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은 강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60
엔도 슈사쿠 지음, 유숙자 옮김 / 민음사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 때 어머니의 따스함의 근원에 있었던 것은 양파 한 조각이었음을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결국 제가 추구한 것도 양파의 사랑일 뿐, 이를테면 교회가 말하는 여러 다른 교의가 아닙니다.  이 세상의 중심은 사랑이며, 양파는 오랜 역사 속에서 그것만을 우리 인간에게 보여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현대 세계 속 에서 가장 결여된 것은 사랑이며, 아무도 믿지 않는 게 사랑이고 비웃음당하고 있는게 사랑이므로, 하다 못해 저라도 양파의 뒤를 우직하게 따라가고 싶습니다.

 

   신은 다양한 얼굴을 갖고 계십니다. 유럽의 교회나 채플뿐만 아니라, 유대교도에게도 불교도에게도 흰두교도에게도 신은 계신다고  생각합니다.

 

   오쓰와 미쓰코를 통해 신을 이야기하고 다른 사람들의 경험 속에 우리가 믿지 못하는 환생, 동물과의교감 등을 이야기하고 있다. 다른 부분은 몰라도 신에 대한 작가의 관점은 내가 생각하고 있는 신의 의미과 공감하는 부분이 많다.
   신이란 인간과 뗄레야 뗄 수 없는 존재이며 그 이름이 무엇으로 불리든 신의 이름이 부담스럽다면 양파든 사과든 자신이 부르기 편한 이름으로 부르면 그만인 것이다. 인간을 위해 존재하는 신이여야지 신을 위해 인간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오쓰가 말하는 것처럼 서양의 신은 신중심의 이기적인 성격으로 고착되어 왔고 나를 밎지 않으면 벌을 주고 믿으면 구원을 준다는 단순한 논리를 들이대며 은근한 협박을 하고있다. 믿음은 그 자체로 평온과 평화 개인의 올바른 삶을 위한 지표가 되어야 하는 것일진데 신이라 존재가 믿는 사람으로 하여금 사랑보다 복종과 믿음을 의무화하고 종교 자체에 속박되게 하는 것은 진정한 신앙이 아닌 것 같다.

   비약적일지는 몰라도 어쩌면 근래에 읽었던 일리아드와 오딧세이아의 그리스 신들처럼 나에게 잘하면 사랑해주고 자신의 심사를 건드리면 화를 내며 재앙을 내리는 너무도 인간적인 신의 모습이 서양의 기독교에도 알게 모르게 스며든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