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나에게 살라고 한다
나태주 엮음 / &(앤드)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받자마자 하얀 바탕에 풀 한 포기와 띠지가 눈에 들어왔다.

시인 나태주가 뽑은 국내 명시 114편의 눈부신 위로.

침몰 직전의 청춘, 시가 나를 잡아 주었다.


제목도 띠지의 문구도 너무나도 시인다움이 느껴져서

책을 펴기도 전에 위로받을 준비가 되어버렸다.

누군가에게 그토록 위로가 되었다면 나도 114편 중 어딘가에서 분명 위로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책을 펴자마자 보이는 나태주 시인의 인쇄된 손글씨도 마치 나를 위해서 나에게만 적어준 것 같은 착각이 들었다.


개인적인 일들과 2020년을 삼켜버린 코로나의 습격 그로 인한 많은 변화들.

확실히 전 세계적으로 우울하고 위태로운 시대다. 나 역시 우울하고 위태롭게 겨울을 맞는다.

이런 이유인지 한동안 서점가에는 힘내! 할 수 있어! 괜찮아! 넌 혼자가 아니야! 를 외치는 많은 책들이 등장했었는데 마음에 크게 와닿는 책이 아직 없었다. 그들의 말은 모두 맞는 말이었겠지만 왜인지 책을 열어 볼 기분이 아니었다.

나에게 어떠한 위로가 필요한지 알 수 없었는데

이 책 제목과 띠지 문구 그리고 작가의 말까지 마음에 드는 것을 보니 조금은 힘을 뺀 위로가 필요했었던가 싶다.

나도 살았으니 너도 살아. 가 아니라 '나를 살린 시들이 이제 너를 지켜주기를' 이라고 말이다.

추운 밤 어느 술집에서 친구와 말없이 마시는 소주 한 잔처럼.

 

책을 받아 들고는 엮은이가 나태주 시인이고 그가 좋아했던 시인들과 그들의 시가 담겨 있다는 것은 알게 되었는데 정작 나태주 시인이 누구인지 몰랐다. 시는 좋아하지만 시와의 거리는 한참 멀구나. 어휴 그래. 어디 가서 좋아한다고는 말하지 말아야겠다. 풀꽃 시인 나태주를 모르고도 시를 좋아한다고 말하면 망신을 당하게 될 거다. 이렇게나 유명한 시인을 모르고 시를 말하다니.

작가 소개에서 본 '풀꽃 시인 나태주' 를 검색하고서야 알게 됐다.

광화문 글판에 쓰여 지금까지 사랑받는 그 시.

시민들이 가장 사랑하는 광화문 글판이라고 한다.

나도 그랬다. 보자마자 너무 예쁘고 사랑스럽고 따뜻한 글이라고 생각했다.

나태주 <풀꽃>

이 책의 page 66-67에 <대숲 아래서> 라는 그의 초기 작품도 있다. 1971년 신춘문예에 당선된 작품이라 <풀꽃> 과는 느낌이 사뭇 다르지만 그의 말처럼 그의 청춘이 담긴 글이다. 책을 읽고는 그의 다른 시들도 궁금해졌다.



이 책은 114편의 시들이 5개의 큰 묶음으로 나뉘어 있지만

시는 각자의 마음으로 읽어서 그런지 계절, 주제, 형식 등의 큰 틀이 아니고는 각각의 시들을 한데 묶는 것이 어려워 보이고 나태주 시인이 좋아하는 시들을 실었기 때문에 그의 감상에 따라 나눈 것이라 우리들은 잠시 쉬어가는 정도로만 생각하면 될 것 같다.


1. 너무 힘들어하지 마라

내가 네 옆에 있다


: 사평역에서 - 곽재구, 너에게 묻는다 - 안도현, 저 거리의 암자 - 신달자, 장미와 가시 - 김승희, 감처럼 - 권달웅, 갈등 - 김광림, 꽃씨 - 최계락, 비망록 - 문정희, 산이 날 에워싸고 - 박목월, 아버지의 등을 밀며 - 손택수, 차부에서 - 이시영, 내 마음의 지도 - 이병률, 국수가 먹고 싶다 - 이상국, 목계장터 - 신경림, 별을 보며 - 이성선, 파랑새 - 한하운, 해바라기의 비명碑銘 - 함형수, 우리가 물이 되어 - 강은교, 구부러진 길 - 이준관, 마흔 살 되는 해는 - 천양희, 목숨 - 신동집, 담쟁이 - 도종환, 대추 한 알 - 장석주


2. 그리하여 어느 날,

사랑이여


: 편지 - 김남조, 물망초 - 김춘수, 대숲 아래서 - 나태주, 한 잎의 여자 - 오규원, 내 소녀 - 오일도, 석류 - 이가림, 내 마음을 아실 이 - 김영랑, 연서 - 프란체스카 도너 리, 사랑 - 김수영, 작은 짐승 - 신석정, 동백꽃 - 이수복, 민들레의 영토 - 이해인, 우울한 샹송 - 이수익,낙화 - 이형기, 그리하여 어느 날, 사랑이여 - 최승자, 봄길 - 정호승, 선운사에서 - 최영미, 봄, 무량사 - 김경미, 보내놓고 - 황금찬, 초혼招魂 - 김소월, 세월이 가면 - 박인환

 

3. 인생의 한낮이

지나갈 때


: 방문객 - 정현종, 9월도 저녁이면 - 강연호, 도봉道峰 - 박두진, 감 - 허영자, 바람 부는 날 - 박성룡, 남으로 창을 내겠소 - 김상용, 빈집 - 박형준, 그냥 - 문삼석, 산에 언덕에 - 신동엽, 봄 - 이성부, 봄은 고양이로다 - 이장희, 한낮에 - 이철균, 달,포도,잎사귀 - 장만영,

시월에 - 문태준, 의자 - 이정록, 항아리 - 임강빈, 먼 길 - 윤석중, 해마다 봄이 되면 - 조병화, 꽃씨와 도둑 - 피천득, 시월 - 황동규, 나룻배와 행인 - 한용운, 떠나가는 배 - 박용철,

울음이 타는 가을강 - 박재삼

 

4. 눈물겹지만

세상은 아름답다


: 엄마가 휴가를 나온다면 - 정채봉, 아비 - 오봉옥, 30년 전 - 서정춘, 아버지의 마음 - 김현승, 길 - 김기림, 엄마 걱정 - 기형도, 소주병 - 공광규, 길 - 정희성, 어린것 - 나희덕,

소녀상小女像 - 송영택, 어머니의 그륵 - 정일근, 어머니 - 오세영, 밤하늘 - 차창룡,

가을의 노래 - 박용래, 성선설 - 함민복, 귀천歸天 - 천상병, 파초우芭蕉雨 - 조지훈,

청솔 푸른 그늘에 앉아 - 이제하, 비옷을 빌어 입고 - 김종삼, 설야雪夜 - 김광균, 송년 - 김규동, 백설부白雪賦 - 김동명, 고고孤高 - 김종길, 밤하늘에 쓴다 - 유안진

 

5. 오늘이

너의 강물이다


: 너를 기다리는 동안 - 황지우, 적막한 바닷가 - 송수권, 그 겨울의 시 - 박노해,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백석, 그리움 - 이용악, 국화 옆에서 - 서정주, 별 헤는 밤 - 윤동주, 시월의 소녀 - 전봉건, 청포도 - 이육사, 따뜻한 봄날 - 김형영, 강물이 될 때까지 - 신대철, 딸을 위한 시 - 마종하, 섬집 아기 - 한인현, 옛이야기 구절 - 정지용, 주막에서 - 김용호, 별 - 이병기, 그 사람을 가졌는가 - 함석헌, 저녁에 - 김광섭, 우화의 강 - 마종기, 행복 - 유치환,

달이 떴다고 전화를 주시다니요 - 김용택, 꽃자리 - 구상, 강 - 구광본

 

차례를 보면 한 시인의 시가 여러 작품 실리는 것이 아니라 114편 모두 다른 시인의 시가

실려있다.

많은 시인들을 만날 수 있고 그들의 대표작이 아닌 나태주 시인이 좋아하는 시들로 구성되어 시를 다양하게 접할 좋은 기회다.

나태주 시인은 현재 한국시인협회장을 맡고 있고 시와 관련된 많은 일들을 하고 있어서 많은 시인들을 알고 친한 시인들도 많을 것이다. 그가 특별히 좋아하는 시인들도 많을 텐데 한 시인에게서 단 하나의 시만을 이 책에 실을 때에는 많은 고민을 하지 않았을까.


각각의 시들은 그가 좋다는 이유로 책에 실리기만 한 것이 아니다. 각 시마다 나태주 시인의 설명이나 감상이 적혀져 있다.

그 시인을 만났을 때의 이야기, 시인과의 친분이나 성격 등과 같은 개인적인 이야기, 그 시를 읽었을 당시 나태주 시인의 추억 등등. 이 점이 유익하며 재미있기도 하고 시만 읽을 때와는 다른 감상에 들게 한다. 이런 구성일 거라고는 생각해보지 못해서 신기했다.

 

나태주 시인의 설명 부분을 읽으면,


내가 모르는 시인의 시를 읽을 때 나태주 시인의 설명을 보고는 그 시를 더 이해할 수 있게 되기도 하고 시만 읽었을 때는 보이지 않던 시인의 마음이 보이기도 한다. 다시 한번 들여다보게 하고 각 시구들을 다른 시각으로 볼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이성선 시인의 <별을 보며> 를 읽고 나태주 시인의 설명까지 읽으면 그가 왜 이 시인을 식물성 인간이라고 했는지 알 수 있었다. 이성선 시인의 시는 확실히 그를 닮아 있어서 그에 관한 이야기로 인해 그가 쓴 시구를 더 잘 느낄 수 있었다. <별을 보며>를 시만 읽었을 때는 절망인가 했는데 나태주 시인의 이야기를 읽고 다시 보니 연민이자 위로였기 때문이었다.


page 43 - 이성선 <별을 보며> 중에서

하지만 때로는 나태주 시인의 덧붙임으로 인해 편견이 생겨 버려 시를 제대로 느끼지 못하기도 하고 바로 이해하기 어려운 시를 만나게 되면 스스로 생각해보는 것이 아니라 나태주 시인의 감상을 나도 모르게 따라가버리게 됐다.


예를 들어 <연서>라는 시를 읽고 헌신적인 사랑이네. 라고 느꼈는데 하단에 시인의 이름을 보고는 '어라..? 혹시..?' 라고 생각했었는데 역시나 젊은 시절의 이승만 박사와 그의 부인인 프란체스카 도너 리가 주고받은 편지의 내용이라고 하니 갑자기 너무 현실적으로 다가와서는 'TV 프로그램 서프라이즈' 를 보는 것 같은 기분이 들어버렸다.

시가 시로 느껴지지 않는 것은 분명한 편견이었다.

누구든, 어느 자리에 있든 시를 쓸 수 있는 데 말이다.

 page 77 - 프란체스카 도너 리 <연서> 중에서


그래서 초반에 몇 편의 시를 읽고는 이 책을 읽는 방식을 바꿨다.

책을 두 번 읽자. 한 번 읽고 바로 다시 읽자.


처음에는 시만 읽는 것이다. 누구의 시인지 그 시인이 배경이 어떠한지는 신경 쓰지 않고 오롯이 내 감정대로 읽었다. 천천히.

두 번째에는 시를 빠르게 읽고 나태주 시인의 설명을 읽었다. 그 시인이 어떠한 사람이었는지, 그 시를 읽고 나태주 시인이 무엇을 느꼈는지, 그가 느끼기에 아까 그 시구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어떤 것이었는지 등을 읽어보는 것이다.


그렇게 두 번을 읽고 나니 시를 향한 내 마음과 나태주 시인의 이야기 속에서 비로소 균형을 찾을 수 있었다.


어떤 시들은 시인에 대한 배경지식이나 시인의 의도는 아무 상관도 없이 나의 마음을 두드렸다.


눈은 푹푹 내리고

나는 나타샤를 생각하고

나타샤가 아니 올 리 없다

언제 벌서 내 속에 고조곤히 와 이야기한다

산골로 가는 것은 세상한테 지는 것이 아니다

세상 같은 건 더러워 버리는 것이다

- page 216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중에서


어떤 시들은 나에게도 나태주 시인에게도 오랫동안 생각할 시간을 갖게 하기도 했다.


시를 읽으며 오랫동안 생각해 본 일이 있다. 고고孤高란 말. 왜 고고일까? 외로울 고孤에 높을 고高. 외로우면 누구나 높아지는 것일까? 반대로 높아지면 외로워지는 것일까?

- page 205 <고고孤高> 김종길 편에서


어떤 시들은 노래로도 불리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한인현 시인의 <섬집 아기>처럼.


다만 나는 <섬집 아기>를 동요로만 알고 있었는데 이 책에 시인의 작품으로 실려 있어 놀랐다. 다들 알고 있을까.

<섬집 아기> 괴담이 생길 정도로 구슬픈 동요가 되었지만 그 특유의 정서가 너무나도 우리에게 잘 맞아서 여전히 2020년 아기들의 자장가로도 불리고 있고 아마도 다음 세대에도 이 노래는 동요로, 자장가로 불리고 있을 것이다. 구슬프게.


나태주 시인의 덧붙임은 이럴 때 놀라운 시각을 제시한다. <섬집 아기>를 노래로 부를 때는 반드시 2절까지 불러야 한다는 것이다.

나도 이 노래를 1절만 불러서 이 책에서 시로 읽었을 때 두 번째 단락에서 의외의 생소함을 느꼈고 구슬프다는 감상이었는데 나태주 시인은 2절까지 불러야만 엄마가 아기와 만난다는 것이다.

아! 맞는 말이다. 아기를 두고 굴을 따야 하는 엄마는 구슬프지만 모랫길을 달려온 엄마는 결국 아기와 만났을 것이다. 기쁨이다.

엄마와 아기가 만나는 장면을 상상해보니 나도 모르게 미소가 지어졌다. 굴 바구니를 내려놓기도 전에 아기는 엄마를 부르며 신이 났을 것이고 엄마는 아기 얼굴을 보자마자 안도감을 느꼈을 것이다. 밤에는 엄마 팔베개를 하고 아기는 잠이 들었겠지.

섬집 아기 괴담에 떨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이 책을 필히 추천해 주고 싶다.

 page 237 - 한인현 <섬집 아기> 중에서

한데 김형영 시인의 <따뜻한 봄날 - 꽃구경>은 끝까지 듣지 못했다. 판소리처럼 느껴지는 노래가 더욱 슬픈 것도 있지만 시를 읽는 것만으로도 마음의 울림은 충분했다. 나 또한 제목만 보고는 봄날의 소풍인 줄만 알았는데 시를 읽고 나태주 시인의 이야기에 노래까지 더하고 나니 슬픔을 넘어선 그 어떤 감정에 나도 모르게 눈물이 날 뻔했기 때문이다.

 page 231 - 김형영 <따뜻한 봄날 - 꽃구경> 중에서

시로 만든 노래들은 대체로 구슬프다. 시로 읽는 것만으로는 그 슬픔을 나눌 수가 없어서 노래로 부르는 것일까. 노래가 되어 누구에게라도 그 슬픔을 함께 나누자고 하는 것일까.


어떤 시들은 너무나도 유명해서 다시 보아도 감탄을 자아내기도 했다.

윤동주 시인, 김소월 시인, 천상병 시인, 이육사 시인 등등 시인의 이름만 들어도 최소 그의 시 한 구절, 아니 제목이라도 기억해 낼 수 있는 그런 시인들의 시 말이다. 영원히 기억되는 시를 쓴다는 것은 어떤 마음일까. 어떻게 그럴 수가 있을까.


좋은 시는 모름지기 좋은 영혼에서 나온 문장이다. 나이를 불문하고 모든 세대에게 통한다. 구차한 설명 없이, 징검다리 없이 곧바로 가슴과 가슴을 연결한다.

- page 249 김광섭 <저녁에> 중에서


난 여전히 김소월 시인의 초혼招魂이 좋더라.

절대 잊히지 않을 시다. 누구에게라도 말이다.

page 104 - 김소월 <초혼招魂> 중에서


114편의 시들을 모두 소개하고 싶지만 안타깝게도 나의 깊이는 그 정도가 되지 못해서 말이다.

게다가 이 책을 읽을 누군가를 위해서 어느 작품이든 여기에 온전하게 적어놓고 싶지는 않다. 그 시의 첫 단어부터 마지막 단어까지 읽고서 느끼고 생각하고 상상하는 것은 온전히 그 시를 읽는 사람의 몫이기 때문이다. 한 편의 시는 그 자체로 스포일러일 테니 말이다.


어떤 시는 위로가 되었고 어떤 시는 의문으로 남았다.

어떤 시는 내 마음을 울렸고 어떤 시는 그 시인을 위해 손을 내밀고 싶었다.

어떤 시는 아름다웠고 어떤 시는 외면하고 싶었다.

어떤 시는 노래로 남았다.

그렇게 114편 모두 다른 감상으로 남았다.


나태주 시인의 간절한 주문처럼 그와 같이 우리들도 살릴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그의 바람으로 인해 충분히 따뜻한 책이 되었다.

이 시기, 이 계절에 읽는다면 그 누군가에게도 이 따스함과 위로의 말이 반드시 전달될 거라 믿는다.


20년 전쯤 싸이월드 미니홈피에,

지금 표현으로는 '오글거리는' 글을 쓰는 것이 유행했던 적이 있었다.

나도 그때 그런 글들을 꽤 여러 번 끄적거렸던 기억이 난다.

내가 좋아하던 노래 가사에 나태주 시인처럼 덧붙이는 이야기를 썼었던 기억도 난다.

오래전의 나는 그렇게 할 수 있는 사람이었다. 가끔 그 싸이월드 감성이 그리울 때가 있다.

나이가 드는 탓일까.


책을 덮으며 이 계절만큼 내 마음도 춥다는 것을 깨달았다.

온기를 느끼고 나서야 깨닫는다.

우리들은 무엇을 잃어버린 것일까. 지금의 나는 과거의 나로부터 무엇을 버리고 온 걸까.

앞으로 그 어떤 말에도 오글거린다는 표현은 쓰지 않기로 했다.


주위에 한가득 시가 있다.

그 시를 읽지 않는 내가 있을 뿐이다.



덧붙임 - 책의 표지와 띠지가 하얘서 깨끗하고 예쁜데 책을 읽다 보니 금세 때가 타고

띠지 글자는 지워져간다.

혹시라도 첫 느낌 그대로 간직하고 싶은 분들은

책을 사자마자 비닐로 씌우기를 권장함!

그런 사람 바로 나여서 서평 적다 말고 후다닥 비닐 씌웠음.

 

 

 

 

※ 위의 글은 서평 이벤트에 당첨되어 해당 출판사가 제공한 책을 읽고 쓴 개인적인 소감문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