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일곱 살의 털 사계절 1318 문고 50
김해원 지음 / 사계절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열일곱살의 털>은 많은 사람이 청소년들이 읽었으면 하는 책으로 추천을 해준 책이다. 작년에 사서 한번 읽었으나 두발에 관한 이야기라는 것 밖에 기억에 없었다. 한 번에 좍 읽을 만큼 재미있는 책이다.

책을 읽고 나서 내가 고등학교 다닐 때 두발에 대해 생각해 봤다. 단발을 하기도 하고 긴머리일 경우는 두 갈래로 딴 머리를 하고 다녔다. 그렇게 다니면서도 별로 불만이 없었고 학교에서 그렇게 하라고 하니까 그렇게 하고 다녀야만 되는 줄 알고 다녔다. 다른 머리를 하고 다녀야 되겠다는 생각은 별로 없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가 일제강점기를 거쳐 남북으로 분단되고 군사정권이 들어서면서 획일적이고 일률적이며 일제강점기의 잔재들이 남아있어 자유스럽지 못하고 개인의 개성도 없었던 시절인 것 같다. 특히 여학교와는 달리 남학교는 많이 달랐다. 남학생들은 아주 짧은 머리를 하고 다녔던 것으로 기억난다. 그리고 이 책에서 아침등교시간에 하는 두발 검사처럼 철저하게 검사를 했던 것으로 기억된다. 그러나 지금 내 딸아이들 보면서 많은 변화를 실감한다. 퍼머를 한 긴머리에 묶지도 않고 그냥 학교를 다니는 것으로 보면 개성을 존중해주는 시대라고 봐야할 지 딸아이가 개성이 강한지 한편으로는 부럽기도 하다. 개인적으로 두발에 대해서는 자유로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획일적인 모양보다 자유로운 모양에서 개개인의 개성을 발휘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열일곱살의 털>은 일호가 열일곱 살이 되는 날 아침. 할아버지에게 머리를 자르면서 시작되는데 일호는 그야말로 평범하고 공부도 꽤 잘하고 단짝친구도 있다. 그런데 어느 날 체육선생님이 머리칼이 길다고 라이터를 들이대는 비인간적인 행위를 보고 저지하게 된다.

“아무도 너를 얕잡아 보게 해선 안 돼. 싫은 건 싫다고 해. 네가 하기 싫은 건 절대로 하지마. 아주 단단한 사람이 되어야 해.” “엄마, 공부도 하기 싫으면 하지 마?” “공부? 그래. 그것도 하기 싫으면 하지 마. 세상에 끌려 다니면 안 돼!” -44쪽

일호 엄마가 일호에게 어렸을때 했던 말인데 엄마의 영향이 아이에게 많은 것을 미치는 구나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나는 아이들에게 하는 말이 어떤 말을 가장 많이 했을까하는 생각을 해보며 나도 아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줄 수 있는 말을 생각해 뒀다가 그 말을 많이 해야 되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러한 가르침을 받고 자란 일호는 비인간적인 행위를 보고 가만히 있을 수 없었고 일을 저지르는데 이일이 벌어졌을 때 아버지를 만나게 되고 정학처분을 받게 된다. 고분고분한 범생이 일호가 아니라 싫은 것은 싫다, 좋은 것은 좋다 말할 줄 아는 단단한 사람이 된 일호는 세상에 처음으로 내 목소리를 낸다. 이 때 할아버지도 재개발 하려고하는 정부에 맞서 서로 다 잘사는 것이 아니라 재개발 업자만 배불러주는 것에 동의하지 않고 맞서게 된다. 세상을 향해 내 목소리를 내고난 후 내 안에 꽉 들어차 있던 것이 빠져나간 것 같아 공허 했다. 다시 어디로 돌아가야 할 지 막막한 기분마저 들었다.

“아마 좀 시간이 걸릴 거야. 제자리를 찾으려면. 할아버지나 너나. 내가 그런 건 잘 알지.”-212쪽

일호가 체육선생님의 비인간적이 행위를 저지한 뒤 그 시간에 맞춰 나타난 아버지는 꿰맞추기 한 것처럼 자연스럽지 못하고 태성이발소의 연혁을 죽 나열한 부분은 군더더기를 붙여 놓은 것 같아 없었으면 하는 부분이다.

곳곳에 우리가 자주 사용하지 않는 낱말이 있다. 재미있는 표현 같기도 하고 잘 사용하지 않는 낱말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좋은 느낌이 든다.(의뭉스럽고 가살지다-40쪽, 앙바틈한-61쪽, 바장이며-103쪽, 가납사니처럼-135쪽, 드잡이를-140쪽, 더금더금-194쪽, 구두덜거리는-219쪽) 

우리가 살아가면서 옳지 못한 일들을 많이 보며 살아간다. 그러나 그 옳지 못한 일을 고치기 위해 또는 바꾸기 위해 내 목소리를 내 본적이 얼마나 있는가? 옳지 못한 것을 보면서도 귀찮아서 또는 뒷일이 두려워서 외면하고 살아가고 있지 않는지 생각해 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