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 곡예사>. `내가 물위를 처음 걸었던 것은 열두 살 때였다.`라는 환상적이고 도발적인 문장으로써 그 거대한 문을 화려히 연다. 하지만 써커스 같은 현란한 분위기로 치장된 그 말은 자칫 현실에서는 있을 법 하지 않은 그저 허무맹랑스럽게만 보일 위험이 있다. 그렇게 요리에는 위험해 보이는 재료에도 불구하고 폴 오스터의 구수한 입담에 버무려지게 되니 나 자신도 푹 매료되 전혀 이상하게 느껴지지를 않는, 아주 적당한 맛으로 간이 맞추어 진다. `물위를 걷는다.` 이제는 바로 다음 문장에 서서히 구미가 당기기 시작한다.<공중 곡예사>는 월트란 한 아이가 예후디란 사부를 만나 공중을 나는 법을 익히고 그 뒤의 파란만장한 삶을, 판타지 같은 비현실적 소재를 아주 현실적으로, 너무 현실적이라 마치 공중으로 나는게 실제 가능한거라 느껴지게끔 그려낸 작품이다. 슈퍼맨처럼 훨훨 나는게 아닌, 조금만이라도 떠오르기 위해 온갖 고통을 감내하는 월트의 모습은 마치 누구라도 연습하면 가능할것 처럼, 전혀 유치하지도 불가해하지도 않게 보이는 멋지고 교묘한 모습이었다. 이런 환상적 분위기 속에서 월트와 예후디 사부가 함께 그려내는 그 굴곡있는 삶을 보고 있자면 저자가 말한 `그러나 나는 아무 대가도 없이 원하는 것을 얻을 수는 없으며, 원하는 것이 크면 클수록 그에 따르는 대가도 더 크다는 것을 분명히 알고 있다.`란 말을 실감나게 해준다. 언제나 우연으로써 삶의 전환기를 맞닥들이는 것처럼 보이는 인물들이지만 사실은 그게 우연을 가장한 세상의 마땅한 법칙이란 것을. 하나를 얻으면 하나를 토해 낼 줄 알아야 한다는, 공짜란 없다는 법. 이제 그 물위를 걷는다는 것도 처음처럼 간단해 보이지는 않는다.온갖 굴곡있는 삶 - 공중곡예사에서부터 마피아의 실력있는 똘마니에 이르기까지 - 을 힘들게 달려왔던 월트도 마침내는 시간의 위력에 무릎을 꿇으며 말년의 시기를 맞이하게 된다. 그러다 마침 자신의 재능을 사부가 발견한것처럼 그 자신도 한 아이의 재능을 우연히 발견하게 된다. `그래, 이제 제2의 월트가 탄생하는 거야.` 하지만 `이제는 예후디 사부 같은 사람도 없고 또 나처럼 멍청하고 완고하게 고통을 감내하는 아이도 없다.`는 생각이 든 순간 자조하며 자신의 설레이는 마음을 한숨으로 누그러 뜨려 버린다. 그랬다. 월트도 이제는 고통을 감내하는 것은 멍청한 짓으로 간주되는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이었다.월트는 정말이지 그게 안타까운 것이다. 변치않을 것만 같던 시공간의 급속한 발전은 인간정신을 잃어버린지도 모른체 앞만 보며 달려 왔고 정신을 몽땅 잃어버린 이제는 그 누구도 대가를 치루면서까지 자기것을 희생하려 하질 않는다. 그저 요행을 바라며 천재일우만을 언제 오시나 목 빠져라 기다리는 사람들에게는 월트의 뼈를 깎는 고통을 통한 자기 발전에는 그저 냉냉한 시선을 보낼 뿐이다. 모두들 자기를 조금씩 조금씩 증발시킨다면 하늘을 나는 위업조차도 누구나가 달성할 수 있는 것인데 그렇게 자기 자신에게만 속속들이 갇혀 있는 모습이 누구보다 못내 안타까운 월트.`당신은 자신이기를 멈출 줄 알아야 한다. 그것이 출발점이고 그 밖의 모든 것은 거기에서부터 시작된다.` 자기자신이기를 멈추기보다는 남들도 자신처럼이기를 바라는 지금의 우리들에게 향한 월트의 소리없는 외침. 우리 곁을 휑하니 지나쳐 저 멀리 솟구친 <공중 곡예사>는 스피디하고 흥미스런 그 질주의 마지막에 피할 수 없는 하나의 파장을 일으켜 놓는다. 이제 그 파장에 고통받을 줄도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