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모습
미셸 투르니에 지음, 에두아르 부바 사진, 김화영 옮김 / 현대문학 / 200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옥상에 올라 밖을 한 번, 창가에 기대어 밖을 한 번 무심코 쳐다본다. 참으로 많은 사람들이, 나와는 아무런 관계도 없는 수많은 이들이 끊임없이 나의 시야에 뛰어든다. `웃으며 이야기하는 사람, 뛰어가는 사람, 친구를 보고 손을 흔들며 걸어오는 사람, 화를 내며 고함치는 사람...` 사람. 사람.. 사람.....

이런 사람들의 모습들을 가만히 앉아 쳐다보고 있자면 왠지 모르게 삶이 애처롭다고 느껴질 때가 있다. 그들의 소리는 절제된체 보여지는 하나 하나의 행동들, 아련히 멀게만 느껴지는 액자소설 같이, 내 삶에서 보여지는 또 다른 그 들만의 삶. 나의 시야에서 점점이 멀어지는 하나 하나의 삶들, 또 다시 들어오는 다른 하나 하나의 삶들. 모두들 하나같이 아등바등 살아가려는 모습이 딴은 처량하게 비춰지는 때가 있는 거다. 무성영화 같은 무대 속에서 지나가는 인간의 모습들, 그 남겨논 뒤안이 처량하게 보일 때가 있는 거다.

뒷모습. 이처럼 그 뒤란 말을 입안에서 오물거리고 있자면 순수하면서도 쓸쓸한, 그리고 처량한 맛이 살포시 배여 나온다. 나에게서 등을 보이고 있는 이들에게서 느껴지는 그들만의 담담한 삶의 뒤안처. 오히려 그 담담한 뒷모습에서 더 큰, 숨겨진 외로움이 느껴진다. 되려 매너리즘으로의 퇴행인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그 `뒤`라는 어감이 주는 감미롭고도 그리운 맛은 한번쯤 자기 자신을, 나아가 인간군상을 다시금 한 번 살펴보게 한다. 저기 시야에서 멀어져 가는 그들의 뒷모습. 오늘따라 그들의 뒷모습에 애절한 눈길을 떼지 못한다.

여기 이 책. <뒷모습>에서는 인간이 지니는 가식적인 모습을 잠시 떠나, 인간의 뒤안이 가지는 그 순수하면서 꾸밈없는 모습을 한 번 살펴보고자 한다. 한 쪽 면에는 큰 사진이, 다른 면에는 글이 자리잡고 있다. 사진은 흑백이라 그 모습이 더욱 좋고 그 자체로 무언가를 호소하고 있어 더 애절하다. 오히려 컬러사진이 뽐내며 어지러이 자리잡고 있었다면 흑백이 주는 고요하면서도 애절한 맛을 느끼지 못했을 게다.

이제 인간군상의 그 뒷모습에, 모노드라마 같은 흑백의 잔영으로 함빡 빠져들고 있노라면 자연 감상적인 내가 된다. 그 뒷모습이 인간의 모습이고, 또한 나의 모습이기에 나의 감정은 뒤얽히게 된다. 하지만 그 얽힘이 결코 불쾌하진 않다. 오히려 뜻밖의 새로움을 줄 뿐. 누가 이 얽힘에서 쉬이 벗어날턴가? 예부터 얽힌 것은 풀기가 어렵다 했다. 그것이 실이든, 감정이든 말이다.

다만 아쉬운 점은 글이었다. 차라리 사진만 실었다면 어떨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사진을 보며 적혀있는 작가의 글은 그 사람이 얼마나 유명하든, 중간에 가끔 인용되어 있는 시 한편이 주는 미감(美感)보다 훨 못했다. 사진을 보며 그 애틋함에 무르젖어, 분위기에 도취되고 있으면 글은 거기에 과감히 찬물을 끼얹는 꼴이었다. 감상적인 내가 아닌 분석적인 내가 되길 강요하는 글. 누구든지 이 책을 보며 사진을 분석적으로 잘 `설명`해 주길 바라진 않을게다. 하지만 <뒷모습>에서의 글은 감정이 거의 배제된 분석적 글이다. 번역의 문제일까? 아니면 동서양 정서의 차이일까...

책은 덮었지만 참으로 아쉬운 나의 마음은 덮이지를 못했다. 아직은 덮히지 못한체 그 끝만이 오기를 바라는 나의 안타까운 마음. 하지만 `뒷모습`이 우리에게 주는 여유로움은 짧으면서도 충분히 사색을 즐길 수 있었기에 안타까운 나의 마음을 조금은 누그러 뜨릴 수 있었다. 과연 나의 뒷모습은 어떠할까? 또 다른 누군가에게 나의 뒷모습은 어떤 모습으로 비춰질까? 커피 한잔과 함께하는 흑백의 사진들. 나의 모습을 조용히 살펴보기에 결코 어색하지 않은 조합이 될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