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주 보면 무섭지 않아 - 2008년 캐나다 총독상 아동문학 삽화 부문 수상작 어린이작가정신 저학년문고 32
질 티보 지음, 자니스 나도 그림, 이정주 옮김 / 어린이작가정신 / 2013년 7월
평점 :
절판


 

 

 

어린이 병동에  죽음을 기다리는 아이가 주인공이에요.

죽음을 처음 본건 벽을 통과해서 어린아이를 안고서 어디론가 떠나는걸 본거죠.

주인공은 죽음한테 먼저 말을 걸었고 데리고 가달라고 부탁까지 했어요. 

처음에 죽음은 침대 끝에 앉았다가 주인공과 점점 가까워지면서 앉는 자리 역시 점점 앞을 오다가 옆자리까지 눕게 되는 친한 친구 사이가 돼요.

 

 

어느날 죽음을 놀랄 장난을 쳤어요.

바로 죽은척 하기로 한거죠.

죽음은 까무러치게 놀라고 어찌된 영문인지 몰라했어요.

죽음은 이일로 잔뜩 화가 나고 다시는 이런 장난을 치지 말라고 혼내면서 죽음과 같이 울었어요.

 

죽음은 동화를 읽어주는걸 좋아해요.

 

 

어느날 죽음은 긴 여행을 떠나야 하고 헤어져야 한다고 했어요.

신약이 나와서 보통 아이들과 같아질거라고 죽음한테 알려주었고 죽음은 기쁨의 눈물을 흘려주었어요.

그리고 다음날에 죽음이 작은 선물을 놓고 갔죠.

상자는 낮과 밤, 기쁨과 슬픔, 웃음과 침묵을 담을 수 있는 상자래요.

 

 

 

주인공는 마지막 치료와 함께 퇴원을 해요.

집으로 돌아와 방안으로 갔더니 장난감들은 작아져있었어요.

그리고 어린늑대 이야기를 읽고는 스르르 잠이들고

다음날 아침 정원에 맨발로 풀밭을 달렸어요.

새들은 노래하고 해는 지평선 넘어 떠오르고 생명의 품을 향해 힘차게 달렸어요.

 

죽음이 알려주는 이치.

 

존재하하기 위해서 낮은 밤이 필요해요. 거꾸로도 마찬가지예요.

더위는 추위가 필요해요. 거꾸로도 마찬가지예요.

소리는 침묵이 필요해요. 거꾸로도 마찬가지예요.

죽음은 생명이 필요해요. 거꾸로도 마찬가지예요.

이 둘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친구예요.

 

죽음은 생명에게 자리를 내어주기 위해 죽어가는 사람들을 데려가기로요.

 

페이지 : 29-31

 

 

마주보면 무섭지 않아를 보면서....

 

죽음의 표현법 역시 검정색에 어떤 색도 입히지 않았고 파스텔 그림같은 느낌이

들어서인지 죽음이 조금더 부드럽게 그려졌고

죽음의 표정도 눈여겨 볼만했어요..

웃지도않고 그렇다고 찡그리거나 화난얼굴도 아니고 기쁨이나 그런것도 아니면서

그렇다고 무표정도 아닌것 같은 느낌이 들어요.

그런데 표정이 일관되고 표정이 없네요. 그러면서도 왠지 슬퍼보이는 느낌이 들었어요.

 

끝부분에 등장하는 새들이나 그림들 역시 아무런 색이 없는 무채색에서 결말부분으로 갈수록

하나하나 색이 들어가 있어서 주인공이 몸상태를 나타내는것 같아요.

 

 

우리가 살아가면서 꼭 한번을 만나게 되는 친구겠죠.

어찌 안만나겠어요.

인생의 수레바퀴가 그렇게 돌아가고 있는걸요.

생명에게 자리를 내어주기 위해 죽음이 저에게 찾아올날이 있을거예요.

 

그래서 주인공처럼 죽음을 이해해보기로 했어요.

죽음은 모두들 싫어하고 죽음은 24시간 내내 일만 하며 외톨이라는...생각..

마주모면 무섭지 않아가 죽음을 너무 슬프게 표현한것 같기도해요.

막연한 보이지 않는 두렵고 무서운 감정보다 슬프게 표현했어요.

우리 주위에 가까이 있으면서도 결코 가까워서는 안되는 존재이죠.

 

우리가 알고 있는 죽음과 전혀 다른 느낌의 죽음이였지만

막연히 두렵고 무서운 죽음이 아니라 곁에 있지만 선듯 친할 수 없는 친구임은 확실하네요.

아이들에게 형체가 있는 죽음이 있다는것이 조금더 이해하기 쉬울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