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 - 인류 최대의 적
앤드루 스필먼 외 지음, 이동규 옮김 / 해바라기 / 2002년 6월
평점 :
품절


모기. 참으로 귀찮다. 특히 무더운 여름철. 안그래도 더워서 있는 옷 없는 옷 다벗고 그것도 모자라 땀까지 줄줄 벗고 있는 그 때, 눈치없이 다가오는 그대여, 모기. 강제헌혈까지 시켜놓고 `쵸코파이`는 커녕 병원균만 잔뜩 주고 간다. 성인군자 인내심도 시험해 볼 만하겠다.

하지만 그동안 우리는 모기에 대해 `짜증` 이상의 생각은 지녀보지를 못했다. 그저 왱왱 거리며 날아가는 모기를 손으로 찰싹, 약으로 칙 죽이며 의미심장한 웃음만을 지었을뿐. 누가 이런 하찮고 작은 곤충에게 이런 정교한 구조와 정밀한 생활력을 기대했을까? 나 역시 손바닥 손에 찐뜩 납작해진 짜증나는 생물 이상으로 의미를 줘 본적이 없었다. 가끔씩 들리는 뇌염 소식에 조심하자는 생각정도까지만 했을 뿐.

엔드루 스필먼의 <모기>를 보고 있자면 입이 쩍 하니 벌어진다. 모기하나 때문에 지역경제가 저렇게 타격을 받고 모기하나를 퇴치하고자 저런 수고들을 벌였을까? 믿어지지 않을 정도였다. 세계 최대 강국이라며 할 소리 못 할 소리 다 하는 미국도 이 조그마한 생물체에는 두손 두발을 들었단다. 과연 개미가 코끼리를 이기기도 하는가 보다.

<모기>에서는 우리 주변에서 늘상 보아오던 집모기에서부터 다소 생소한 여러 모기에 이르기까지 그 모습과 생태를 소개 해 놓았다. 그와 더불어 그 모기들이 옮기는 질병과 그 폐해들, 그 속에서 아둥거리는 인간의 모습까지 수록되어있다. 특히, 모기로 인한 질병의 원인을 모르는 속에서 그 원인을 찾고자 하는 인간의 행로들은 흥미롭기까지 했다. 의학소설류속에서 느끼는 긴장감과 흥미의 혼합이라고 할까?

작은 고추가 맵더랬다. 이 작은 모기, 맵다 못해 쓰기까지 한 독종이였다. 그 동안 그저 나의 포획도구 `손`에 대한 희생양으로만 여기던 나의 흐리던 눈에 <모기>는 썩 괜찮은 안약과도 같았다. 다만 정녕 모기자체보다는 오히려 부수적 사건들에 초점이 맞춰진 듯한 점은 이 안약의 안타까운 부작용이었다.

우리, 이제는 당하더라도 알고 당하자. 아니 이제는 아니까 당하기 전에 예방을 해야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