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오늘도 냠냠냠 1 - 서울의 정겨운 맛집들
조경규 지음, 방현선 사진 / 송송책방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은 사람들과 같이 갔던 추억의 식당들, 늘 그 자리에서 변함없는 맛을 유지하고 있는 곳들, 너무 그립고 감사합니다. 조경규 작가님의 음식 그림은 매년 퀀텀 점프하시는 거 같아요. 너무 맛있어 보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사랑한 동물들
전순예 지음 / 송송책방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맑고 선한 글에 울다가 웃다가 합니다. 골뱅이 먹고 살아난 캐리 읽다가 우리 루비 생각나 눈물... 그립고 애틋한 이름이 생각나 행복해지기도 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 이게 뭐라고
장강명 지음 / arte(아르테)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강명 작가가 권장하는 독자들의 '문예운동'에 동참하는 뜻으로 리뷰를 쓴다. 


읽고 쓰는 일에 무슨 의미가 있나. 가끔 그런 회의가 들었는데, 이 책을 읽고 나는 아직까지 너무 조금 읽었고, 진지하게 써본 적이 없기 때문에 섣불리 의미를 말할 처지가 아니란 걸 깨달았다. 


"의미를 묻고 따지는 것은 나의 고약한 버릇이고, 읽고 쓰는 세계 거주자들의 운명인 것 같다. 그것은 힘이고 은총이며 고통이자 저주다. 나는 이게 어느 정도 죽음이나 소멸과 관련이 있는 문제가 아닐까 추측한다. 중력을 버티기 위해 골조를 세우는 것처럼 시간을 버티고 싶어 의미를 구하는 것 아닐까." (200쪽)


이렇게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죽어 없어질 몸, (그게 뭐든) 뭘 그렇게 연연해. 다 의미 없으니, 그냥 맛있는 거 먹고 가볍게 살자고. 보지 않을 때도 TV를 켜놓고, 죽음 같은 걸 생각하며 두려워하거나 구슬퍼하지 않도록, 지나치게 진지해지지 않도록 주의하며 살살 살다가 의식하지 못한 채 소멸하는 편이 나을지도 모른다고. 

그러나 나 역시 읽는 저주를 타고나서인지, 무의미하다면서도 자꾸 의미를 찾으려 들고, 본질에 대해 집착하게 된다. 놀고먹더라도 골조를 세우고 그 안에 들어앉아 하고 싶은 거다. 어정쩡하게 경계에서 들락거리지 말고 이젠 차라리 읽고 쓰는 세계의 성실한 시민이 되는 게 나으려나. 


책에 대한 물신숭배가 없어 좋았고, 보통 읽기에 관한 책들의 '책을 읽는 것은 중요하다. 왜냐하면 책은 너무나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책을 읽어야 한다.'는 순환논법이 없이, 읽어도 그만 안 읽어도 그만이지만 나는 읽고 있고, 앞으로도 읽을 거고, 심지어 당대에 배척당하더라도 후대손손 영원히 읽히고 싶다는 작가의 태도가 통쾌한 한편, 아 이 사람 진짜 진심으로 진지하잖아. 아 뜨거라 싶었다. 

절망조차 불성실한(사이바라 리에코의 표현) 나 같은 인간도 처음엔 삐딱하게 보다가 점점 자세를 고쳐 앉고 고개를 끄덕일 만큼의 진지함. 아마도 이 작가가 가진 최고의 재능은 이것 아닐까.       


+ 덤으로 얻은 장강명 리스트

블랙 달리아

포스트맨은 벨을 두 번 울린다

서부전선 이상 없다

개선문

분노의 포도

노르웨이의 숲

1984

13계단

단 한 번의 시선

우리가 얼굴을 찾을 때까지

앨저넌에게 꽃을

앰버 연대기

벌거벗은 얼굴

개의 힘


사실 내게 진짜 두렵고 걱정스러운 일은 사람들이 문학을 떠나는 것이 아니다. 문학과 문학을 읽고 쓰는 사람들이 현실에서 멀어지는 것이다.

- P253

우리는 최근 1년 동안 나온 책 중 가장 뛰어난 책, 가장 가치 있는 책을 과연 알아볼 수 있기는 한 걸까? 애초에 그건 좀 아니지 않을까. 어떤 책이 시대를 앞섰다면 그 작품은 당대에 환영을 받을 수 없다. 그게 바로 시대를 앞섰다는 말의 의미다. - P209

한때 웹소설을 써볼까 고민했던 이유는 거기에 독자들이 있다고 생각해서였다. 가끔은 한국문학이 이제는 일반 대중과 거의 유리되어, 전국에서 몇 만 명 정도가 즐기는 독립 예술이나 마이너 장르가 된 게 아닌가 싶은 폐쇄감이 든다. 몇 만 명이라면 한국 인구의 1퍼센트도 안 되는 수치인데, 작가고 편집자고 문학평론가고 그 범위 밖은 아예 상상도 못하는 것 아닌가 하는 두려움. 단순히 규모가 크고 작음의 문제가 아니다. 창작과 비평의 지평이 어떤 소수 취향에 갇혀가는 것 아닐까. 자신들은 시대를 앞선다고 주장하지만 실은 점점 게토화, 갈라파고스화하는 것 아닐까 하는 의구심의 문제다. - P215

나는 사랑하는 사람과의 식사나 뜨거운 물줄기 이상의 것을 추구한다. 그것들을 희생시켜가면서 구하려는 게 있다. 그걸 품위라고 부를 순 없을 거 같고, 의미? 글쎄... 그렇게 불러야 할 테지만, 수학자나 물리학자가 발견하려는 우주적 진리, 혹은 로고테라피에서 말하는 삶의 중심과는 조금 다르다. 나는 내가 좇는 그 ‘의미‘가 객관적인 것인지 주관적인 것인지도 잘 모르겠다. 나보다 크고 나의 바깥에 있으면서 내 안에도 있는 무엇. - P24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적정 소비 생활 - 생활경제코치 박미정의 불안이 사라지는 돈 관리
박미정 지음 / 씨네21북스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돈을 어디에 써야 할지를 고민하다보면, 결국 인생 전체를 돌아보게 된다. 나의 최우선순위는 뭐지? 그걸 정하려면 내 성향, 내 현재 상황, 내 꿈을 다 생각해봐야 하더라. 책을 읽다보니 적정 소비란 다른 누구도 아닌 내가 정한, 내게 맞는 소비인 것 같다. 막막하던 돈 관리 어렵지 않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이렇게 아픈데, 왜 그대는 그렇게 아픈가요 - 시가 먹은 에세이
김준 지음 / 글길나루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이 책에 달린 100자평 작성자들의 서재엔 거의 이 책과 또 이 저자의 다른 책만 들어 있다. 알라딘 추천 마법사는 왜 내게 이 책을 추천하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