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대한 유산 1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12
찰스 디킨스 지음, 이인규 옮김 / 민음사 / 2009년 6월
평점 :
이야기의 줄거리는 극히 드라마적이면서도 교훈적이다.
어려서 부모를 잃은 가난한 아이 핍이 성장하는 동안 뜻하지 않은 유산으로 부와 지위를 얻게 되면서 인간적인 갈등을 겪게 된다. 그러나 결국은 주어진 주변상황에 자신을 내맡기는 대신 자신의 의지로 인간 본연의 진실함을 찾아간다는 내용이다.
요즘에 비하면 아이들을 크게 존중하지 않던 시대라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부모 잃은 핍이 누나에게 구박 받는 장면을 읽노라면 마음 한편이 짠해진다. 누나가 둔기로 머리를 맞아 더 이상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게 되었을 때 동정보다는 핍이나 조를 위해 다행이라는 생각마저 들 정도로 하나 밖에 없는 혈육을 대하는 누나의 태도는 젊은 나이에, 더구나 자신의 아이도 없는 처지임에도 너무한다싶다.
그에 비해 매형 조는 핍에게 올바른 삶을 살아가는 인간의 참다운 모습을 보여주면서 핍의 멘토 역할을 한다. 하지만 뜻하지 않던 부와 지위를 얻게 된 핍은 그를 외면하고자 하는 마음을 스스로 합리화시킨다.
조에 대한 자신의 태도에 스스로 부끄러워하면서도 한편 합리화 시켜버리는 핍의 모습이 아마도 가장 솔직한 인간의 모습이 아닐까 생각된다. 도덕적으로는 조와의 신의를 저버리지 않고 부의 있고 없음을 떠나 한결같은 마음으로 대해야 한다고 하겠지만 현실적으로 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핍과 같은 심리상태에 빠질 것이다.
자신이 생각하지 않았던 의외의 인물에게서 정당하지 않다고 생각되는 유산을 받았음을 알게 된 핍은 또 한 번 갈등하게 되지만 결국은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기로 마음먹는다. 하지만 그와 같은 결정은 너무도 교훈적인 결말일 뿐 결코 현실적이지는 않다.
핍에 비해 좀 더 현실적이고 솔직한 모습을 보여주는 이들이 펌블추크나 재거스, 웨믹과 같은 인물들이다. 사람 자체보다는 부의 있고 없음에 따라 대하는 태도가 돌변하는 펌블추크와 같은 이들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게 되어버렸다. 아마도 대부분의 현대인들이 핍의 행동이 정의롭다고 생각하기 보다는 웨믹이나 재거스처럼 굴러들어온 유산을 놓쳐버리는 바보 같은 짓을 했다고 나무랐을 것이다.
그런데도 이런 뻔 한 교훈을 보면서 나는 조의 한결같은 마음에 눈물 짖지 않을 수 없었다. 자신보다는 항상 어린 핍을 배려하는 조의 말과 행동은 순간순간 가슴 뭉클함을 느끼게 해주었다.
이렇듯 가슴으로는 느끼면서 막상 행동함에 있어서는 착하게 사는 것이 바보 같은 짓이라고, 남에게 피해주지 않고 나도 손해 보지 않게 행동하는 것이 똑똑한 삶이라고 생각하는 모순된 삶 속에 살고 있다.
모두들 그렇게 살고 있다고 핍처럼 자기 합리화를 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