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기의 달인, 호모 부커스 인문학 인생역전 프로젝트 5
이권우 지음 / 그린비 / 200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어려운 책은 아니었다. 시원시원한 느낌을 받는 책이었다. 마지막 쪽인 감사의 글 부분을 읽고 책을 덮는 순간 머릿속에 맴도는 것들이 있었다.

  ‘내가 지금까지 왜 책을 읽었는가?’

  ‘이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추천해준 정정화님께 감사하다.’

  ‘나도 독후감을 써보고 싶다!’

  ‘전작주의 독서법으로 책을 읽어보고 싶은데 어떤 작가를 좋아하지?’

  ‘책의 앞면과 뒷면의 글, 목차도 다시 한 번 보게 되었다.’

  ‘책을 다 읽고도 얼른 손에서 놓을 수 없는 책!’

  ‘그래 다시 한 번 정독으로 천천히 읽어서 내 것으로 만들어보자’

이러한 것들을 생각하며 그래도 한 달에 한번 책을 읽고 토론 까지는 아니더라도 이야기 나누고 있으니 좀 더 나은 삶을 살고 있지 않는가? 스스로 위안 삼으며 이 글을 쓰게 된다.

<책읽기의 달인 호모부커스>

 ‘책들이 벌이는 전쟁 겹쳐 읽기’를 읽을 때는 신경숙의 단편 <오래전 집을 떠날 때>와 김병기의 여행기 <페루에는 페루 사람들이 산다>를 서로 비교해 보며 읽어보고 싶고, ‘왕도는 없으나 방법은 있다!’를 읽을 때는 정말로 내가 좋아하는 작가를 만들어서라고 그 작가의 모든 책들을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그 뿐만 아니다. ‘독후감, 책의 주인이 되는 첫걸음’에서는 책을 읽고 독후감을 씀으로 해서 진정 그 책의 주인이 된다는 것을 알고서는 정말 독후감을 써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지금까지 어린이책 뿐만 아니라 인문, 교양, 예술서적을 조금씩 보기는 했지만 그냥 읽어야 되니까 읽었을 뿐이었는데 그 읽었던 책들이 내 주인이 되지는 않았다는 생각을 했다. 점점 나이를 먹어가면서는 책을 읽었음에도 그 책의 줄거리가 생각나지 않을 뿐 아니라 조금 더 세월이 흐르면 그 책을 읽었는지 읽지 않았는지 조차 기억 속에 희미해지는 때가 많은데 내가 독후감을 써서 주인이 되었다면 이렇게까지는 되지 않았을 거라는 생각도 든다.

‘책읽는 학교가 되어야 한다’는 현실 속에서 지금 당장 이뤄져야할 것이 책읽는 학교가 되어야한다는 것에 공감한다. 하지만 입시경쟁에 내몰리고 있는 지금의 현실에서는 책읽는 학교가 되기는 무척 어렵다. 알고 있지만 실천 못하는 것 또한 안타깝기 그지없다.

 ‘책읽기, 다음 세대에 물려줄 가장 가치 있는 유산’ 이 부분에서는 곰곰이 생각해봤다. 내가 다음 세대에 물려줄 수 있는 가치 있는 것이 무엇일까? 이뤄놓은 것도 뚜렷이 없고 가치있는 것을 물려주려면 어떤 것이 있을까? 다음 세대에도 가치가 있을 법한 것은 책읽는 습관을 들여 주는 것이 아닐까? 여기까지 생각을 하고 나니 지금까지 아이들과 살면서 책읽는 습관을 만들어주려고 노력했던 것들을 찾아보게 되었다. 그런데 정해진 책을 읽는 것에만 급급했지 아이들에게 책읽는 습관을 들이기 위해 한 일이 없었던 것 같다. 내가 책읽는 모습을 보이면 저절로 책읽는 습관은 길러질 거라는 안이한 생각도 있었다. 하지만 현 시점에서서 생각해 보면 이것만은 아니었던 것 같다. 읽고 나서 어떻게든 표현하는 방법을 찾았어야 하는데 그 것들이 없었다. 여기서 말하는 독후감을 써본다든지, 읽고 난후 책에서 받은 느낌을 온몸으로 느끼며 아이에게 전달하는 방법도 있었을 텐데 표현하는데 많이 인색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해본다. 지금도 표현하라고 하면 하기 힘들지만 이제 부터는 표현하는데 인색해 하지 말자고 스스로에게 말해본다. 그리고 가급적이면 책의 주인이 되어 나만의 독후감도 써보도록 노력하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