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한 연구 - 상 문학과지성 소설 명작선 11
박상륭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성자들은 우리를 피곤하게 한다........성자들의 눈길 아래에서 우리는 한 번도 죄인이 아니어본 적이 없어서, 저 죄태는 우리를 피곤하게 한다.

   영웅들은 우리를 피곤하게 한다. 한 번도 명확히 정의되어본 적이 없는 비겁이 글들에 의해 정의되고 그리하여 우리는 인간인 것의 자부심을 잃어버린다.

   그래서 인간인 것이 우리를 피곤하게 한다. 인간인 것은 우리를 진실로 피곤하게 한다.

   그리고 우리는 피곤해 있다.’

 

   인간인 것이 나를 피곤하게 한다. 엄마이며 아내인 인간이라는 것이 나를 더욱 피곤하게 하고 그것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는 삶에 나는 피곤해 있다. 투덜거리며 사는 삶은 계속 피곤할 뿐이므로 피곤마저 행복을 위한 불가피한 부분이라 여기며 살아가고 있다.

 

   나이가 더해질수록 인생이 단순해지기를 바라는 요즘이다. 원했던 원하지 않았던 시간과 더불어 경험을 쌓아가면서 맹목적 궁금증들을 버리기 시작한 것 같다.

   ‘나는 어디에서 왔는가. 나는 어디로 가는가. 내가 이 세상에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모두 부질없는 질문일 뿐이다. 복잡한 생각의 그물 속을 헤매어 봐야 명료한 답변 하나 얻기가 쉽지 않다는 걸 나이가 더하는 만큼 경험했다.

 

   그런 내게 개똥철학이나 한답시고 여고시절 친구들과 어울려 읽었던 기억이 있는 이 책이 쉬울 리가 없다. 내 기억 속에 책의 줄거리가 고스란히 남아 있는 것을 보면 그 시절의 어린 나는 완독하기 쉽지 않다는 이 책을 완독은 했었나보다. 책의 제목을 들으면서 외설스럽다는 단어가 생각나는 것은 역시 깊이 있게 읽기보다는 글의 표면만 홅지 않았었나 생각된다.

   지금이라고 뭐가 다르겠는가?

   글의 줄거리를 잡고 뜻을 헤아려 가자니 불교와 도교, 삼위일체의 신과 힌두교와 연금술, 동서고금의 신화와 상징이 복합적으로 버무려진 사상과 철학을 소설로 풀어낸 작가가 나를 피곤하게 했다. 명확히 정의 되어질 수 없는 윤곽 없는 감정이나 현상들이 언어에 의해 정의되고 그리하여 나는 정의의 홍수 속에서 복잡해졌고 단순하고자하는 나의 하찮음에 인간인 것의 자부심을 잃어버린다.

 

   지금 사는 내 하나의 삶도 이해하기 힘들어 단순해지고자 하는 내게 삶을 극복한 죽음이야 말해 무엇 하겠는가?

   구태여 눈에 보이지 않는 종교적 사상을 쫒아 시간을 허비하고 싶지도 않고 답도 없는 철학적 물음으로 나를 괴롭히고 싶지도 않다. 철학적 사고와 눈에 보이지 않는 현상이나 감정들에 대해 조금 배웠다하는 사람들이 저마다 옳다 생각하는 수많은 정의를 내려왔다. 그것만으로도 차고 넘친다.

   결국 이 소설도 많은 배움을 바탕으로 많이 고민한 한 작가의 또 다른 삶과 죽음 종교에 대한 철학일 뿐, 글 속에 나오는 말처럼 그것은 그것을 하도록 정해진 자들이 하면 되고 나는 내 나름대로 내린 단순한 정의 안에 살고 싶다.

 

   나의 의사와 관계없이 이 세상에 던져진 이상 살아 왔고 살고 있고 살아 가야한다. 이왕이면 행복하다는 감정 속에 살아가기 위해 내게 주어진 삶에 나름 노력하려한다.

   내게 있어 종교의 근본은 ‘사랑과 평화’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돼지도 않는 덜 떨어진 사상과 이념으로 종교를 세분화하는 것에는 넌덜머리가 난다.

   덜어내고 덜어내고 살다가 가볍게 맞이하는 죽음, 거기까지가 끝이다. 내세나 천당이나 극락과 같은 것들은 그것을 다시 기억할 수 있는 그 시점부터 또 다른 삶의 시작이다.

 

   어렵고 힘들었던 책을 한번쯤 머리 싸안고 읽어 냈다 해서 억울할 것 까지는 없었다.

  단순한 논리의 삶에 질릴 때 쯤 복잡한 생각으로 한바탕 스스로를 괴롭히고 싶을 때도 있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