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은 아직 좌절하지 마 - 인공 지능이 흉내 낼 수 없는 인간다움에 대하여
김재인 지음 / 우리학교 / 2024년 10월
평점 :

『인간은 아직 좌절하지 마』는 인공 지능의 발전 속에서 인간의 역할과 가치를 탐구한 책으로, 과학 철학자 김재인이 저술한 철학적 통찰을 바탕으로 인간다움의 중요성을 일깨웁니다. 저자는 인공 지능이 가진 근본적인 한계를 통해 인간의 독창성과 판단력의 소중함을 조명하며, 특히 청소년 독자도 이해하기 쉽게 인공 지능의 원리와 한계를 설명합니다.
이 책은 인공 지능이 모든 것을 지배하게 될 것이라는 불안에 대한 반박으로 시작합니다. 저자는 인공 지능의 핵심인 초거대 언어 모델과 생성 AI의 구조를 설명하면서 그들이 '글로만 공부한' 존재임을 지적합니다. 이를 통해 인공 지능이 윤리적 판단을 내리지 못하고, 예술 작품을 평가할 줄 모르며, 진정한 창의성을 발휘할 수 없는 이유를 차례로 설명합니다. 또한 인간이 가진 고유한 역량, 특히 감각과 상상력, 창조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교육의 본질이 바로 여기에 있음을 주장합니다.
"초거대 언어 모델은 사실과 환상을 구분하지 못하고, 모든 데이터를 동등하게 학습할 뿐이다"라는 구절은 AI가 아무리 학습을 하더라도 인간의 경험적 이해와 판단력을 대체하지 못함을 시사합니다.
AI를 "맥가이버 칼"에 비유한 부분에서, AI가 복잡한 문제를 풀 수 있지만, 그 주체는 여전히 인간임을 역설합니다. AI가 인간처럼 자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거나 성장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AI는 도구일 뿐이라는 설명은 설득력이 있습니다.
"미술사에 들어가는 화가란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내는 화가다"라는 설명은 AI가 기존의 데이터에 기반한 작품을 생성할 수는 있어도, 진정한 창조를 이루지 못하는 이유를 잘 보여줍니다.
이 책은 단순한 AI 기술 설명을 넘어 인간이 가진 유일무이한 자질들을 새롭게 인식하게 합니다. 특히, AI에 의존하기 쉬운 시대에 진정한 학습과 인간적 가치가 더욱 중요함을 일깨워 준다는 점에서 독자들에게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킵니다. AI가 아무리 발달해도 인간의 창조성과 도덕적 판단, 그리고 무엇보다 학습을 통해 다음 세대로 지식을 전수하는 '교육의 가치'가 흔들리지 않아야 함을 강조한 점이 인상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