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은 왜 우리 곁을 떠나지 않는가 - 인간과 과학 1
앤드류 뉴버그.유진 다킬리.빈스 라우즈 지음, 이충호 옮김 / 한울림어린이(한울림)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교적 무신론자(?)의 입장에서 평상시 나의 관념과 일치하는 듯해서 이 책을 접하게 되었다. 자, 다른 여러분들은 이 책을 왜 접하셨는지? 그리고 읽고나서의 그 감정기복은 어떠하셨는지? 참으로 궁금하군요. 어, 거기 모니터밖에 그냥 가려고 하는 분,잠깐 와서 마저 보고 가시지요.고등학교때 생물공부는 열심히 하셨나요? 음, 이과였다면 할수없이라도 좀 하셨을테고, 문과라도 기본 생물은 배우셨죠? 아,그런데 어떻하죠? 전 문과였고 배운 생물조차 기억이 거의 나지 않는군요. 나이도 별로 안됐는데 벌써 이래가지고 원, 더군다나 이 책은 앞에서 `뇌`에 구조와 기능에 대해 아주 간략히 설명해주죠. 아~ 이거 미치는줄 알았어요. 그 간략이란게 배워 제대로 익히고 있는사람에게는 다시한번 상기의 기회를 제공해주는 영양제가 될터지만, 이거 배운거 다 까먹고 빈털털이인 나같은 사람에게는 독약이더군요. 무슨 독약요? 아 있잖아요, 잠!

뭐, 그래도 다행히 앞 몇장만 뇌에대한 구조와 기능, 기타 여러 신경반응들에 대한거고 그 다음부터는 본론으로 들어가던군요.전 여기서 부터 정신차리고 봤죠. 덕분에 두정엽이니, 후정엽이니 하면 헷갈리기도 했죠. 자~ 신이 뭘까요? 전 개인적으로 불교라 칭하고 있지만 솔직히 저의 머리는 신의 존재를 인정할 수 없어요. 왜 인간만을 위해 존재하는가? 과학으로 증명안되는 우주를 그냥 멋대로 신이 만들었다고? 결국은 우리 뇌세포가 살아있어서 생각하는거 아닌가? 그 뇌가 죽으면 그런 신적 존재 의미도 살아지는거 아닌가? 이런 기타 잡다한 생각에, 저로써는 한 종교에 의지하고 싶은 `마음`은 있지만 그놈의 `이성`이란게 훼방을 놓더군요.

전 이런 기본입장에서 이 책을 잡았어요. 물론 읽기전에 이 책이 분명 무신론적 입장을 견지해 주는 책일 것이라 생각했어요.어, 근데 그게 아니더군요. 기본적인 입장은 과학자의 입장인 만큼 무신론적 입장이였는데 뒤로 가면서 우리의 `실존체제`를 뛰어넘는 그 무언가가 있을것이라는 막연한 결과기대로 치닫더군요. 이것이 무얼의미 할까요?솔직히 이야기 하죠, 전 여기서 느끼거나 크게 얻은것이 없습니다. 책의 서두에 `필자가 무엇을 주장하고자 하는지 독자분들은 모르실수도 있습니다.`하더군요. 제가 바로 그 독자분들 중의 한 사람입니다. 무신론적 허무의 이야기였는지, 막연한 종교의 과학적 뒷받침이란 희망의 책이였는지.. 읽으실 여러분의 판단에 맡깁니다. 아, 다만 좀 지루하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