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의 음악
폴 오스터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3월
평점 :
품절


폴 오스터, 대단한 작가다. 흔히 명성은 뛰어나나 그 명성에 비해 그 글은 터무니 없는 경우가 왕왕있는데 폴 오스터, 그는 아니였다. 난 지금 그를 최고의 이야기 꾼이라고까지 추켜 세워 주고 싶다. 출판사에게 잘보이려고? 서평담당자에게 잘보이려고? 절대 아니다. 내 주관, 내 판단으로 그는 정말 대단한 이야기꾼이다. 그에 관한 여타 매스컴의 설명처럼 이 이야기도 우리 일상생활에서 흔히 있을법한 이야기로 시작되어 그 뒤는 알수없는 읽는 이로 하여금 도저히 페이지를 넘기지 않고는 답답해서 견디지 못하게끔 만드는 마력이 있다.

우연의 음악. 이 우연이란게 우리에게 참 많은 의미를 준다. 주인공은 일상적인 평범한 한 사람으로 살아가다 어떤일을 계기로 점점 불운의 나락으로 추락하고 있는데 우연히, 아주 우연히 생면부지의 아버지로부터 거대한 유산을 받게 된다. 거기서 부터 주인공 나쉬는 우연히 만나는 도박청년꾼과 우연히 얽히게 되는 사건들 등등 모든 인간사란 우연의 필연성을 갖는다는걸 보여주기나 하듯이. 흔히 사람들은 운명이란걸 말하곤 한다. 자기 인생에 피할래야 피할수 없는 필연적 사건들을 사람들은 자기 팔자다, 운명이다라는것으로 대체하곤 한다. 하지만 우리는 이 책에서 정말이지 인생이란 우연의 연속이라고 느낄 수 있을것이다.

작가가 의도하고자 또는 의도하지는 않았더래도 이 책을 다 읽는 독자가 생각할수 있는 그 무언가는 바로 그 우연에 대한 자기 결정권이다. 운명이라고만 하면 너무 수동적인 인간상일것이고 그저 우연이라고 하면 너무나 불확실한 그리고 그 역시 수동적인 삶이라고 밖에는 볼 수 없다. 하지만 우리는 그 우연에 대한 결정을 함으로써 그 수동이란 의미를 능동으로 탈바꿈 할 수 있는 것이다. 나쉬가 유산으로써 드라이브를 떠나버리는것, 도박에서 자기 모든것을 거는것, 탈출의 충동에도 자기는 자리잡고자 하는 결의 등등 그 결과야 어떻든 우리는 나쉬에게서 우연이란 수동의 의미보다는 그 확고한 결정에 능동적인 이미지를 보게 된다.

그렇다. 인생이란 그런거다. 자기주변에 일어나는 모든 우연같은 사건들. 그 미래의 불확실성속에서 터지곤 하는 우연에 자기만의 확고한 의지만 가지고 살아간다면 그 우연이란 결코 불확실성의, 수동의 우연이 아닐것이란 말이다. 이렇게 정신없이 흥미진진한 이야기로 그런 철학적개념까지 덧붙일 수 있는 그에게, 나 어찌 최고의 이야기꾼이라 칭하지 않을 수 있었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