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마스의 악몽 - 유럽 판타지 단편선
알퐁스 도데 외 지음, 고봉만 옮겨엮음 / 문학과지성사 / 2002년 12월
평점 :
품절


역시 사람의 취향이란 너무나 다르다. 그치? 나 이 서평쓰기전에 먼저 올라와 있던 서평을 봤는데 별이 다섯개야~ 우와~ 그거 만점아냐? 만점!만점! 근데, 난 이거 빵점주고 싶어. 그 왜 있잖아~ 초등학생 받아쓰기 공책에 멋있게 예쁘장하게 그려져 있던 큰 동그라미 하나~ 그리고 밑에 밑줄 2개~ 이 책. 아마 작년 크리스마스 시즌쯤에 나와서 소개된걸꺼야. 기억나. 크리스마스와 전혀 관계없는 나도 그 명절(?)의 분위기에 버티다,버티다 휩쓸린 판이였지.우~ 살려줘. 그 때 막 이런 책이 나오니까 `앗! 이 책이다`싶더라고, 그래서 조금 기다렸다 돈모은뒤 사려고 했더니만 마침 그때 절판이었던가? 여튼 그런 비슷한 일때문에 안샀더랬어. 그러던 참에 이제서야 우연히 이 책을 보게 됐어. 근데 있잖아. 음..한마디로 별로였어. 약간 판타지풍의 소설인 만큼 독자에게 흥미를 줘야 하는데 난 흥미를 전혀 못 느꼈어. 흥미야? 너 어딨니?

이건 왠지 우리나라(하긴 우리나라만 그런것은 아니지) 상술의 특허품. 시즌맞춰 고객심리 유도하기 같았어. 왜 발렌타인데이에 자기도 모르게 초콜릿 먹고 싶고(받고 싶다고 해야 하나?) 화이트 데이에는 사탕먹고 싶고 기타 등등 정말 판타스틱한 상술있잖아. 그리고 이 책의 저자들 봐~ 너무 화려한 이름들이잖아~ 이름만 들어도 와~ 하게 되는 작가, 더군다나 크리스마스 시즌에 크리스마스의 악몽이란 흥미로운 책이라니~ 울컥하는 마음에 구매하는 사람많겠지? 근데 히햐~ 세상에, 난 안데르센의 `성냥팔이 소녀`가 있길래 우와~ 이거 판타지풍으로 각색한거 보다 싶었는데, 왠걸~ `축약 성냥팔이 소녀`더군.아, 물론 판타지풍으로 아주, 아주 약간 섞어 놓았어. 하지만 그 큰 틀은 성냥팔이 소녀야, 소녀의 생명이 꺼져가는 그 장면만 약간 신비하게 그려 놓고 나머지는 줄여놓은 성냥팔이 소녀 그 자체인.. 그때의 그 황당함이란..그나마 `조지프 셰리던 르 파누의 악마를 만나다`정도가 판타지란 명찰을 겨우 붙일만 하고(아냐, 이건 솔직히 읽으면서 오싹하기까지 했으니까 붙일만 한게 아니고 마땅히 받을 자격이 있다고 하는 편이 나을것 같아.) 나머지는 진짜 아냐. 몰라, 그거 내가 썼으면 졸작이라고 할걸? 유명한 사람이 쓰면 그 쓰여진 것도 유명해지는게 현실이지. 대중가요도 마찬가지잖아? 이름없는 가수가 부르다 그냥 조용히 사라진 노래, 요즘 삐까번쩍한 얘들이 다시 부르면 가요차트 1위도 거뜬하잖아? 아자 힘내자~ 대중문화!

결론은 전체적으로 별로였다는거야. 흥미롭지 못했어. 오히려 계몽적이였다고나 할까? 음, 그래 그게 맞는것 같아. 어린이들은 아니고 이제 어린이의 틀을 막 벗은, 청소년이 좋겠군. 청소년들에게 들려줄만한 계몽동화라고 하면 딱 좋을것 같아.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사람을 죽이다.`이건 딱 이지.정말 요즘 말로 `맞습니다, 맞고요`야. 계몽적 그 자체야. 유령이 등장한다는 그거 하나만으로 판타지에 분류되는건가? 음. 그건 내가 분류 안해서 모르지만 판타지 보다는 청소년, 아니 이건 `어린이를 위한 계몽동화- 사람을 죽이면 안돼요~`라고 라벨을 붙여주면 딱 좋을 것 같더라. 난 누가 이 책에 물어보면 이렇게 길게 설명은 못해니까 딱 한마디로 잘라 말해줄거야. `재미없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