 정의되는 사회,그 사람이 이루어 낸 성과를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여기고,그래서 사회적으로 성공하고 행복한 사람,특히 젊은 사람들을 숭배하는 것이 요즘 사회의 특징이다.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은 히틀러의 계획에 따라 자행된 안락사 즉 유용한 사람만 남겨지는 행위에 변명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인간에게는 아무리 악조건이라도 이에 저항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태어난다.

 

사람이 행복하려면 '행복해야 할 이유'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일단 그 이유를 찾으면 인간은 저절로 행복해진다.인간은 행복을 찾는 존재가 아니라 주어진 상황에 내재해 있는 잠재적인 의미를 실현시킴으로써 행복할 이유를 찾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사람이 일단 의미를 찾는데 성공하면,그것이 그에게 행복을 가져다줄 뿐 아니라 시련을 견딜 수 있는 힘도 준다.

 


 

*로고스LOGOS '의미'를 뜻하는 그리스어다.

 

로고테라피는 환자가 삶의 의미와 직접 대면하게 하고 그것을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로고스테라피 이론에서는 인간의 자신의 삶에서 어떤 의미를 찾고자 하는 노력을 인간의 원초적 동력으로 보고 있다.

 


 

그가 아이슈비츠 수용소에 들어갔을 때 먼저 왔던 사람이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가능하면 매일같이 면도를 하게.유리 조각으로 면도를 해야 하는 한이 있더라도.그것 때문에 마지막 빵을 포기해야 하더라도 말일세.그러면 더 젊어 보일거야.살아남기를 바란다면 일할 능력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거야.”

 


 

이 이야기를 곰곰히 생각해 보게 된다.면도를 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오늘 죽을지 내일 죽을지도 모르는 상황에서의 면도의 의미는?

 

먹을 물도 없는 환경에서 그 물로 세수를 한다면 과연 어떨까?

 

마음가짐이 거기서 달라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우리는 오늘도 단정하게 씻고 옷 매무새를 만진다.

 

어떠한 행위는 반드시 타인에게 보이기 위함 만은 아니다.오늘 내가 하루종일 집에 있어보자.아무도 오는 사람이 없다.그랬다고 할 경우라도 그 하루를 맞이하는 자세를 본다면 그 사람의 생각과 삶에 대한 전체적인 그림까지 엿볼 수 있지 않을까?

 


 

의미란 참 중요하다.

 

죽음에도 의미가 있고 삶에도 의미가 있다.

 

그것을 찾은 자는 오늘도 행복한 삶을 사는 지름길...

 


 

정말 좋은 책을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