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혹하는 글쓰기 - 스티븐 킹의 창작론
스티븐 킹 지음, 김진준 옮김 / 김영사 / 2002년 2월
평점 :
품절


유혹하는 글쓰기


저자인 스티븐 킹은 <캐리>,<미저리>,<샤이닝>,<그린마일> 등의 무려 50 여 편의 소설을 출판한 작가이다. 대부분의 작품은 출판되기가 무섭게 전 세계로 번역되어 수 천 만부씩 팔려나가는 초대형 베스트셀러들이다. 이 책은 스티븐 킹 자신이 작가가 되기까지의 삶과, ‘글쓰기’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그의 삶은 결코 순탄치만은 않았다. 어렸을 때부터 글을 써온 그였지만, 출판사로부터 받은 거절쪽지는 수북이 쌓여만 같다. 그럴수록 그는 기회만 있으면 책을 읽었고, 백지 한 장도 경박한 마음으로 대하지 않았다. 하지만, 지금의 아내인 태비와 결혼을 하고, 처자식이 생겼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글쓰기에 대한 장래성은 점점 멀어져만 갔다. 그곳에는 가난에 허덕이는 삶의 반복이 있을 뿐이었다. 그런 그가 왜 포기하지 않았을까? 그건 바로 글쓰기에 대한 행복감이 있었기 때문이다. 많은 이들이 그에게 묻는다. “당신은 돈 때문에 일합니까?” 대답은 “아니오”다. 글쓰기의 순수한 즐거운 때문에 썼다고 한다. 돈은 일종의 덤이라고...  


내 전공인 프로그래밍에 대한 행복감을 잊고 살진 않았는지, 조금만 지쳐도 쉽게 포기할려고 하진 않았는지 되묻고 싶다. 프로그래밍을 즐거워서 한다면 지칠 줄 모르고 할 수 있는데, 왜 그러지 못했을까? 프로그래밍을 돈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나도 모르게 내 전공을 순수한 학문으로 대하지 못했기에 프로그래밍의 즐거움이 멀어져만 간 건 아닐까? 빙고~ 이는 대단한 발견이 아닐 수 없다.


이 책은 저자의 자서전적인 삶에 대한 이야기 다음으로, 글쓰기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다. 짧게 요약하자면, 글쓰기에서 평이하고 직설적인 표현을 쓰고, 수동태와 부사를 피하라고 한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글을 쓸 때, 진실 되게 쓰는 것이라고 한다. 피터 드라커는 지난 60여년 간  4년마다 분야를 바꿔 공부를 해오고 있는데, 그 이유 중에 하나가 진실된 글을 쓰기 위해서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그 분야에 대해서 잘 알아야 진실된 글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나도 글을 쓸 때 진실을 망각한 채 포장하려고만 하지 않았는지 생각해보게 하는 대목이었다. 솔직하게 쓰는 것이 글쓰기의 기본이 됨을 몰랐던 것이다.


글쓰기의 기본이 되는 단어는 ‘변화’라고 생각했던, 나의 머리 속에 ‘진리’라는 하나의 단어가 새겨지도록 도와줬을 뿐만 아니라, 프로그래밍이라는 행복한 바다 속을 헤엄칠 수 있도록 도와준 이 책이 고맙기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