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똥벌레, 헛간을 태우다, 그 밖의 단편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권남희 옮김 / 창해 / 200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하루키의 소설을 읽고나면 또는 읽으면서 난 참으로 많은 생각을 한다. 그럴수 밖에 없기도 하다. 하루키 책은 생각을 많이 해 보지 않으면 주제를 찾지 못해 헤매이거나 하루키만이 주는 상실감에만 젖을 뿐이기에. 하지만 이런저런 많은 하루키의 소설,특히 단편들을 읽고나면 생각은 많되 그것을 글로 옮기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일단 전반적인 하루키의 메세지는 단편집들이 서로서로 `대동소이` 하기때문에 같은 말만 반복할수는 없다. 그렇다고 각각의 소설을 읽으면서 같은 생각만을 하는것도 아니니 이또한 미묘한 하루키세계의 묘한 매력이 아닌가 한다.

이 책 개똥벌레외 다수의 단편들. 특히 개똥벌레는 노르웨이의 숲(상실의 시대)의 출발점이며 그 개똥벌레 자신또한 상실의 시대와는 별개로 아주 뛰어난 단편으로 평을 받고 있는 작품이다.(개똥벌레란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지만 `반딧불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구판이 개똥벌레라고 적혀있다고 한다.) 나도 상실의 시대와 이 책을 다 읽었지만 역시 상실의 시대는 그 나름대로 그리고 개똥벌레 그자체만의 나름도 상당히 인상적이었다.
마지막부분에서 개똥벌레가 날아가는 모습이란..아마 상실의 시대에서 마지막대사에서 주는 `짜릿한`정체성의 물음처럼 여기서는 그 정체성의 방황을 나타내는게 아닌가 하고 생각해 보기도 한다.(또는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는 모습이나.. 정말 여러가지의 생각을 가질수 있기에 간단한 `텍스트`로는 진정한 표현은 어려울것같다.물론 나의 실력부재이기도 하지만.)

이 책의 제목에서 알수 있듯이 이 책은 개똥벌레 외에도 다수의 단편이 실려 있다. `헛간을 태우다`에서는 어딘가 알수없는 미묘한존재로부터의 무의식속의 현실세계 접근이라는 나름의 생각을 가지며 읽으면서의 재미보다 읽고나서의 재미가 `쏠쏠`했던 작품이다. 그 외에도 춤추는 난쟁이가 상당히 인상적이었던 것같다.(마치 다른 작품중의 `도서관에서 있었던 기이한 이야기`처럼 미묘한 인상을 준다.) 특히 주인공의 여자와의 `키스신`(?)에서의 묘사란 상상을 할경우 아주 비위에 거슬릴 정도였다. 욱~ 지금생각해도 그때의 묘사가 머릿속의 공연장에서 펼쳐지려 한다.

그리고 `장님버드나무와 잠자는 여자`는 `렉싱턴의 유령`이란 단편집에서 약간의 수정을 가한 `장님버드나무와, 잠자는 여자`의 원본격인데 수정을 가한 작품에서나 원본이나 별반 차이는 없었다.(하지만 수정을 가한부분이 좀더 매끄러워 보이긴 했다.) 그리고 나머지 한편은 그다지 나의 마음에 와닿지 못했던 까닭에 머릿속의 방을 얻지못하고 떠돌아다니는 신세라 찾기가 힘들다.

혹시 `상실의 시대`는 읽었으나 이 원본격인 `개똥벌레`는 보지 못한분이 계시는지요? 혹시 계시다면 얼른 보시기 바랍니다.자~ 우리도 한번 개똥벌레처럼 밤하늘을 날아 볼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