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정
산도르 마라이 지음, 김인순 옮김 / 솔출판사 / 2001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살아가며 자신이 열정적이었다고 생각이 든 적이 있는가?

나는 인생이 너무나 반복적이라는 생각에 허무와 염세라는 과속적 감정과 종종 충돌을 일으키곤 했다. 하지만 이 질문은 그 지루하고 적막한 인생의 여로에서 한때나마 인생에 열정의 감정과 함께한 적이 있는지, 비록 그 열정의 끝에는 무엇도 없이, 한 터럭의 지스러기 없이 오히려 그 동안의 삶을 갉아먹었다 하더라도 진동한동 살아가며 정열로써 삶을 불태운적이 있었는지 한 번쯤 생각해 보게한다.

이 때, '불타오르는 정열에 우리 삶의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나?'며 던지는 산도르 마라이의 질문에 나는 어떤 대답을 할 수 있을까? 나는 삶의 편린에 미약하나마 정열을 쏟아 부었던 과거를 잠시 되돌아보았다. 하지만 정열을 부었다고 믿는 그 시기의 나는 순간의 정열에는 충실했을지 몰라도 그 삶 자체에 열정적이진 않았던 것 같다. 삶의 한 편린에 자기만의 삶을 쏟아 부을 때 우리는 그 삶을 정열적이라고 하긴 하지만 순간이 아닌 그 끝이 지속적일 때, 그리고 그 정열을 자신이 진심으로 껴안고 있을 때, 그 때만이 삶이 정열을 뛰어넘는 열정이 될 수 있다. 지속적인 정열, 그 끊임없는 염염함이 열정, 바로 그것이다.

그러기에 산도르 마라이의 <열정>은 그다지 멀리 있지 않았다. 바로 우리 삶의 뒤편에 있는 아니, 어쩌면 우리 삶의 목적이자, 그 자체일지도 모를 화두, 열정. 그 곳에서 우리가 보게 되는 사건이라는 것은, 모두 열정에 사로잡힌 삶의 내부에서 소용돌이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래, 사건아닌 그 삶.

그 삶이란, 헨릭과 콘라드의 만남과 헤어짐, 그리고 그 사이에서 괴로워했던 크리스티나의, 어찌보면 단조롭기까지 한 삶이 전부이다. 하지만 그들의 삶을 지켜보고 있노라면 인생의 중요한 질문은 순간이 아닌, 생명의 흔적이, 생명의 핏자국이 묻혀 있는 전 생애로 답한다는 말에 눈길이 가게 한다. 질문을 위한 헨릭의 기다림. 대답은 중요치 않았으며 그저 그 순간만을 기다리며 자신을 불살라 온 그 열정적인 기다림. 그 기다림이 중요했고, 그 열정이 중요했다.

그래서인지 헨릭은 촛불을 떠올리게 한다. 자기자신의 모든 것을 불사르며 어둠을 살라먹는 촛불의 삶. 비록 자기 자신조차 파괴해 버리는 너무나 극단적인 삶이지만, 촛불은 삶의 마지막 순간에 후회보다는 뭔가 모를 만족감과 안도감을 느끼지 않을까? 촛불은 꺼지는 순간, 그 마지막에 희미한 불빛을 다시금 밝히며 마감한다. 생의 도착지에 체념이 아닌 마지막 힘을 다해 다시금 한 번 어둠에 흔적을, 우리의 눈에 잔영을 남기고 가는 그 모습. 그것이 촛불의 삶이고, 헨릭의 삶이었고, 바로 열정이 아닐까?

물론, 우리가 접하는 삶의 공간 속에서 겪는 모든 질문에 촛불과 같이, 헨릭과 같이 자신의 전 생애를 걸 필요는 없다. 전 생애는 아니더라도 자신의 삶의 일부분을 열정으로 가득 껴안고서 후회없이 내밀 수 있으면 그것으로도 충분히 족하다. 그런게 진짜 열정이고 그게 바로 사람의 인생이다.

이 기다림이라는 열정을 매개로 <열정>은 삶에 대해 냉혹하고도 직설적인 시선으로, 하지만 이 모든 것을 담담한 어조로, 오히려 삶이란 자신과는 관계없다는 듯이 너무나 담담한 어조로 읊조린다. 그 담담함이 오히려 그의 글들에 귀 기울이게 해 주었고 그 담담함으로 그의 삶에 좀더 여유있고 깊숙한 참여가 가능했다.

헨릭의 40여년의 고독과 그 비등점에서 화하는 열정에 조금씩 공감해 가던 나는 문득, 작가 산도르 마라이의 모습과 겹치게 되었다. 그들, 헨릭과 마라이는 열정적인 삶을 살았고, 무슨일이 일어났던 그것을 체험하는 삶을 살았기에 결코 헛살지 않았다. 헨릭의 인생과 열정, 그리고 결국 전 생애로 세상에 답했던 산도르 마라이를 한데 뭉치며 다시금 나 자신에게 질문을 던진다. 지금 내가 위치하고 있는 곳은 어디인가? 나는 지금 후회하고 있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