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녕하세요 김주하입니다 - 내가 뉴스를, 뉴스가 나를 말하다
김주하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7월
평점 :
나는 에세이가 참 좋다. 어렸을 땐 (누군가 지금도 어리다고 말할 수도 있지만...) 가장 싫어하던 책이 에세이류였다. 다른 사람에겐 관심이 없었다는 걸까? 대학에 입학한 후부터 에세이에 흥미를 느낀 것 같다. 아마도 나에 대해 생각해 보고 더 발전하고자 하는 마음에 다른 사람에게 관심을 갖게 된 것 같다.
그래서 내가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의 에세이가 출간된다는 소식이 들리면 설레는 마음으로 책을 받아들일 준비를 하게 된다. 김주하 앵커의 책 역시 기대하며 기다리던 책이다.
내가 이 책에 가장 기대했던 것은 '여성' 김주하였다. 같은 여자 입장에서 김주하 앵커를 좋아하고 모델링으로 삼을만한 열정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그녀의 일에 대한 열정은 만인이 높이 사는 점이다. 이 책에서도 그 점은 증명되었다. 그러나 내가 생각하기에는 김주하 앵커도 단지 수 많은 기자들, 앵커들 중의 한 명이다. 그녀의 노력이 대단하기에 지금의 이 자리까지 올 수 있었겠지만, 분명 다른 남자 앵커들중에도 이정도의 노력을 하는 사람은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남/여에 대한 우리나라의 문화 때문에 '여성 앵커' 라는 수식어가 붙게 되면서 더 돋보이게 된 것은 아닐까.. 하고 생각했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의 이 자리까지 오는 과정 속에서의 김주하'의 모습을 알고 싶었고, 알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그러나.. 내가 핀트를 잘못 맞췄는지, 책에서는 이런 점보다는 김주하 기자의 취재 에피소드가 더 많이 차지했다. 어떻게 보면 당연한 점이다. 김주하는 기자이므로 기자에게는 취재가 일상이다. 그렇기 때문에 김주하 앵커는 자신의 삶의 모습을 그대로 나타낸 것 뿐이다. 하지만 나는 아쉽다면 아쉬운 부분이다.
아쉬움은 뒤로하고 책을 열심히 읽었다. 정말 술술 읽혔다. 내용이 쉬워서도 아니고, 감동이 없어서도 아니다. 저자가 진솔하게 쓴 이야기였기에 술술 읽힌 듯하다.
무엇보다 나는 '기자'라는 직업을 다시 보게 되었다. 내가 평소에 관심이 없었기에 잘못 알고 있던 점도 많았다. 이 세상 모든 직업이 다 소중하고 힘든 직업이겠지만, 기자라는 직업도 무지 힘들어보였다. 시민과 방송국 사이의 이중고를 겪으며 말이다. 마음도 누구 못지않게 독하게 먹어야 한다. 언제나 좋은 환경만 제공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기자도 사람인지라 언제라도 약해질 수 있다. 마음 따뜻한 기사도 뉴스에서 볼 수는 있지만 아직까지는 안 좋은 기사가 더 많은 것 같기 때문에 특종을 취재하더라도 마음 놓고 편안함을 누릴 수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앵커가 되기 위해 대학 2년 재학중 부모님을 조르고 졸라 재수를 허락받고 독하게 공부해서 원하던 학교에 입학한 점, 앵커가 되기 위해 열심히 정보를 모으고 앵커 하나만을 바라보며 원한 점, 다른 사람에게 주눅들지 않고 남들과 달라보이기 위해 더 열심히 노력한 점, 면접날까지도 긴장을 풀지 않고 최선을 다해 꿈을 이루고자 여기저기 뛰어다닌 점.. 결국 그녀는 현재 주말 뉴스데스크를 단독 진행하고 있다.
항상 에세이를 읽으면 그 사람에 대해 몰랐던 사실을 더 잘 알게 된다. 그녀의 열정, 여린 마음 등 이 책에서도 숨어있던 '김주하'의 모습을 발견하고, 느낄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그녀의 '노력'이 가장 돋보였다. 어떻게든 끊임없이 노력해서 자신의 꿈을 이룬 그녀가 정말 부럽고, 대단하게 느껴졌다. 어쩌면 난 말로는 노력했다고 할지라도 실제로는 '노력' 근처에도 못 간 것 같다. 내가 처음에 기대하던 내용의 책은 아니었지만, 정말 배울 것이 많았던 책이다. 하지만, 그녀의 말대로 40대에 썼으면 더 빛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은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