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록 아름다운 세 살
아멜리 노통브 지음, 전미연 옮김 / 문학세계사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멜리 노통다운 소설이었다. 그녀의 소설이 가지는 그 특이한 골계미는 추리, 판타지, 무협소설들의 흥미와는 또 다른 그 무언가가 확실히 있다. 그렇지 않고서야 그녀의 소설속에서 이렇게 허우적 대며 빠져나오지 못할 이유가 없다. 나를 흡입하는 마력. 허우적, 허우적.

일단, 그녀가 가지는 골계는 읽는 이로 하여금 당황스럽게 만드는 재주가 있다. `이게 뭐지?` 벌써 얼굴 붉어지는 독자들. 그 당황의 회오리에 직면한 독자는 정신없이 어지러워 진다. 평정심을 찾으려 부단히 애쓰지만 A급 `노통 회오리`는 그렇게 호락호락하지가 않다. 하지만 처음부터 그 회오리 속에 빙글뱅글 휩쓸리다 보면 어느새 그 회오리의 일부가 되어버린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이제 더이상 그녀의 소설은 현기증을 유발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녀 소설의 현기증은 즐겁다. 신바람 노통 호~

<이토록 아름다운 세살>. 여기에는 한 아이가 나온다. 그런데 그 아이는 자기가 신이라 굳게 믿고 있다. 맞는지는 몰라도 믿게끔 만드는 구석이 여기저기 있긴하다. 아니, 진짜 신인가? 헷갈린다. 그런 아이의 성장과정을 3살까지, 그것도 탁월한 내적심리진행으로 이루어 진다.

더불어 절대 심각하지도 않다. 오히려 기막힌 재미와 웃음속의 요람에 들어가 누은 듯, 어린 신의 눈으로 바라보는 세상이 어찌나 재밌던지. 하지만 그 속에서도 인간존재와 우주본질의 근본철학적 물음표를 가지게 한다. 역시 이 요람은 예사 요람이 아니였던가 보다.

<이토록 아름다운 세 살>은 여타 아멜리 노통의 소설과 같이 분량은 짧고 전개 구성은 단순했다. 하지만 그 아쉬움의 얇음 속에는 절대 과포장되지 않은 알맹이들이 꽉 들어차 있었다. 그 토실토실한 알맹이들을 하나하나 까먹는 재미. 이제는 아쉽지 않으려나. 그것이 이 책에 푹 빠진 요인이었고 또한 노통의 소설이 가지는 커다란 흥미의 자기장이다. 적은 노력으로 큰 만족. 이제는 너무 식상한 경제논리가 되버렸나.

지금의 난 노통이란 안경을 쓰고 말았나 보다. 그 안경을 통해 보는 세상은 이제 편협적이다. 이미 내 눈의 일부가 되어 버린 안경의 폐해는 이제 알아 차릴 수가 없다. 덕분에 난 노통의 매력을 비판할 객관력은 상실하였는지도 모른다.

`넌 노통 골수 팬이야. 말할 자격 없어!` 하지만 이런 상황속에서도 난 노통의 소설을 권한다. 물론 <이토록 아름다운 세 살>도 포함해서. 이제 당당히 외친다. 읽어보고 느껴보라. 이 짧음 속에 스며있는 아쉬움의 마력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