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백 브라운 신부 전집 1
G. K. 체스터튼 지음, 홍희정 옮김 / 북하우스 / 200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태어나서 처음으로 추리소설이란 분야의 문에 수줍게 노크를 하게 되었다. 그것도 추리소설의 고전으로 불리우는, 전세계 추리소설의 팬들에게 극찬을 받고 있다는 아주 거대한곳, 마천루의 정문에 노크를 하게 되었다. 추리소설하면 셜록 홈즈외에는 떠오르는 것이 아무것도 없는 나에게는 그 노크의 긴장감과 설레임은 실로 대단한 것이었다.

`브라운신부`시리즈 중의 첫편인 <결백>. 책장을 한 장, 한 장, 넘기면서 장르에 대한 회의가 얼핏 들기 시작 했다. `추리소설의 진행이 원래 이런건가?` 그 즈음, 추리라고 하기에는 너무 밋밋한 진행과 고빗사위는 커녕 클라이막스 조차 없는 싱거운 결과 구성에 나는 당혹감을 일으키고 있었다. 분명 추리영화나 만화에서는 그렇지가 않았다.

추리의 묘미는 무엇일까? 그 요체는 바로 `독자참여`에 있다. 여기에는 누구도 이의가 없을 것이다. 그저 눈으로만 귀로만 주인공의 행적을 쫓아가는 것이 아닌 자기나름의 의미구성과 결과 예측, 바로 이것이 추리의 재미이자 진정한 묘미이다. 그만큼 추리란 장르는 독자참여가 없으면 껍데기 뿐인 것이다. 단팥빠진 찐빵, 소시지없는 핫도그. 이처럼 그 둘은 동전의 양면처럼, 로미오와 줄리엣처럼 결코 뗄래야 뗄 수 없는 찐득한 사이다.

추리 = 독자참여. 그런게 추리다. 사건 하나하나의 실마리를 자기나름대로 찾아가며 그 논리적 개연성의 달콤함을 즐기는 하나의 오락. 하지만 <결백>에서는 그런 자기나름의 참여를 위한 오락의 문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 같았다.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그 문을 찾아보지만 오로지 들르는 것은 브라운 신부의 호통소리. `빨리 따라오시오!` 독자는 오직 브라운 신부가 걸어간 자취만을 투덜투덜 따라 가야만 했다.

`북치고 장구치고.` 브라운 신부를 한마디로 표현해보라고 하면 딱 제격인 말이다. 사건하나 `뻥` 터뜨려 놓는다. `이야. 이제 사건의 시작이다. 두근두근` 하지만 별다른 추리의 건덕지를 남겨놓지도 않은 상황에서 브라운 신부는 밑도끝도 없이 모두 해결해 버린다. `야~대단한 신부구나`가 아니다. `아, 이건 그런 것이 아닐까? 이 사람이 범인이 아닐까?`란 추리만의 진정한 참여는 할래야 할 시간이 없다.

발단, 전개, 그리고 결말. 중간의 무언가가 빠진듯한 허전한 공허감은 실로 막대해 직면한 이로 하여금 사지에 힘이 싹 빠지게 한다. 브라운 신부. 북치고도 장구 친다고 한게 칭찬인줄 아는지 꽹과리 마저 칠려는 모습에는 두 손 두 발 안 들 수가 없다.

태어나서 처음 두드려 본 곳. 추리소설 <결백>. 신선한 추리라는 주위의 평가와는 별개로 초심자인 나에게는 낯설기만 했다. 오히려 초심자의 시선덕택으로 추리소설을 본듯한 느낌이 아니었다. 아마도 나는 아직은 두드리지 말아야 할 곳에 건방지게도 `쾅.쾅` 문을 두드린 것 같다.

역시 멋모르는 초심자에게는 정석의 길부터 밟는게 순리요 도리겠다. 정통추리의 면모를 제대로 익힌 뒤, 그 때서야 다시금 찾아 와 볼만한, 어쩌면 수준높은 곳이였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건방지게, 멋모르게 한 노크의 대가치고는 너무 쓰디쓴 소득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