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쿄대생은 바보가 되었는가 - 지적 망국론 + 현대 교양론
다치바나 다카시 지음, 이정환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2년 11월
평점 :
절판
교양. 다치바나는 여기서 교양이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사회전반 상식만을 말하는것이 아니라 인간유산을 상속 받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 인간사회지식전반의 포괄적 안목을 기를 수 있게 해주는 것이라 명명했다. 그런데 그런 교양의 정의를 포괄적으로 제시하면 뭐하나. 장담컨데 도쿄대생, 일본의 대학생들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대학생들도 인간지식전반의 포괄적 이해는 커녕 인간이라면 갖추어야할 기본적 상식도 없는 경우가 허다하다. 아니, 오히려 대부분의 학생이 그렇다고 보는 것이 나을 것 같다. 이 글을 적고 있는 나까지도 포함해서..
책을 읽는 내내 부끄럽다는 생각이 들었다. 초등교육 6년, 중등교육 3년, 고등교육3년 그리고 대학. 10년을 넘게 교육받아오며 결국 내 머리속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과연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았다. 결론은 `없다`였다. 자질구레한 잡다한 지식은 있을 망정 정녕 이 시대 대학생이라 할 만큼의 체계적인 지식은 하나도 갖추어져 있는 것이 없었다. 다치바나는 교양이란 일반적 상식이 아닌 인간사회에 대한 포괄적 이해로부터 시작한다고 하는데, 일반적 상식조차 체계적으로 갖추지 못한 나로써 어찌 부끄럽지 않았겠는가.
책의 부류를 보고있자면 요즘 각광을 받고 있는 종(?)이 있다. 바로 흔히 말하는 `자기 계발서`이다. 게으르고 나태한 자기를 일깨워줄 그 누군가를 찾아 헤매이다 보니 결국은 `이대로 하시오! 그럼 성공하오리다!` 라고 장담하는 자기 계발서에 손길이 가길 마련이다. 하지만 대체적으로 내가 읽어왔던 자기 계발서의 감흥은 대체로 원론적이었다는 것이다. 또는 지극히 개인적인 것이였다. 예를 들까..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 가 지극히 원론적인 자기계발서의 표본이였다. 구체적 사례없이 그냥 누구나 중학수준이상의 글짓기 능력만 있으면 충분히 생각해 낼 수 있는, 이른바 충격없는 원론적 자기계발서였다. 이런 책들이 자기 계발서라고 불려지려면 읽는 독자들에게 자기를 계발 할 수 있는 `계기의 충격`을 가하는 것은 기본아닐까?
그런 의미에서 나는 이 `도쿄대생은 바보가 되었는가?` 를 진정한 이 시대 학도들의 자기 계발서로 적극 권장해 주고 싶다. `무언가를 배워야지 배워야지.`하고 생각은 있으되 현실을 직시하지 못하고 나태한 나에게 크나큰 충격을 가해준 이 책. 교육비판이라는 책의 부류를 떠나 `이 시대 학도들이 읽어야 할 필독서`란 새로운 부류의 제목을 지어주고 싶다. 이 책을 읽고도 아무런 충격이 없다면 이미 대학생의 자격을 상실했다고 말해 주고 싶다. 이 책을 읽고도 동감만하고 행동이 없다면 더이상 학도의 길을 걸을 가치고 없다고 말해 주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