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명자 리틀씨앤톡 모두의 동화 4
장경선 지음, 강창권 그림 / 리틀씨앤톡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녕, 명자

편지글의 제목처럼, 마치 멀리 떨어져 있는 명자에게 “명자야, 잘 지내고 있니?”라고 건네는 인사 같다.
이 작품은 12살 소녀 명자의 눈으로 바라본 일제강점기 말기와 1945년 8월 15일 해방 전후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구름 한 조각》을 통해 처음 알게 된 장경선 작가. 역사 동화를 많이 쓴다는 것을 알고 나니, 다른 작품들도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여러 작품 중 한국전쟁을 다룬 《소년과 늑대》와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한 《안녕, 명자》 중 한 권을 고르기로 했다. 먼저 《소년과 늑대》를 읽었지만, 여섯 편의 단편 동화로 구성되어 있어 발제문을 쓰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그렇게 해서 자연스럽게 《안녕, 명자》를 선택하게 되었다.

삶은 언제나 시대의 흐름과 맞물려 시작된다. 부모의 보호를 받아야 할 시기에는 부모의 뜻과 시대 상황이 겹쳐 운명이 결정되기도 한다. 명자의 삶 역시 그러했다. 일제강점기라는 우리나라 최악의 시대 속에서, ‘학교에 갈 수 있다’는 말에 아버지와 오빠가 일하던 사할린으로 이주하게 된다.

한동안 가족이 함께 평화롭게 지내는 듯했지만, 아버지가 병에 걸려 치료를 위해 경주로 떠나면서 평온은 깨진다. 전쟁의 패색이 짙어지자 일본은 사할린에서 캐낸 석탄을 본토로 옮기지 못했고, 결국 오빠를 일본으로 징집했다. 전쟁은 한 가족을 무참히 흩어놓았다.

그리고 찾아온 일본의 패전과 조선의 해방. 그러나 명자에게 그 ‘해방’은 오히려 더 큰 불행의 시작이었다.
조선인을 ‘소련 스파이’라 모함하며 집단 학살하는 비극이 이어졌고, 친구 순이가 죽은 뒤 까마귀에게 뜯기는 모습을 지켜보는 명자의 눈앞에는 참혹한 현실만이 남았다. 전쟁은 사람을 죽이고, 또 죽이는 잔혹한 게임 같았다.

명자는 일본으로 가는 배를 탈 기회가 있었지만, 나쁜 일본인 기미코의 배신으로 그마저 무산된다. 조선인을 도와주는 일본인도 있었지만, 이유 없이 괴롭히고 목숨을 앗아가는 일본인도 많았다. 필요할 때는 부려 먹고, 전쟁이 끝나자 버리고 떠나는 그들의 모습은 결코 인간적이라 할 수 없었다.

2년 전, 이스라엘이 가자지구를 침공했을 때 우리 교민을 데려오기 위해 전세기가 떴던 일이 떠올랐다. 그때 ‘이제는 우리나라가 강해졌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시절엔 나라도 없고 힘도 없었다. 그런 시대를 살아낸 조선인들의 삶은 참으로 처절했다.

해방 이후에는 ‘무국적자’라는 이유로 소련인이 되기를 강요받는다. 살아남기 위해 명자는 소련 국적을 받아들여야 했다. 그러나 그런 기구한 삶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조선인 학교를 세우며 꿋꿋이 살아간다. 다행히 오빠가 사할린으로 돌아와 다시 가족이 함께할 수 있었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안녕, 명자》의 주인공은 지금도 사할린에 살고 있다고 한다. 여전히 고향 땅을 그리워한다니, 언젠가 꼭 한 번 고향을 밟을 기회가 찾아오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서의 뇌과학 - 당신의 뇌를 재설계하는 책 읽기의 힘 쓸모 많은 뇌과학 5
가와시마 류타 지음, 황미숙 옮김 / 현대지성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하면 두뇌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과학적으로 추적 연구한 결과를 사진과 함께 보여주니 신뢰가 높다. 특히 음독의 효과는 생각했던 것보다 뇌에 영향을 많이 주고, 뇌를 젊게 사는데 지대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쉽고 간결하게 쓰여있어 빠르게 읽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써드 1 허블어린이 3
최영희 지음, 도화 그림 / 허블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시에서 사는 인간이 변두리도 쫓겨나고 로봇이 인간을 지배하는 세상.
로봇과 친구가 되는 흥미진진한 요릿의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써드 2 허블어린이 4
최영희 지음, PJ.KIM 그림 / 허블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차뮬 행성에서 일어나는 흥미 진진한 로봇들의 이야기.
‘로봇은 친구가 될 수 있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녕, 밥꽃 내일을여는어린이 생각나눔 1
장영란 지음, 김휘승 그림 / 내일을여는책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7밥꽃 마중이라는 책을 출간하면서 우리 밥상에 매일같이 올라와 사람을 먹여 살리는 이 꽃들을 밥꽃이라고 이름 붙이고, 사람의 목숨꽃이라 여겼다는 작가. 무주에서 농사짓고 살면서 10여년 동안 관찰해서 사진을 찍고 글을 쓴 60여 가지 밥꽃 중 아이들에게 꼭 들려주고 싶은 밥꽃 7가지를 이 책에 썼다. 옥수수 꽃, 벼꽃, 콩꽃 오이꽃, 무꽃, 배추꽃, 시금치꽃이 그 7가지다.


내가 좋아하는 옥수수 꽃은 한 그루에서 수꽃과 암꽃이 같이 핀다. 위에는 수꽃, 아래는 암꽃이 피어 바람 불면 꽃가루를 아래로 뿌려준다. 옥수수수염이 암꽃이란다. 암꽃 하나에 한알의 옥수수 열매가 맺힌다고 하니 옥수수 수확할 때를 생각해봤다. 옥수수수염이 조금 있는 것은 옥수수가 몇 알 되지 않고 옥수수수염이 많은 것은 옥수수알이 많이 맺혀있었다.


벼꽃은 꽃잎 없이도 껍질이 벌어지면 수술이 나와 꽃가루를 날려 수정을 시키고 다시 껍질이 닫혀 벼꽃 한 송이가 쌀 한 톨이 된다. 벼꽃을 자세히 들여다보지는 않았으나 수술이 나온 모습을 보니 내가 알고 있는 상식의 꽃 종류와는 사뭇 다르다는 생각이 든다. 수정이 끝나면 껍질이 닫힌다니 자연의 섭리와 오묘함을 느낀다.


콩 꽃은 아름답다. 보라, 흰색으로 모양도 제법 커 우리 눈에 잘 띈다. 노랑콩은 메주도 쑤어 된장도 만드는데 원산지가 우리나라로 전 세계로 뻗어 나갔다고 한다. 우리 콩에 대한 자부심을 가져도 되지 않을까. 지난해 친정엄마가 거둬 주신 쥐눈이콩이 있어 주전자에 콩나물 기르기에 도전해 봤다. 쉽게 생각했는데 하루에 3~4번 물을 부어주고 따라 내는 것이 어려웠다. 싹이 나는가 싶더니 그 싹이 더 크지 못하고 조금씩 썩고 있었다. 조금씩 썩기 시작하니까 금방 다른 콩에도 번져 버릴수 밖에 없었다.


어느 해 땡볕에 오이를 따기 위해 산밭에 올라갔는데 어떤 꽃은 아기 오이를 달고 있고 어떤 꽃은 아기 오이가 없이 꽃만 피어 있었다. 아기 오이를 달고 있는 꽃은 가뭄에 콩나듯 하나씩 있었다. 암꽃과 수꽃이 한 줄기에서 피어 벌이나 나비가 꽃가루를 전해줘야 열매가 열린다. 내가 본 오이꽃은 토종 오이꽃이었다. 종자회사는 암꽃만 있어도 열매가 열리는 것을 이용해 암꽃만 피는 씨앗을 만들어 팔아 씨앗이 맺지 못한다. 그래야 다음 해에 다시 씨앗을 사기 때문이다. 시중에 나오는 대부분의 오이가 그렇게 재배된 오이라고 한다.


유채꽃과 가장 비슷한 배추꽃. 배추꽃을 보기 어려운 이유는 배추가 꽃을 피우고 씨앗을 맺을 때까지 놓아두지 않고 뽑아서 먹기 때문이다. 가끔 배추를 수확하고 남겨 놓은 경우가 있다. 초봄에 뽑아 겉절이라도 해 먹으면 좋은데, 그러지 못하고 남은 배추가 꽃이 피는 것을 봤는데 참 예뻤다.


시금치 씨앗은 봤는데 꽃은 눈여겨보지 못했다. 암시금치와 수시금치는 꽃이 따로 핀다. 이들은 서로 붙어 있어야 씨앗을 맺는다.


내가 어렸을 때는 종묘상에 가서 씨앗을 사오는 일이 드물었다. 올해 심어 갈무리하면서 씨앗을 받아 놓았다가 내년에 다시 심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은 상추, 배추, 시금치, , 옥수수, 마늘, 고구마 등 종묘상에 가서 씨앗이나 모종을 사다 심고 있다. 우리 씨앗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 친정엄마는 지금도 옥수수, , , 오이는 수확한 열매를 먹고, 씨앗을 남겨 놓았다 다음 해 다시 심는다. 이 책에서는 밥상에 올라오는 곡식의 꽃에 대해 알려주고 있으나, 이 꽃은 결국 씨를 맺게 한다. 우리 조상들이 우리 땅에서 가꾸고 거둬들여 우리 체질에 맞는 곡식이 되었을 거라 여겨진다. 그렇다면 그 토종씨앗도 우리가 보존해야 하지 않을까?


토종씨앗을 수집하고 보존하는 토종씨드림이라는 단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