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의 힘
성석제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3년 7월
평점 :
품절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로 유명한 성석제의 첫 장편소설이라는 <인간의 힘>과의 만남을 가져 보았다. 첫인상은 '과연 설레인다'였지만 막상 그와의 대면을 끝내고 남겨진 나의 기분의 여운은 실망의 화장터다.
성석제의 소설은 작가 특유의 걸쭉한 입담으로 인한 유머가 아주 독창적인 것으로 유명하다. 그래서 최고의 이야기꾼이라는 찬사가 따라붙는 것일 게다. 나 역시 그런 독창적이고, 독특한 작가의 유머 앞에서 미소를 머금지 않을 수 없었다. 하지만 이 <인간의 힘>은 순간순간에 지나치는 잠깐의 걸쭉한 유머로는 성공했을지 모르나, 전체적 소설의 유머로는 개인적으로 실격이다.
<인간의 힘>은 역사소설의 형식을 띈다. 아니 역사소설이라는 장르자체가 어울리겠다. 무엇이 되었든 여기서 부수적인 것은 역사적 사실이고 이야기의 주 모태는 소설이 되어야 함은 말하지 않아도 뻔하다. 물론 <인간의 힘>도 부수적인 것은 역사적 사실이며 주 모태는 '채동구'라는 역사적 인물을 작가의 상상력으로 재구성해 그려내는 소설의 형식을 따르고 있긴 하다. 그리고 그 형식속에 묻어나오는 재미도 뛰어나긴 하다.
하지만 이 <인간의 힘>은 70%의 소설과 30%의 역사적 사실이 균형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그 체계가 구성져 어디가 소설이고 어디가 역사인지 모르게 깨끗이 용접 되어 있는 것이 아닌, 지그재그 불안정하게 땜질 되어 붙어 있다는 것이다. 즉, 소설과 역사의 담을 허물고 하나로 어우러지는 맛이 아니라, 각자의 색깔을 가지며, 고유의 영역을 목청껏 외치며 떡하니 독립해 있다는 말이다.
작가 특유의 입담으로 이야기가 한창 진행나갈 무렵이면 작가는 꼭 '이 무렵, 정세는....'이라는 말로 단순 역사적 사실들을 요약하며 이야기의 흐름에 잠시 맥을 늦춘다. 재미가 있더라도 흥분적 긴장상태에 있는 독자들에게는 이런 늦춤의 미학이 잠시나마의 휴식을 줄 수 있어 바람직 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늦춤 속에서, 작가는 그 시대에 관한 일반 역사 서적에 맞먹는 분량으로 -다소 과장하여 - 설명하고 있다. 아무리 이야이가 흥미롭고 그 진행에 매료되더라도 중간에 턱하니 10페이지 이상씩을 할애하는 단순적 역사서술은 보는 이를 짜증이 나게 한다. 그리고 한 번 나기 시작한 짜증은 제 아무리 특출한 이야기꾼이라 하더라도 가라앉게 하기는 힘든 법이다.
물론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그랬다 볼 수는 있겠다. -아무것도 모르고 듣는 이야기보다는 어느정도의 배경을 갖추면 확실히 그 재미가 배가되는 것이니 - 하지만 역사'소설'인 만큼 최대한 간략히 그리고 그 윤곽만 대충잡아주고 넘어가며 소설의 흐름자체는 끊지 말아야 할 것을, 모든 사건 하나한, 정황 하나하나에 10페이지 이상씩을 할애한다는 것은 독자를 위한 역사'소설'이 아닌 지면을 채우기 위햔 '역사'소설로 밖에는 보이지 않는다.
역사소설이 갖는 재미는 이야기가 끝나가는 종반까지 그 어디에도 내가 역사를 공부하고 있다거나, 역사적 지식에 시달리고 있다는 느낌이 들지 않으면서도 그 주변의 정황속에 몰입하여 빠져들 수 있는 점에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처럼 소설 중반중반에, '자 잠시 소설은 잊고, 역사적 정황으로 돌아본다면..'식으로 그 흐름을 완전히 두손 두발 놔버린다면 읽는 사람의 집중만 떨어뜨려 놓을 뿐이라 생각한다.
나 처럼 성석제란 작가의 타이틀 하나만을 믿고 덤벼들 사람들을 위해, 그리고 성석제란 작가에게는 문단의 칭찬이 유달리 많이 나오고 관대한 정황속에서 잠시의 개인적 느낌이 전달 되었음 한다. 성석제란 타이틀 하나만으로, 주변의 평가하나만으로 달려들 그런 책은 글쎄, 아니다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