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1개의 거짓말
라픽 샤미 지음, 유혜자 옮김 / 문학동네 / 2002년 4월
평점 :
품절


라픽 샤미? 듣지도 보지도 못했던 지은이다. 보통 지은이를 보고 책을 읽을 것인가를 결정하는 나에게는 그 생소한 지은이의 책을 덜렁 사서 읽는 다는 거은 일종의 모험이였다. 과감히 모험의 길로 접어들기로 한 나. 그 길의 화려함에 먼저 반했고(책의 표지 디자인) 그 길의 한없음에 겁도 덜컥 났다.(책 두께) 어쨌든 이건 내가 할 이야기와는 다른 얘기다.

제목을 `천일가화`라고 붙여보았다. 물론 천일야화에서 따온것이고 100개의 `거짓말`이라는데서 `거짓 가`를 붙여 보았다. 당연히 그 1001개의 거짓말이라는데서만 `천일가화`란 간판이 내달린것은 아니다. 이 시대 누구라도 알법한 그 유명한 `천일야화`. 그 이야기의 길지 않으면서도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정신을 못차리게 하는 흥미진진함은 시대를 초월하여 사람을 매료시키고 있다. 그 만큼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부담은 주지 않으면서 흥미를 주는 것으로 해석하면 좋겠다. 천일 가화라 붙인것도 이 천일야화의 전처와 별반 다를게 없다는 생각에 감히 붙여 본것이다.

현재 나오는 출판물들은 지적 버라이어티(?) 사회의 무대에 맞추기 위해 그만큼 복잡하고 읽는 사람의 두뇌를 `팽팽` 돌게끔 만든다. 그런 현대의 상황속에서 단순하고 부담없는 글은 또다른 나름의 존재의의를 가진다. 복잡, 혼란, 자극에서 단순, 평온함으로의 회귀. 현재 심심치 않게 일곤하는 복고열풍, 자연으로 돌아가고자하는 현대인의 심리에 걸맞음에 그 의의가 있는 것이다. 딱딱한 네모상자속의 텍스만으로 즐기는 현대인들이 그 때 그 시절 할머니의 옛이야기가 그립듯. 그 이유 하나만으로도 이 시대 진정으로 보존하고 가꾸어나가야할 문학의 한 분야가 바로 이 책과 같은 것이 아닐까 한다.

책을 덮으며 진짜 오랜만에 부담없이 머리를 즐기게 한, 뇌의 휴식시간을 준듯한 느낌을 받았다. 뭔지 모를 과거로의 향수를 더불어 일으키며 말이다. 하지만 아쉬운것은 바로 그저 이야기로만 끝맺을 했다는 것이다. 앞에서 비록 부담없이 읽을수 있음의 중요함을 역설했지만 그래도 책장을 막상 덮었을때 가슴에는 어떤 의미가 남기를 바라는 것은 어쩔수 없나보다. 옛이야기를 여럿들은것 같은 향수의 감정만을 일으키고 훌쩍 끝나버린 그 모험의 길. 하지만 그 길은 뜻 깊었다. 라픽샤미의 그 많은 이야기 꾸러미 중 하나를 풀어 보았다는 그 기쁨. 그리고 오랜만에 과거로의 향수를 부드럽게 일게 해준데에 대한 감사의 마음.오랜만에 부담없이 책을 즐기고가 하는 분들께 적극 권장합니다. 외적으로는 두터워 보이지만 내적으로는 결코 두껍지 않은 이 `1001개의 거짓말`을 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