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문
제시 앤드루스 지음, 서지희 옮김 / 내인생의책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문(MUN MUN) (제시 앤드루스, 2019)

영국 장편소설

         

보고 싶지 않은, 그러나 마주해야 하는 우리 사회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담은 책.

 

간략한 줄거리

유이스 나라는 자국 화폐이자 이 책의 제목인 문문을 사용하는데, 한 가지 특이한 점이 있다면 이 세계의 사람들은 돈으로 자기 몸의 크기를 늘리고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가난한 자들은 크기가 다람쥐보다도 작게 되며(리틀 스케일), 부유한 자들은 40m이상 되는 거구의 몸집을 자랑한다. 빈부격차가 너무나도 명백하게 가시화 된다는 것. 리틀들은, 가난한 것도 서러운데 매 끼니를 쓰레기통에서 연명하고 자신들을 쫓아오는 고양이들을 피하며 살아야 하는 신세이다. 주인공인 워너와 그의 누이인 프레이어는 스케일 업하기 위하여 그들의 말더듬이 친구이자 유일하게 글을 읽을 줄 아는 어셔와 함께 여정을 떠난다.

 

책의 포인트

책의 세계관에선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꿈에 개입하고, 한 꿈에 인근에 있는 여러 사람들이 꿈을 공유할 수 있다. 꿈을 잘 꾸는 능력을 가진 워너는 다양한 상상력 속에 드림월드에서 사람들을 기쁘게 만들기도 하고, 벗어나고 싶을 만큼 강력한 악몽을 꾸기도 한다. 그로부터 보여주는 워너의 기발한 아이디어들은 괄목 할만하다.

부리부리한 눈을 한 만화 속 고양이와 곰은 러시아인들처럼 정원에서 춤을 추며 끊임없이 반짝이를 뿌려대고 좀 먹어 달라는 듯 초콜릿 토끼들을 튕기고 있었다.” -78p. 중에서-

 

적용점

- 현실에서는 짓밟히며 무시 받는 워너는 꿈에서는 다른 빅 스케일과 미들 스케일들과 같은 신체 사이즈로 활동할 수 있으며 자신이 꿈을 잘 다룰 수 있는 능력을 활용하여 권위의식을 뽐낸다. 현실 세계에서는 무력하고 자존감 낮은 내가, 익명의 세계와 가상의 세계에서는 마치 한 가닥이라도 하는 것 마냥 행동하는 나의 모습과 어떤 다른 점이 있을까?

- ‘좋은 배우자를 만나 인생 역전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아직도 있겠지?

- 가진 자들을 존대하고, 가지지 못한 자, 정확히 말하면 가지고자 노력하여도 그럴 수 없는 자들을 홀대하며 그들의 성공을 배 아파하는 우리의, 아니 나의 모습?

- 아무리 많이 가져도, 타인과 비교하면 결국 불행해진다.

@bee.ring_boo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