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만 보는 바보 진경문고 6
안소영 지음 / 보림 / 200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덕무와 그의 벗들 이야기

이 책의 제목은 여러번 들었었는데..제목 속에 책이나 혹은 독서라는 단어가 들어가면 나는 보통 두 가지의 마음이 든다. 왠지 읽어야 할 것 같은 독서에 대한 의리 비슷한 것, 그러나 왠지 뻔할 것 같은 내용에 대한 지레 두려움

아마도 그런 두 마음으로 미루던 책 과의 만남을 나는 올 가을에 하였다.

이 책을 읽으면서 ‘아 그래 간서치’ 하며 반가워 웃고 ,이웃 블로거님의 ‘감히간서치’라는 네임명이 얼마나 좋은것인가 생각해보며..

나는 이 책을 가까이 두고 이덕무가 마치 벗을 가까이 하듯 나도 옆에 두며 종종 함께 했다.

이 책을 만나고 벌써 몇번의 책을 읽고 독서리뷰를 올렸으나 이 책은 미뤄두고 있었던 중이다.


나는 책만 보는 바보


그는 정말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었다. 어려서부터 햇살과 함께 감미로운 책읽기를 하며 성장했고 책에 정신이 팔리면 밥을 먹지 않아도 배가 부르고 책만 봐도 웃음이 저절로 나왔다. 책을 보다가 큰 뜻이라도 깨치면 그 내용을 큰 소리로 고함을 지르거나 웅얼거리기도 한다. 그러니 사람들은 그를 ‘간서치’라고 놀리는 것이다. 어딘가 모자라는, 책만 보는 바보라는 말이다. 이덕무는 그 소리가 싫지 않았다.


그를 보면 나의 책 사랑은 흉내에 지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든다. 나는 책읽기에 그리 빠져보지는 못하였다. 그저 ‘아 그럴수 있지’ 정도로 책 읽기와 사랑에 빠지는 것이 얼마나 달콤한 것인지 조금 헤아릴 뿐이다.


[나는 책 속에서 소리를 듣는다. 머나먼 북쪽 변방의 매서운 겨울바람 소리, 먼 옛날 가을 귀뚜라미 소리가 책에서 들린다. ...책 속에는 또 사람의 목소리가 있다. 세상살이와 사람살이에 대한 깨우침을 주는 나지막한 목소리가 있고 그늘진 신세를 한탄하는 울적한 목소리도 있다….나는 또한 그림을 보듯 책을 본다. 아무도 가 보지 않은 울창한 숲을, 책은 나에게 보여 준다. 그 숲으로 한 발 내디뎌 본다.높이 뻗은 아름드리나무들은 하늘마저 조각내 새롭게 보이게 하고, 채 마르지 않은 아침 이슬은 내 무릎을 적신다.어떨 때에는 책에서 냄새가 나기도 한다. 사람의 손때와 먼지, 습기를 머금은 책 특유의 냄새가 아니다. 자연이 저마다 독특하게 자신을 드러내 보이는 그런 냄새이다 p52]

책을 대할 때마다 이렇게 눈과 귀,코, 입 등 내 몸의 모든 감각은 깨어나 살아 움직인다. ㅇ책 읽기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말해주는 이덕무의 경험담이다.


이덕무가 더욱 신기한 것은 그의 벗들이다. 그 사람을 보면 벗을 보라했지 않나.

이덕무는 생소해도 그의 벗들은 익히 더 잘 아는 사람들이었다.

연암 박지원,박제가,  유득공, 또 백동수는 그의 벗이자 처남이었다. 그들은 함께 책을 읽고 서로의 생각을 나누고 또 눈빛으로도 서로의 마음을 헤아리는 누구보다 가까운 사이들이었다.



연암과 박제가는 중국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늘 조선 땅에서 살아가고 있는 백성들의 생활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고민하였다. 그래서 중국을 자주 다녀와서 글을 쓰곤 했다.

박제가는 종종 이런 말을 하였다.

“이 곳에 올 때마다 도무지 가슴에서 불이 나 견딜 수가 없습니다.”

조선에서는 선비가 장사에 나서는 것은 물론, 상점에서 상인과 흥정조차 할 수 없었는데 그 넒은 땅 대륙에서는 누구나 장사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것을 먼저 본 박제가는 가슴에서 천불이 나는 것이었다.가슴에는 대륙을 품고 눈은 조선에 있었던 그들.그래서 조선으로 돌아와 보고 들은 것을 책으로 정리하여 많은 사람에게 알리고자 하였다. 그것이 <북학의>인 것이다.


또 벗 유득공은 발해에 대한 남다른 애정이 있었다. 유득공이 안타까워하는 것은 고구려와 발해의 사라진 옛 영토만이 아니었다. 중국 사람들 사이에는 ‘발해 사람 셋이면 호랑이도 잡는다’는 말이 있건만 , 그 핏줄이 흐르고 있을 우리 조선인들은 발해인을 몰랐다. 드넓은 대륙을 누비던 씩씩한 기상도 잃어버리고, 어느새 우리는 큰 나라의 눈치만 보면서 살아가는 데 너무나 익숙해 있었다.그런 안타까운 마음으로 쓴 것이 바로 <발해고>이다.


그러나 그가 정말 책만 보는 바보였을지라도 늘 마음 속으로 고민이 있었다.

[사람으로 태어나 가장 비참한 것은 쓰일 데가 없다는 것이다. 책만 파고들면 무엇 하나? 내 말과 글로는 세상을 조금도 바꾸어 놓치 못하는 것을, 몸을 움직여 할 줄 아는 일이 무엇이던가? ]


진정한 책읽기는 머리로 머물지 않는다. 가슴을 울리며 꿈을 키우며 손과 발로 움직여지는 것이리라.책이라는 것은 얼마나 좋은 벗이던가

시간을 나눌 수 있다는 것

반드시 얼굴을 마주 대하지 않아도 우리는 옛사람들로부터 그들의 시간을 나누어 받는다.

옛사람들의 살아온 시간이 오롯이 담겨 있는 책들, 그들의 발자취가 고스란히 묻어 있는 시간..그리고 나도 아이들에게 나의 시간을 나누어 주는 것이다.

먼 훗날의 누군가에게도 그 시간을 나눌 수 있다면..그 시간들 속에서 모두 벗하게 되겠지.


1793년 1월 25일 아침, 이덕무는 끝내 자리에서 일어나지 못하고 쉰세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이덕무가 세상을 떠나고 이태 뒤인 1795년 4월 정조는 이런 명을 내렸다.

“지금 책들을 펴내는 것을 보니, 고 검서관 이덕무의 학식과 능력이 아직까지 잊혀지지 않는다. 그와 아들이 상을 마쳤다고 하니, 이광규를 검서관으로 특별히 임명하라. 그의 집안 형편으로 어떻게 유고 문집을 간행할 수 있겠는가? 책을 간행하기 위해 오백 냥을 특별히 내리니, 다른 신료들도 모두 도와서 속히 인쇄에 부치도록 하라.!”
이렇게 탄생한 것이 이덕무의 유고집<아정유고>이다. 정조는 이덕무가 시를 지어 낸 종이에 우아하다는 뜻의 ‘아’자를 크게 써 주었고 이를 기념하여 이덕무는 호를 아정이라 하였다.

그 외에도 70여권의 방대한 이덕무의 유작들이 남겨졌다.



이덕무와 그의 벗들 그리고 책에 대한 남다른 사랑..그 속에서 나의 책읽기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마치 이덕무가 자신의 방으로 들어오는 햇살의 방향에 몸을 틀어가며 책을 하듯이..따라로운 햇살을 받으면 즐거운 책읽기를 하는 시간이었다.

나는 책 속에서 소리를 듣는다. 머나먼 북쪽 변방의 매서운 겨울바람 소리, 먼 옛날 가을 귀뚜라미 소리가 책에서 들린다. ...책 속에는 또 사람의 목소리가 있다. 세상살이와 사람살이에 대한 깨우침을 주는 나지막한 목소리가 있고 그늘진 신세를 한탄하는 울적한 목소리도 있다….나는 또한 그림을 보듯 책을 본다. 아무도 가 보지 않은 울창한 숲을, 책은 나에게 보여 준다. 그 숲으로 한 발 내디뎌 본다.높이 뻗은 아름드리나무들은 하늘마저 조각내 새롭게 보이게 하고, 채 마르지 않은 아침 이슬은 내 무릎을 적신다.어떨 때에는 책에서 냄새가 나기도 한다. 사람의 손때와 먼지, 습기를 머금은 책 특유의 냄새가 아니다. 자연이 저마다 독특하게 자신을 드러내 보이는 그런 냄새이다 p52

사람으로 태어나 가장 비참한 것은 쓰일 데가 없다는 것이다. 책만 파고들면 무엇 하나? 내 말과 글로는 세상을 조금도 바꾸어 놓치 못하는 것을, 몸을 움직여 할 줄 아는 일이 무엇이던가?

1793년 1월 25일 아침, 이덕무는 끝내 자리에서 일어나지 못하고 쉰세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이덕무가 세상을 떠나고 이태 뒤인 1795년 4월 정조는 이런 명을 내렸다.

"지금 책들을 펴내는 것을 보니, 고 검서관 이덕무의 학식과 능력이 아직까지 잊혀지지 않는다. 그와 아들이 상을 마쳤다고 하니, 이광규를 검서관으로 특별히 임명하라. 그의 집안 형편으로 어떻게 유고 문집을 간행할 수 있겠는가? 책을 간행하기 위해 오백 냥을 특별히 내리니, 다른 신료들도 모두 도와서 속히 인쇄에 부치도록 하라.!"
이렇게 탄생한 것이 이덕무의 유고집<아정유고>이다. 정조는 이덕무가 시를 지어 낸 종이에 우아하다는 뜻의 ‘아’자를 크게 써 주었고 이를 기념하여 이덕무는 호를 아정이라 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