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칙한 한국학
J. 스콧 버거슨 지음, 주윤정.최세희 옮김 / 이끌리오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발칙한 한국학`.. 그래. 이제까지 우리의 역사가 그랬던 아니면 이방인의 자격으로써 함부로 쓴 책으로의 의미던간에 그 발칙한이란 표어는 나에게 전혀 와닿지 않았다.

적어도 난 이책을 낸 의도를 파악할수가 없다. 한국사회 부조리에 대한 비판?? 그런 책이라면 장담하건데 이것보다 훨씬 나은 저서들이, 그것도 외국인에 의한 시각으로 된것들이 얼마든지 있다. 이제 반론 나올차례. 그래도 이건 특별하게 접근하자나?? 이 말. 여러 단체들에서 이 책을 평가한답시고 한 말이다. 그래 특별은 해. 하지만 특별하기만 할뿐. 그 이상은 없다. 개개인의 인터뷰는 외국인의 시각에 비친 한국을 그리기 보다는 `TV인간극장`같이 한국에서 그 자리까지 가게끔, 힘든적은 없었나요? 하는것 밖에는 더이상의 의미를 줄 수 없다. 둘이서 주고 받는 말들도 그 한 인물의 특정 직업에 관련된 용어들이 난무한다. 그래서 얻고자 하는것은??

너무 한 책에 대해 비난을 퍼부으면 좋은 글또는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글이 아니라는 이 시대 고상한 생각에 봉착될지 모르겠다. 하지만 적어도 나는 이 책에 어떤 긍정적인 요소도 찾을수 없었다. 적어도 `외국인 시각에서 본 한국사회`라는 주제를 내걸고 있을때는 말이다. 특히 북한에 관한 글들은 왜 실려있는지 모르겠다. 기행문인가?? 아니면 일기?? 기행문을 볼바에는 `나의 북한문화유산 답사기`가 압도적이고 일기라면 차라리 `안네의 일기`를 보라. 이해할수 없다.

한마디로 일축하자면 이 책의 구성은 엉망진창이다. 이 엉망진창함을 모면하고자 큰 주제를 외국인의 시각에 의한 한국모습이다. 난 이 책을 보며 전혀 한국적모습을 찾아 볼수 없었다. 어디 재한외국인들끼리 카페에 모여서 시시콜콜한 잡담으로 쓰여질만한 글이라고 생각한다. 대단한 분(!)께서 적은 글을 너무 비난했나? 우리나라 사람들은 유명한 인사, 특히 외국에서 유명하게 인정받고 있는 사람이 내놓는 것은 무엇이던간에 미치는 아주 고상한 성향이 있다. 그 책이 우리나라의 민감하고 갸날픈 민족성이란것만 건들지 않는다면 무조건 옳고 찬양의 대상이 된다. 누가 적었던 형편없음은 과감히 밝혀야 한다. 여기서 무엇을 얻었다고 자부하는분들..과연 무엇을 얻으셨는지요??

이 책은 우리나라에 출판될게 아니라 외국에 이런 이름으로 출판되었어야 할 책같다. `나의 한국문화 답사기` 이 보다 좋은 제목 있으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