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소설은 인간 존엄성을 포기하고, 근본인간성마저 무시하며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가차없이, 아주 날카롭게 현실을 내 지른 '사라마구'의 매우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너무나 큰 스케일과 대담한 필치, 긴박한 사건전개로 보는 이를 흡입케 하는 동시에 절대, 도저히 피해 갈 수 없는 질문들을 하나, 하나 푹! 꽂아 놓는 <눈먼 자들의 도시>는 상당히 매력적으로 구미가 당기는 작품이 아닐 수 없다.

이 세상에서 단 한사람만 제외하고 모두 실명을 해버린다면 어떨까? 비록 비현실적이라 치부해 버릴 수 있지만, 생각을 해보면 상당히 섬뜩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보지 못한다는 것. 무언가를 보고 느낄 수 없다는 것은 시력에 의존하는 인간에게 그만큼 무한한 공포감을 심어주니 말이다. 어느 날 갑자기 눈이 보이지 않는다. 솔직히 상상하기도 싫지만 여기에서는 가차없는 실명의 폭풍이 일고 있었다.

어느 곳인지, 어느 때인지 알 수 없다. 어느날 갑자기 한 사람이 그 자리에서 시력을 잃어버리게 된다. 갑작스런 실명이란 말이다. 그 실명은 단순한 실명이 아닌 한번 스치기만 해도, 그저 한번 눈길만 주어도 전염이 되어버리는 공포의 한계를 초월한 전염병이었다. '눈이 안보여, 악! 눈이 안보여.' 여기저기서 지리멸렬하게 터져 나오는 비명은 마치 옆에서 들리는 마냥 보는 사람마저도 무섭게 만들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이 전염병 속에서 사람들은 공포에 치를 떨고 정부는 막무가내 대처를 펼치다 결국 몰락하고 만다.

대책없이 사람들을 수용소에 가두어 놓기만 하고 사라져 버린 정부. 그 수용소는 아비규환이란 단어가 쓰일 자리로 손색이 없다. 어려운 사람이 어려운 사람을 등쳐먹는다는 속설인지 인간의 근본심리인지 그 수용소는 단합보다는 멸시, 기만, 사기, 폭력, 의심이 난무하며 마지막 인간의 자존심인 존엄성마저 사라지고 있는 곳이 된다. 그 아비규환의 자리에 오직 단 한 사람. 이 세계에서 유일하게 눈이 멀지 않은 사람이 있게 됨으로서 그 절규와 환멸의 현장이 더욱 생생히, 극적으로 전개되는 것이었다.

이런 긴박함 속에서 작가는 현 사회에 대한 불만을 동시에 토로하고 있다. 돈이라면 인간의 사생활마저도 심지어 목숨마저도 거리낌 없이 이용하는 사회, 사람이 납치 당했는데도 기자란 족속이 '기분이 어떠하신지요?'라는 망발이 터지는, 인간의 존엄성이란게 과연 무엇인지 반문하고픈 이 사회에 대한 가득한 불만이 쏟아지는 것이었고 실명한 사람들의 아비규환은 사실 눈멀지 않은 현 사회를 비꼬는 모습에 지나지 않은 것이었다. <눈먼 자들의 도시>에서 어느 때, 어느 곳이란 특정한 배경을 설정해 놓지 않았다는 것, 그리고 등장인물 또한 이름을 가지지 않은, 그저 검은안경을 낀 여자란 식으로 외양만으로 묘사된 것뿐이었다는 것은 시대, 장소를 가릴 것 없이 전 사회의 타락성을 동시에 폭로하기 위함인 것이었다.

'나는 우리가 처음부터 눈이 멀었고, 지금도 눈이 멀었다고 생각해요. 볼 수는 있지만 보지 않는 눈먼 사람들이라는 거죠.' 라고 말했던 인물의 말이 가슴속에서 떠나지 않는다. 실명이란 단순히 눈이 먼다는 거라는 우리의 단편적 사고에 벗어나 실명은 그저 눈에 보이지 않는 것만이 아닌 보이면서도 그냥 외면하는, 보지 않은 것으로 하는 의도적 외면도 실명이라는 뜻이다. 그 말 속에 우리는 어떤 것은 잊어버리고 어떤 것은 기억하며 살지만 언제이건 간에 나 자신이기를 잊지 않는 것, 인간이기를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는 작가의 뜻을 되새길 수 있다.

<눈먼자들의 도시>는 읽을수록 처참하고 섬뜩하다는 느낌이 들게다. 긴 분량에도 불구하고, 현 사회에 대한 반성이라는 무거운 생각에도 불구하고 몰입되는 자신을 발견한다는 것은 만족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었지만 문득 문득 고개를 들 때마다 순간적으로 머릿속을 스치곤 하는 '어, 난 눈이 보이잖아.' 라는 생각은 소설을 제대로 즐기고 있다는 만족감을 넘어선 어떤 경악스럽고 공포스러운 기분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그 만큼 흥미롭고 긴박하고 생각할 거리의 많음은 추천하지 않을 수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