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스홉킨스 환자 안전 전문가가 알려주는 병원사용설명서 - 나와 가족의 생명을 지켜줄 네 개의 치즈 이야기
정헌재.윤혜연 지음 / 비타북스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병원이란 병원 고치기위해서도 가기도 하지만 병이 있는지도 알아보러 가기도 하고

때론 다른 사람을 만나러 가기도 하죠.

 

 

제가 병원에 처음 갔을때가 문득 생각이 나더군요.

정말 저자가 말한대로 종합병원은 어디를 가도 정말 모르겠더라구요

 

그리고 어디에 가서 물어도 참 어렵게 느껴지는 병원

굳게 닫혀버린 성과 같은 느낌의 병원이랄까?

저만 그렇게 느낀 걸까요?

 

작은 아이들 장난감이나 전기제품 그리고 감기걸렸을때 먹는 종합감기약에도

제품설명서가 있는데

몇천배나 크고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병원은 왜 사용설명서가 없을까?

 

병원 사용설명서라서 반가운 마음이 너무 컸답니다.

 

 

본문 내용은 이렇습니다.

 

요즘 의료기술이 나날이 발전한 탓에 어떠한 병때문에 죽을일은 거의 없을 정도죠.

 

기술의 발전은 분업의 발전을 이루고

더 많은 인력의 커뮤니케이션이 많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죠.

수많은 분업과정의 의료연결고리가 하나가 잘못되기라도 한다면

 생각만해도 끔찍스러울것 같아요.

 

누군가에게는 수많은 환자중에 한명이겠지만

누군가에게는 의지할 사람은 한명의 의사나 간호사라는걸 알아주었으면 좋겠네요.

 

 

저자가 병원을 치즈에 비유한다는 것 역시 재미있고 너무 좋았어요.

 

중간중간 상세하게 나오는 키포인트들 모아다시 정리 놓은것!!

 역시 한눈에 볼 수 있어 너무 좋았어요.

 

다시 생각하기도 무서운 누군가의 이야기들...

너무 충격적이고 병원을 잘 알아야겠다는 경각심을 가지게 되는 이야기들까지...

 

그리고 나에 대해 자세히 말해야하는것들도 있다는 것!!!

내가 먹는 약물이나 알레르기, 질병등 다시 한번 정확하게 알려줘한다는것!

 

 

 

 

 

 

 

 

 

 

제일 기억에 나는 내용은 한평의 버블 이야기랍니다.

 

아무것도 아닌 사소한것 같지만 무척 중요하다는 것을

책을 보면서 다시 한번 머리속 깊숙히 세겨놓았습니다.

 

 

 

 

한평의 버블 모범 예시

 

환자의 침대 옆 의자에 앉아 있다가 환자를 일으켜야 하는 상황이

오면 (한평의 버블에 들어갈 때) 알콜성 손 소독제를 손바닥에 넉넉하게 짠 후 마치 손에서 물감을 지워내듯 구석구석 20~30초간 손을 비비기 시작한다. 그 시간이 지루하면 한두 마디 대화를 나누다. 그러는 사이에 알콜올은 다 날아가고 환자를 만질 준비가 끝난다. 환자를 부축해 화장실이라도 다녀오게 되면 환자를 침대에 눕히기전 즉, 한평의 버블에 들어가기 직전에 다시 손을 닦는다.  화장실에서 씻었더라도 다녀오면 들러붙었을지 모르는 균들이 이 공감 안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이는 보호자뿐 아니라 환자나, 방문객들에게도 똑같이 적용된다.

 

 

 

 

모두에게 가장 중요한 최고의 강력한 무기가 될것이라는 내용!!

 

 

 

아이들을 키우면서도 자주 가게되는 곳이기도 하고

가끔 친정부모님이나 시부모님을 모시고 가기고 하고

그리고 가끔 남편이나 저 역시 철인이 아니기에 병원을 찾기도 한답니다.

 

 

 나와 가족 그리고 주위에 모든이들에게 꼭 필요한 설명서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