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음
마에노 노리카즈 글, 사이토 도시유키 그림, 김숙 옮김 / 북뱅크 / 2013년 8월
평점 :
절판


 

차가운 여름날이죠?

냉동실에 있는 얼음을 가만히 들여다 본적 있으시나요?

더운 여름에 차가운 물위에 얼음을 띄워보면 얼음의 모양이 잘보이실거예요.

얼음안에는 작은 물방울들이 가득한것도 있도 몇개 없는 것도 있을것이고 여러가지의 모양들이 있을거에요.

그 모양들은 물이 얼음이 되면서 보이지 않던 공기의 모습이랍니다.

 

 

 

이 귀여운 아이들은 물의 분자들이랍니다.

열심히 뛰어 다니는 아이들은 물의 분자이고, 풍선은 공기의 분자랍니다.

분자라는 건, 우리 주위에 있는것을 반으로 쪼개고 쪼개고 쪼개서 아주 작아진것을 말해요.

우리 눈에 보이는 물과 얼음은 다른 모양이지만 다 같은 물의 분자가 모인거랍니다.

 

 

투명한 얼음을 만들기 위해서는

1. 물에 들어있는 공기를 줄여야 해요....끓인 물을 냉장고에 넣고 하루 식혀요

2. 천천히 얼린다.....스트로폼 컵에 뚜껑을 덮고 얼린다.

3. 물을 휘저어 공기가 나가게 한다....1시간에 한번씩 휘저어요.

 

색깔 있는 얼름을 만들 수 있을까?

 

저희 아이들과도 오늘 해보았지만 오렌지 주스, 물감을 이용해 얼려봤지만 모두 아래로 얼음 아래로 밀려나고 말았답니다.

 

* 포인트는 왜 그런것일까랍니다.

 

다른 것은 친구로 받아 들이지 않는 물만으로 단단해지려는 얼음의 외고집 성질 때문이랍니다.

하지만 그 성질 덕에 우리에게는 많은 도움이 된답니다.

 

 

 

 

 

 

비나 눈이 올때 구름속에 만들어진 얼음알갱이들이 먼지나 때는 얼음에서 밀려나서 깨끗한 빗물이 내리게 되는거죠.

 

그리고 바다의 얼음물은 짜지 않아요. 얼음은 염분을 조금씩 바다 속으로 밀어내면서 커져가는 거죠.

염분은 얼음아래로 밀려나고 얼음 아랫물은 차가고 무겁워지고 점점 더 깊은 바다 밑바닥까지 가라 않게 되죠

그리고 깊은 바닷물은 새물로 가는것처럼 바다 표면으로 떠밀려 올라갔다가 다시 아래로..그러면서 반복하죠

북극해로 부터 시작했다가 일부는 대서양까지 흘러들어가고 그러면서 깊은 바다는 순환하는 커다란 흐름을 해양심층류라고 하고

북극에서 시작해서 적도를 넘어 남극까지 나아갑니다..

차갑고 깊은 바다의 물과 따뜻하고 얕은 바다의 물이 세계의 바다를 돌고돌기때문에 적도 가까운 곳의 더위가 좀 누그러지는것이고 적도로부터 먼 곳의 추위가 좀 누그러지는 것입니다.  

넓은 범위의 해류에 의해 지구 전체가 적한한 기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얼음 이야기에 저희 작은아이가 신이 났어요.

누나와 같이 읽다가 혼자 가지고 가서 읽고 있는 모습이 대견했어요.

아직 얼음이 차갑다라는 느낌과 얼음은 시원하고 차가운 느낌에 얼음에 열광하는 아이지만

얼음의 얼려는 집단 옹고집 때문에 저희가 편안하고 잘 사는 것을 알날도 오겠죠.

 

 

 

 

얼음책을 보고는 얼음을 다시 보게 되었어요.

 

차갑고 시원한 느낌에 얼음을 먹기만했는데

 

얼음의 고마운 성질!!! 때문에 깨끗한 물과 깨끗한 비를 맞을 수 있었네요.

 

 

사실 오랜지 주스를 얼릴때 처음에는 얼음맛뿐이라 처음부터 오랜지맛이 낫으면 할때도 있었지만

책을 보고는 그런 생각은 안하게 되었어요.

 

 

 

얼음아 고마워~~~

더운 지방의 더위도 없애주기도 하고 추운지방의 추위도 없는 고마운 얼음이였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