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우돌리노 - 상
움베르토 에코 지음, 이현경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란건 끊임없이, 언제나 흐르며 또 재해석된다. 폭군, 혼군으로 불리우던 광해군이 뛰어난 왕으로 재해석을, 정여립의 반란이 정치적 모략이 아니였는가하는 재해석이 등등. 역사는 언제나 그 자체로 머물지 않고 재해석되며 재구성되어 왔다. 그런 시각 속에서 이런 사고도 가능하지 않을까 한다. 역사적 사실 속에 우리에게는 기록으로 남겨지지 않은 또 다른 어떤 사실, 사건이 있지는 않을까? 바로 이런 시각 속에서 쓰여진 것이 움베르트 에코의 <바우돌리노>다.

<바우돌리노>. 괜찮은 소설이었다. '움베르트 에코 = 많은 지식을 요하며 독자들에게 많은 노력을 요구한다.' 라는 공식에 어느 정도 수정이 가해진 듯한 소설이었다. 나처럼 중세 십자군에 대한 지식이 거의 제로에 가까운 사람도 책을 읽는 중간 중간에 인터넷을 뒤적거리며 조금씩 그 시대에 관한 지식을 습득해도 소설의 진행에는 별반 어려움을 겪지 않을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주요 내용은 십자군 3차원정 때 익사를 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프리드리히 1세란 사실적 인물과 '바우돌리노'라는 역사적 허구의 인물이 융합되어 얽혀 전개되는 것이다. 이 역사적 사실 속에 허구적 인물을 그려넣어 부드럽게 전개해 나가는 에코를 보면 작가의 실력이 정말 돋보인다는 느낌이 일지 않을 수가 없었다. 중세 우화 속에서나 등장하는 키메라, 누비아, 스키아푸스, 등등의 등장은 마치 신화 한편을 읽는 듯한, 소설을 읽어 나감에 있어 흥미진진함을 던져주었고 터키의 괴뢰메 국립공원의 역사적 배경과 모습을 토대로 '픈다페침'이란 공간을 연출해 냄은 경이감마저 들게 해주었다.

중세 십자군 전쟁이라는 다분히 짙은 기독교적 배경을 지닌 <바우돌리노> 이지만 이 책에서의 종교적 색채가 가지는 비중은 크지 않았다. 덕택에 종교로 인한 거부감은 들지 않을 터이다. 혹시나 어렵지는 않을까, 다소 읽기 버거운 작품이 아닐까, 종교적 색채가 강한 작품은 아닌가하고 고민하고 있으신 분들에게 큰 어려움 없이 권할 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