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리아스 ㅣ 원전으로 읽는 순수고전세계
호메로스 지음, 천병희 옮김 / 도서출판 숲 / 2015년 6월
평점 :
드디어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를 읽었다.
뿌듯하다.
언젠가는 마쳐야했을 숙제를 이제야 시작한 기분이다. 다른 책들과 달리 기원전에 쓰여진 대서사시의 원전을 읽는다는 일이 선뜻 시작하기엔 부담스럽기도 했다. 하지만 그동안 내가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고전문학들의 완역본을 읽으면서 깨달은 것처럼 내가 모르는 많은 이야기들을 새롭게 알게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가지고 읽었다.
그러나 오히려 일리아스는 내가 아주 잘 알고 있던 트로이 전쟁의 한 부분에 관한 내용이었다.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라면 책의 내용이 아니라 해설에서 이야기해주고 있는 이 책의 구성과 제목에 관한 부분이다.
이 책은 하나의 통일된 전체를 이루는 8편의 서사시들로 구성되어 있는 ‘트로이아 서사시권’ 중 한 부분의 일부이다. 옛날에는 각권마다 그 내용에 부합되는 이름이 붙어 있었고, 알파벳순으로 이름을 붙이는 방법은 BC 3세기에 처음으로 쓰인 권별법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 제목 <일리아스>는 도시 트로이의 별명 일리오스(Ilios)에서 유래한 것이며, ‘일리오스 이야기’라는 뜻이다. 10년간에 걸친 그리스군의 트로이 공격 중 마지막 해에 일어난 사건들을 노래한 서사시이다.
줄거리는 단순하나 책의 분량은 만만치 않다. 트로이 전쟁의 일부분에 관한 이야기가 이 정도인데 전체 이야기는 얼마나 방대하단 말인가. 그것도 지금에야 책으로 볼 수 있지만 그 옛날(옛날이라고 하기에도 너무 오래 전에)에는 사람들을 모아 놓고 읊었다 것을 상상해 보면 읽는 내내 끊임없이 나열되는 사람들 이름 때문에 고생했던 나로서는 참 머리 아팠을 것 같다.
책을 읽으면서 느낀점은 첫 번째는 이 책의 등장인물들의 성격이 정말 쿨~~ 하다는 점이다. 복잡하게 고민하거나 사소한 것에 얽매임이 없다. 필요하면 전진하고 아니면 후퇴한다. 항상 신을 찾지만 자신에게 힘을 부여하듯 상대편에도 힘을 부여함을 인정하고 운명에 몸부림치지 않고 순순히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혈통을 중요시한다는 점이다. 주인공 이름에 앞서 아버지의 이름이 항상 먼저 온다. 덕분에 읽는내내 주석을 들추느라 고생했다.
세 번째는 시대적으로 이야기할 필요도 없는 존재감이 없었던 여성의 존재이다. 사건의 중심인 것 같으나 신을 제외한 여성들의 존재는...
그래도 만화 그리스 로마 신화를 아이들과 함께 읽기도 했거니와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우리의 신화보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 알게 모르게 익숙해져 있었기에 책 읽기가 생각보다 어렵지는 않았다.
미루었던 숙제를 마치기 위해 <오뒷세우스>를 읽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