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잡학사전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시리즈
김대웅 지음 / 노마드 / 2018년 1월
평점 :
절판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최초의 것들'을 읽고 난 후 잘난 척 시리즈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다른 시리즈들도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했었다. [최초의 것들]은 유익하고 재미있는 데다 요즘처럼 집콕을 해야만 하는 시기에 차 한 잔을 놓고 읽기에 좋았다. 아마 다른 시리즈들도 그럴 거라는 생각에 기대가 컸다. 그중에서도 [문화교양사전], [철학잡학사전], [우리말 어원사전], [영어잡학사전] 이 궁금했었는데 [영어잡학사전]이 당첨! 내가 읽게 된 잘난 척 시리즈의 두 번째 책.

 


개인적으로 책 표지가 마음에 들면 책 읽는 재미가 더해지는데 이 책의 표지가 마음에 든다. 책의 내용과도 잘 어울리고.

책 디자인이 내용에 어떠한 관련이 있냐고 묻겠지만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는 말은 어디에도 해당되더라고요.

 

책의 시작은 '지은이의 말'이다. 이 책의 핵심적인 소개가 적혀있다.

그저 흥미 위주가 아닌 정말로 쓸모 있는 책이 되었으면 하는 지은이의 바람에 좀 더 집중해서 읽어본다.

 

알아두면 정말로 쓸모 있는 이 영어잡학사전은 모두 10개의 장과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하지만 독자 여러분은 어떤 장을 먼저 펼쳐보든 상관없습니다. 각 장마다 독자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 지은이의 말 중에서


 

빽빽한 차례에서 보듯이 각 장을 세분화하고 우리에게 친숙한 단어들 위주로 선정해서 차례만 읽어 보아도 그 기원이 궁금해지도록 구성하였다.

SUMMER, WHITE, MAN, DIE, WAR, STORY, AIR, BUS, OK 등등의 단어들을 보면 영어권이 아닌 우리나라에서도 흔하게 쓰이는 단어들이니 새삼스럽게 외울 필요는 없지만 그 단어가 어디서부터 생겨나게 된 건지 설명해 준다고 하면 더욱 귀가 솔깃해질 수밖에 없다. 이제는 세계 공용어가 되어 어디에서나 보고 듣고 쓰이다 보니 영어식 이름, 도시명 등의 어원을 알아두는 것도 유용하다.

 

동물왕국의 영어나 식물나라의 영어는 해당 단어가 어원이 되는 경우다. 각 동물이나 식물의 특징들을 반영하여 그 뜻을 인간 사회까지 확장시켜서 새로운 단어들을 탄생 시킨다. 예를 들어, 돼지라는 동물로부터 '욕심을 부리다' '코골다' '전혀 불가능한 일' 등을 표현하게 되고 설탕으로부터 여보, 당신이라는 호칭이나 유혹, 뇌물의 뜻이 나와서 아첨하다 매수하다 라는 뜻으로 쓰이게 된다.

 

신화 속으로 떠나는 영어 여행에서 나오는 각종 신화 속 내용의 영어는 우리에게도 익숙하다. 그리스 로마 신화는 어느덧 유럽에서 이렇게나 멀리 떨어진 한국에서도 필수 도서가 되었기 때문이다. 제우스, 아테나, 아프로디테, 큐피드, 나르시시즘, 야누스 등등 신화 속 주인공들의 이름만 들어도 그 이름이 의미하는 바를 알 수가 있다. 그 많은 이야기들로부터 나온 단어들은 신화의 내용을 고스란히 간직한 채 영어 고유 명사로 현재까지 쓰이고 있다.

 

어느 장부터 보아도 상관없다는 지은이님의 말처럼

각 단어에 대한 개별적인 설명들이라 어느 CHAPTER를 읽다가 흥미가 생기는 다른 CHAPTER로 넘기며 읽어도 되기 때문에 책이 꽤 두껍고 내용이 촘촘한데도 전혀 지루함 없이 읽어갈 수 있다. 실제로 CHAPTER1을 읽은 뒤 CHAPTER9를 읽다가 차례를 보고는 CHAPTER6 부분을 읽기도 했다. 평소와는 전혀 다른 책 읽기 방식이었지만 불편함은 없었다.

 

 

 

각 단어의 구성은,

 

설명할 단어가 나오고 그 단어의 어원과 그와 관련된 내용이 나온다. 설명에는 때로 작은 삽화가 더해지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해당 단어가 들어가는 숙어나 파생어, 합성어처럼 활용되는 단어들이 첨부되기도 한다.

 


 

각 CHAPTER에서 재미있게 보았던 내용의 일부를 소개하려 한다.

 

CHAPTER_1 자연환경과 민족

 

열받는 계절 Summer

: 고대영어 sumor, sumur가 변형된 것인데, 인도유럽조어 sema를 차용했다.

그리스어로 여름은 thermos(따뜻하다)에서 나온 theros라고 하며, 라틴어로는 aestus(불,열) 에서 나온 aestas라고 한다.

>>> page 25 중에서

 

=> thermos를 읽자마자 유명 보온병 브랜드가 생각이 났다. 아. 그래서 그 보온병 이름이 thermos구나. 우리들이 인식하지는 못한 채 사용하는 많은 브랜드명의 뜻을 잘 찾아보면 해당 기업이 그 브랜드를 어떠한 이미지로 남기고 싶어 하는지 알 수 있다.

 

CHAPTER_2 인간관계와 사회생활

 

'어리석은'에서 '멋진'으로 변신한 Nice

: 라틴어 ne(not) + scire(know) = nescire(not to know)의 형용사 nescius(ignorant 알지 못하는, 무지한)에서 따온 고프랑스어 nice(어리석은)가 13세기경 그대로 영어로 들어온 것이다.

18세기에는 '식욕을 돋우는'으로 쓰이면서 '상쾌한' '즐거운'을 유추해냈으며, 바로 여기서 오늘날의 '훌륭한' '친절한' '정밀한' '매력적인' '쾌활한' '흐뭇한' '아름다운' '맛있는' 이라는 뜻이 생겨났다.

>>> page 77 중에서

 

=> nice의 어원이 '어리석은'에서 출발했다니 굉장히 뜻밖이다 '어리석은'과 '멋진'은 아무런 관련도 없어 보이는데 말이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부정적인 단어였다가 18세기에 '식용을 돋우는' 으로부터 긍정의 단어로 바뀌었다니.

우리나라에서 '죽이다'이라는 단어는 부정의 의미인데 어느샌가 '맛이 죽이네' 라고 사용되어 그 의미가 극단적인 긍정으로 확장되는 것과 같은 변화의 과정이 있었던 것일까.

 

CHAPTER_3 정치·경제와 군사·외교

 

프랑스 혁명을 가리켰던 말 Terrorism

: Terrorism은 '프랑스 혁명 (1789년 7월 14일 바스티유 감옥 습격사건으로 시작)' 당시의 공포 정치 시대 (the Reign of Terror)에서 비롯된 말이다.

이후 terrorism은 '공포정치' 이외에도 사회적인 '폭력주의' '테러 행위'까지로 그 뜻이 확대되었다. 궁극적으로는 라틴어 terrere(위험하다)에서 파생된 단어이다.

>>> page 93 중에서

 

=> 현대의 terrorism이라고 하면 이슬람 극단 주의자들이 먼저 떠오른다. 911테러 이후에 이슬람과 아랍의 부정적인 이미지에 큰 영향을 미친 terrorism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인데 이 단어가 프랑스 혁명 시대로부터 비롯된 말이라니 흥미롭다. 공포 정치를 막기 위해 자유, 평등, 박애를 외치며 프랑스 혁명이 시작되었는데 이제는 자유민주주의를 위협하고 공포 정치의 수단으로 terrorism이 행해진다니 말이다. 물론 그때 나 지금이나 terrere(위험하다) 라는 뜻은 변함이 없구나.

 

CHAPTER_4 문화·예술과 종교

 

열정은 괴로움 속에서 나온다 Passion

: Passion과 patience 는 뜻이 서로 정반대인 것처럼 느껴지지만, 어원을 따져보면 그렇지 않다. 둘 다 라틴어 pati -> passio(괴로워하다)에서 파생된 말이기 때문이다.

Patience는 라틴어 pati의 명사형 patientia(참을성)이 프랑스어로 쓰이다가 영어에 그대로 차용된 단어이다. ... 14세기 경에는 통증과 같은 '육체적 괴로움'을 뜻하다가, 지금의 '인내' '끈기' '참을성'이라는 뜻으로 굳어졌다.

Passion은 12세기경 라틴어 passionem(괴로움)이 그대로 영어에 차용된 것이다. ... 그 후 16세기 셰익스피어 시대에 이르러 '사랑' '감정' 의 뜻이 강해지면서 오늘날에는 '격정' '애착' '격노(ouburst)' '열애' '열망' 이라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 page 150~151 중에서

 

=> 인내와 열정이라는 단어를 따로 떼어놓고 보면 어울리지 않지만 괴로움에서 파생된 말이라고 하니 수긍이 간다. 괴로움을 참고 이겨내야만 하는 '인내'와 언제나 괴로움을 동반하고 있는 격정, 열정 이라니. 이런 부분이 영어에 대한 부담을 내려놓게 하고 재미있다고 생각하게 끔 만들 것이다. 새해에 영어 공부를 다시 시작하는 사람들이 읽는다면 공부와 휴식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HAPTER_5 과학 기술과 산업

 

긴급조난 구조신호 SOS & May Day

: SOS는 ... 약자로 생각하기 쉽지만 실은 그렇지 않다. ... 모스부호 (Morse Sign)으로 ..., 송신하기 쉽고 식별도 용이하기 때문에 1906년 베를린에서 열린 제1회 '국제 무선전신회의'에서 선박조난 구조요청 신호로 채택되었다.

May Day는 프랑스어 Venez m'aider (나를 살려주세요)가 와전된 단어이다.

>>> page 200~201 중에서

 

이메일 주소로 들어간 골뱅이 @

: @마크는 영어의 at이 아니라 라틴어 ad를 디자인한 것이다. ad는 영어의 at이나 to에 해당하는 접두어로, adapt(적응·순응시키다, 개조·각색하다), address (연설,주최,연설하다,주소를 쓰다) 등에 쓰이고 있다.

>>> page 206 중에서

 

=> 세계 어디에서나 통용되는 단어들인데 복잡하고 깊은 뜻이 없는 것이 의외다.

 

CHAPTER_6 동물왕국의 영어

 

가금의 대표적인 동물, 닭

: 닭(chichen)은 '어린 수컷 새'라는 뜻의 고대영어 cicen에서 나온 말로, ...

닭은 침착성이 없고 겁도 많아 '어린 계집애'나 '겁쟁이(coward)'로 통하기도 한다.

닭은 조류이지만 날지 못하므로 chicken colonel 은 군대 속어로 공군 대령이 아니라 '육군 대령'을 가리킨다.

'갈리아의 수탉 (Gaul's Cock)'은 프랑스를 가리킨다. 미국에서는 수탉을 rooster라고 하는데, roost는 '홰' '닭장' '잠자리'를 가리킨다.

Hen은 암탉뿐만 아니라 '조류의 암컷'이라는 뜻으로도 많이 쓰이며, 은유적으로는 '다산'과 '모성애' 그리고 '끈기'를 나타내지만 '말 많은 중년 여성'을 뜻하기도 한다.

>>> page 223~224 중에서

 

=> 닭. 이라는 하나의 동물에서부터 파생되는 단어가 이렇게나 많은지 알지 못했다. 여기에 다 적지는 못하지만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닭이란 단어로 여러 속담이 존재하고 달걀까지 포함하면 더 많은 표현들이 존재한다. 동물의 모습과 성격을 단어에 담아내어 많은 어휘가 생겨나는 것은 한국어나 영어나 다를 바가 없는걸 보니 인간의 언어가 가지는 특성 중의 하나 인가보다.

 

CHAPTER_7 식물나라의 영어

 

양파는 껍질 연합체

: '단일'이라는 뜻의 라틴어 접두어 uni에서 파생된 union(연합)과 'onion(양파)는 자매지간이다. oni가 uni의 변형이기 때문이다.

양파 껍질은 반투명하기 때문에 onionskin은 항공편지지나 타자용지 같은 '얇은 반투명지'를 가리키기도 한다.

>>> page 280 중에서

 

졸음을 쫓는 약, 커피

: 여기에서 바로 최고급 커피의 하나인 모카(mocha)가 탄생했는데, 예멘 남서부의 커피 출하항구 Mocha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

...coffee and cake job 은 '변변치 않은 일'을 뜻한다.

속어로 coffee grinder(커피 가는 기계)는 '매춘부'나 '털털거리는 자동차'를 가리킨다.

>>> page 286 중에서

 

=> 식물은 성격이랄 것이 없으니 그 쓰임새나 모양에 따라 어휘들이 생겨나는데 각 식물들마다 내용이 짧아서 쉬어가는 CHAPTER 정도로 읽어가면 좋을 것 같다.

 

CHAPTER_8 신화 속으로 떠나는 영어 여행

 

외눈박이 거인족, 키클롭스

: 우라노스와 가이아의 자식들은 엄청난 체구와 강력한 힘을 가진 무서운 존재였다. 이들을 Gigantes(기간테스, 거인족)이라고 불렀는데 영어로는 giants라고 한다. 이 거인족으로부터 '거대한'이라는 뜻의 gigantic이라는 단어가 파생되었다. '무수한'이라는 뜻의 접두어 giga(반대는 nano, 10억분의 1)는 byte에 붙어 10억 바이트(gigabyte)의 정보 단위를 만들어냈다.

>>> page 291 중에서

 

=> 멀고 먼 옛날 옛적의 신화에 존재하는 Gigantes에서부터 시작되어 현대 기술에서 사용되는 giga로 까지 불리게 되다니 영어 단어 하나에도 여전히 살아 숨 쉬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영향력에 새삼 놀라게 된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소포클레스(Sophocles, BC 496 ~ BC 406)의 『오이디푸스 왕』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오이디푸스는 테베를 건설한 카드모스의 증손자 라이오스(Laios)와 이오카스테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 아들이 아비를 죽이고 어미를 범한다는 신탁에 따라 태어나자마자 양치기에 의해 코린토스 산에 버려졌다. ....

이 비극의 주인공 이름을 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엘렉트라 콤플렉스와 반대로 '친모복합(親母複合)'을 말한다. ...

특히 사내아이는 어머니에게 애정을 느껴 아버지를 연적으로 여기고 질투를 느낀다.

>>> page 337~338 중에서

 

=> 심리학 책을 몇 권 읽어보거나 우리 사회의 어떠한 문제나 고전의 숨은 의미를 설명할 때 종종 나오는 그 유명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이다. 가끔은 지나칠 만큼 많은 문제의 원인으로 지목되어 너무 억지 해석이 아닌가 할 때가 많다. 하지만 여전히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로 많은 현상이 설명된다는 것은 그만큼 그 신화의 내용이 대단하다고 봐야 하겠지.

 

 

CHAPTER_9 영국·미국 사람들의 이름 짓는 법

 

: 영미권 사람들의 성(姓)은 대부분 조상에게서 물려받거나 지명(地名)을 따르는 게 보통이다. 하지만 Smith(대장장이)처럼 직업에서 비롯된 것도 많으며, Kennedy(울퉁불퉁한 머리를 가진 사람)처럼 별명(nickname)에서 비롯된 것도 심심치 않게 눈에 띈다. 따라서 여기서는 지명, 별명, 직업 및 사회적 지위에서 비롯된 성, 그리고 유대인들이 많이 쓰는 성을 소개하기로 한다.

>>> page 348 중에서

 

CHAPTER_10 미국과 영국의 도시 이름은 어떻게 붙여졌을까?

 

뉴욕 주 (New York State, 1788)

: 원래는 네덜란드의 식민지로 뉴 암스테르담(New Amsterdarm) 이라고 불렸던 이곳은 영국이 점령한 뒤 요크 공 (Duke of York)를 기리기 위해 뉴욕(New York)으로 개칭되었다.

>>> page 373 중에서

 

미시간 주 (Michigan State, 1837)

: 치페와 인디언의 말로 '커다란 호수'라는 뜻의 mecigama에서 따온 이름이다. 인디언들이 보기엔 개척자들이 먹을 것에 물불 안 가리고 성질이 사나우며 몸에 악취가 나는 족제비과의 동물 울버린과 비슷하다고 해서 '울버린 주(the Wolverine State)'라고 불린다.

>>> page 378 중에서

 

런던 (Greater London)

: 1965년부터 런던은 우리의 서울특별시처럼 광역화되어 '대런던'이라고 불렸다. ...

London의 어원은 켈트어의 londos(거치른, 대담한)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것은 Londinos('대담한 사람'의 뜻을 지닌 개인이나 부족 이름)에 속하는 영지(領地)로 짐작된다. ...중세 영어에서는 Lundene, Lundin으로 단축되었고, 근대에 들어와 지금의 London으로 정착되었다.

>>> page 387 중에서

 

 

이 책은 가볍게 읽기 좋으면서도 새롭게 알게 되는 것들이 많다. 단어마다 흥미로운 의미가 숨어있다.

 

고대 영어부터 라틴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등이 나와서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우리가 알지 못하는 언어 또는 단어들에 너무 집착할 필요 없이 그 안에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에 집중해서 읽는다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책을 읽기 시작할 때는 발음 기호가 없어서 나도 모르게 생전 처음 보는 프랑스어, 라틴어 단어들을 알파벳 소리 나는 대로 읽어가며 헤매었었다. 사전도 찾아보며 너무 세세하게 읽다 보니 책의 내용이 머리에 잘 들어오지 않고 어렵게만 느껴져서 잠시 책을 덮고 가볍게 읽기로 마음먹은 뒤에 다시 책을 폈었다. 인도유럽조어든 고대영어든 라틴어든 신화 속의 인물이든 잘 모르면 모르는 대로 읽어내려가면 된다. OK이가 어디서 유래했든지 간에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OK는 오케이! 일뿐이고 이 단어가 어떻게 만들어지게 되었는지를 알게 되면 그 정보가 새롭고 재미있으니까 알려고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며 읽는 거다.

 

 

영어잡학사전을 읽고 나의 잡지식이 +1 되었다. 잘난 척은 하지 못하겠지만 뿌듯하다.

잘난 척 시리즈의 묘미.

 

 

 

** 이 책에 나온 단어나 숙어들을 다 외우려고 했지만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

영어 공부를 향한 집착은 매년 새해가 되면 돋아나는데 도무지 성공할 기미가 보지 않다니 이건 이것대로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 위의 글은 도서리뷰단에 선정되어 해당 출판사가 무상으로 제공한 책을 읽고 쓴 개인적인 소감문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