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빤쓰 키다리 그림책 31
박종채 글.그림 / 키다리 / 201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줄거리랍니다.

 

 

내 이름은 박철수입니다.

올해 아홉 살이에요.

 

우리 집 식구는 모두 아홉명이에요.

아빠, 엄마와 형이 두명, 누나가 네명, 저는 막내입니다.

 

우리집은 모든 것을 물려받아요.

책과 학용품은 말할 것도 없고 옷까지 물려 입지요.

 

 

 

내일은 신체검사를 하는 날이에요.

엄마는 커다란 고무 다라이에 물을 받아 목욕을 시켜 주셨어요.

"빤쓰도 새로 만들어 놓은 걸로 갈아입고 가렴."

 

아침부터 학교가 떠들썩해요.

 

선생님께서는 출석부 순서대로 줄을 세운 뒤 말씀하셨어요.

"자. 이제 빤쓰만 남겨 두고 모두 벗어라."

 

그때 내 짝꿍 동철이가 갑자기 울음을 터뜨렸어요.

"이런 동철이가 빤스를 못 입고 왔구나. 그냥 바지를 입고 있어라."

 

 

 

모두 빤쓰만 남기고 옷을 홀랑 벗었어요.


그런데 친구들이 나를 보고 웃기 시작했어요.

내 빤스에 빨간 나비 리본이 달려 있었기 때문이에요.

"누나 빤스 입고 왔나봐."

 

 

 

 

나는 창피해서 하루 종일 친구들과 한마디로 하지 않았어요.

 

우리집 식구 모두가 미웠습니다.

학교에 가기 싫었고요.

 

어마가 내 머리를 쓰다듬으면 말씀하셨어요.

"철수야, 왜그래? 밥 먹어야지. 얼른 밥먹자, 응?"

"싫어. 싫어. 밥 안먹어! 만날 헌 빤쓰만 입고. 나 학교 안갈거야!"

내가 떼를 쓰며 응석을 부리자 아빠가 호통을 치셨지요.

"이 녀석, 회초리 좀 맞아야겠구나!"

 

그날 밤 나는 꿈을 꾸었습니다.

새 빤쓰와 난닝구를 차려입고 하늘 높이 나는 꿈이었어요

 

 

 

다음날, 엄마께서 강아지 그림이 있는 남자 빤쓰를 만들어 주셨어요.

 

나는 내 빤쓰가 참 좋아요.

아끼고 아껴서 이번 소풍날에 입고 갈거예요.

 

 

 

 

 

 

 

저희 아이들과 책놀이 랍니다.

 

 

 

두 남매가 집중해서 열심히 보고 있죠

 

가족이 많은게 저희 큰아이에게는 신기한 모양이네요.

 

그리고 모두 팬티만 있고 있는 교실풍경도 신기한지 여러번 물어보더군요.

 

지금은 안하겠죠?

 

 

 

 

 

큰아이가 철수가 팬티가 없다고 하나 만들어주기로 했답니다.

 

다 쓴 스티커책을 오려서 팬티모양에 종이에 붙여서 팬티 앞 모양까지 가지가지로 각자의 취향대로 만들었어요.

 

큰아이는 여자아이답게 딸기모양과 이쁜 동물모양 그리고 작은아이는 자기 마음대로 잡고 자르기가 안되니

화까지 내면서 풀칠하는 법까지 이번에 배웠네요 .

 

이런저런 여러개의 철수 팬티를 완성했습니다.

 

맨마지막까지 작은아이가 철수한테 입혀보기까지 !!!

 

내 빤스 덕분에 아이들과 책놀이 재미있게 했답니다.

 

 

 

 

그리고 책 마지막 페이지에는 여러가지 설명이 나와있어요

 

엄마 아빠가 학교 다니던 시절에는...이라는 시대적인 이야기가 나와 있어요.

 

신체검사 하는 날 풍경은 신체검사할때 꼭 목욕을 했던 기억이 나네요.

재봉틀은 저희 친정엄마에 재봉틀이 어렴풋이 기억이 나네요. 혼수품목이 1호였던건 책을 보면서 알았어요.

 

교복, 교모, 가방 물려주기 운동도 했던 모양이네요. 그때는 모든게 흔하지 않았던 시절이라 그럴만도 하다라는 생각하게 됩니다.

다라이 . 지금 저희 집에도 있는 빨간 대야죠! 저희 큰아이 태어나고 저희 친정엄마가 아가 목욕통보다 이게 편하다고 가지고 오신 대야!

빤쓰와 난닝구. 팬티와 러닝셔츠가 바른 표기고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자주 쓰던 말이라 아직도 가끔은 쓰는 말이라 익숙하네요.

 

 

아이들보다 내빤스란 책은 제가 더 좋아해요

 

어린 시절의 추억에 젖을 수 있는 내마음에 향수같은 마음에 고향느낌이 들어서 ..추억동화.

내 빤스의 그림도 그시대적인 박박머리에 형이나 누나들의 차림새는 교복

시대적으로 잘 표현된 작품이네요.

 

아 그때는 그 어린시절에 뭐 대단한것도 없었는데 그때가 재미도 있고 신나게 뛰어놀고

흙장난도 많이해서 엄마한테 혼도나고

뒷마당에 있는 앵두나무에 송충이도 잡아서 큰통에 모아두기해보고

메뚜기도 잡아 고소하게 튀겨먹기도 하고

겨울되면 동면중인 개구리와 개울가 돌을 뒤집고 다니면서

돌아래 숨어있는 메기랑 잡고기들 잡기도 했는데

아 그때가 그립네요

지금은 누가 돈을 주며 하라고 해도 절대 해서도 안되고 할 수도 없는 재미있던 추억이네요.

 

 

저도 삼십대 중반의 나이에 들어섰구 아이가 벌써 둘이네요.

지금에 아이들은 외동이나 둘 정말 많은 집은 셋이 대부분이더라구요.

저희 아이들도 둘이니 저희 어릴때와 가족수부터 틀리니 말이죠.

 

아이들이 내빤스란 책을 읽으면서 엄마아빠의 어린시절엔 어렵고 되물림되는게 많아서

제물건에 대한 애착도 그만큼 많았던것 같은데

제가 아이들한테 바라는건  작은 물건이라도 아끼고 

풍족한 생활에 고마운 마음을 가지고 커 주었으면 하는 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